2007.10.1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0.1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45.09 전일대비 5.6
《 강세 요인 》
○ 잎, 열매, 뿌리, 양념 채소류는 주초 일반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강세
- 오이류는 경기, 충청지역으로 출하지 이동하면서 반입량 줄어 오름세 거래
- 배추, 시금치, 열무, 붉은고추는 요식업소 및 가공업체 주문 늘면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지난주말 고가로 소비부진, 재고 늘면서 약세
- 양상추, 파세리, 치커리는 외식업체 주문 감소하면서 주초 거래부진으로 시세 하락
- 양송이, 팽이버섯은 주말 이틀 작업분 출하로 반입량 증가하면서 매수세 약화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3.97 전일대비 0.71
◇ 고구마 - 강보합세
- 금일 107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6%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대전 22%, 여주 18%, 서산 15%, 익산 12%, 보령 5%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7,000원, 대전 3,500-19,5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000-15,000원, 대전 3,000-22,000원
- 대전지역 호박고구마 상품성 우수로 특,상품 시세상승 견인
- 주초 일반 소매상 및 요식업소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0,538원으로 전일대비 7%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7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40%, 강릉 10%, 횡성 8%, 창원 8% 등 반입
- 평창 2,000-21,000원, 강릉 3,000-19,000원, 횡성 2,000-26,000원.
- 지난주 시세영향 및 우천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 주말 재고증가로 매수세 약화
- 연말 감자가격 상승 기대 심리로 산지 저장입고량 증가 전망.
- 금일 상품 평균 17,113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96.54 전일대비 13.83
◇ 배추-오름세
- 주초 이틀치 작업량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741톤으로 지난 토요일 대비 1.5%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855톤
대비 13% 적은 물량임
- 가격이 전년에 비해 3-4배 정도 높게 형성되고 있음에도 반입량은 추석 대목 이후 일시적으로
늘어난 것을 제외하고는 저조함
- 이는 산지 생산량 감소가 원인으로 보여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특히, 지난 토요일을 기점으로 그동안 출하를 주도하던 태백 지역의 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물량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남
- 금일 지역별 출하비중은 평창(25%), 영월(16%), 홍천(12%), 춘천(11%) 순으로 태백, 강릉, 정선
등지의 물량 비중이 크게 낮아짐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6,500~8,500원에 거래된 물량이 많아 전일에 비해 800~1,100원 가량
상승함
- 반입량이 저조한데다 재고가 소진된 김치공장에서 구매량을 늘린 것이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함
- 금일 김치공장 반입량은 20대 정도로 전체 물량의 30% 정도였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9.81 전일대비 16.3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01.97 전일대비 23.6
◇ 무-오름세
-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98톤으로 전일대비 13.8%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525톤 대비 5%
적은 물량임
- 지난 토요일 매잔품으로 작업량을 줄인 것이 직접적인 인원으로 보이나 근본적으로 산지 생산량이
적어 가격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심리로 출하를 서두르지 않기 때문으로 보임
- 홍천(54%), 평창(23%), 정선(7%) 등지에서 주 출하되는 가운데 강원지역은 끝물로 작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고 충청, 전라지역 다발무도 올해 작황부진으로 생산량이 적을 것으로 판단함
- 따라서 도매시장 가격 추이를 보아 반입량을 조절하고 있으며 가격은 꾸준히 강세가 이어지고 있음
- 또한 배추를 비롯해 채소류 가격의 강세도 가격형성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함
- 금일 가격은 18kg상자 기준 15,000~17,000원에 거래된 물량이 많아 전일에 비해 1,000~2,500원
가량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5.43 전일대비 4.83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9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1% 반입량 증가.
- 무안 53%, 해남 19%, 함평 4%, 창녕 4%, 김천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00-554원, 해남 111-525원, 함평 312-450원 거래.
- 주말 이틀 작업분 출하로 전남 및 경남지역 반입량 증가.
- 대형유통업체 세일행사 종료로 주문 감소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69원으로 전일대비 5%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08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반입량 감소.
- 강원 평창 29%, 경기 고양 13%, 이천 11%, 연천 9% 등 반입
- 평창 1,150-2,420원, 고양 1,350-1,930원, 이천 1,400-1,900원
- 주 출하지 이동시기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경기 북부지역 중심으로 가격 형성
- 주초 지방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882원으로 전일대비 4%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생고추 - 강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주말 보다 8.6% 감소한 177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최근 광주 등 지방 도매시장 시세가 좋아, 지방 자체 소화 물량 증가 추세임
- 광주 등 전라도 지역 물량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품종별로는 청양 72톤, 일반풋고추 61톤, 꽈리 21톤, 홍고추 13톤 반입
- 주초 수요 증가한 반면, 반입량 많지 않아 강세를 보임
- 금일 납품 수요 등 소비 원활하여 익일 강보합세 전망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9.38 전일대비 -15.31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주말 보다 14.3% 감소한 39톤가량 반입
- 광주 등 전라남도 지역 물량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파프리카는 전주말 보다 74.3% 증가한 18톤가량 반입되었으며, 빨강 8톤, 노랑 8톤, 주황 2톤가량임.
- 반입량 많지 않고, 주초 수요와 각종 야외행사 수요 증가해 오름세 거래
- 금일 소비 활발하고 익일 역시 가을철 행사 수요 많을 것으로 보여 강세 거래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103.77 전일대비 -6.25
◇ 버섯류 - 약보합세
- 맑고 건조한 날씨로 인한 산지 작황 호전으로 전일대비 36% 증가한 216톤 반입
- 가을철 나들이 인파 증가로 요식업체 수요는 꾸준함
- 주초 급식업체 및 유통업체 구매 활발
- 산지 작황 호전으로 인한 시장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전일대비 약보합세 형성
◇ 양송이 - 내림세
- 주말 산지 작업물량 증가로 전일대비 29% 증가한 17톤 반입
- 충남 보령 41%, 부여 37%, 논산 7%, 경기 평택에서 5% 반입
- 금일 양송이버섯 유통업체 납품 부진
- 고정 급식 수요처 위주로 중도매인 납품 이뤄짐
- 상품 2kg상자 9,559원으로 전일대비 24%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0.99 전일대비 +1.53
《 강세 요인 》
○ 산지 출하량 늘었으나 주말 소비량 증가로 재고 감소하면서 상승세 거래
-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한 수입낙지, 바지락, 수입주꾸미, 활 전어 강세
- 재고량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늘어난 대구, 가무락, 갈치 상승세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한 생태, 물오징어, 숭어류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13 전일대비 -0.12
《 강세 요인 》
○ 갈치, 참조기, 대구, 병어, 아귀, 광어 강세
- 갈치는 제주 주변해역 기상여건 개선으로 채낚기 및 연승조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성어기에 접어들면서 갈치가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
- 참조기는 국내산은 제주도산만 거래되었으며 선도가 양호하고 소비지 소매상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오름세
- 대구는 보령, 속초산 생물 출하량은 줄어들었고 수입 냉대구 반입량 늘어 전체 물량 증가함. 주초 전문점 수요 증가와 생물 출하량 저조로 상승세
- 병어는 삼천포, 여수산 10kg상자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주말 가정요 소비 증가에 따른 시장내 재고 감소로 중도매인 물량 확보 심리가 형성되면서 상승세
- 아귀는 전문점 수요가 늘어났고 중국산 수입물량 감소와 산지 출하량도 지난주 수준보다는 비교적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
- 광어는 주말 산지 소비량 증가로 서산산이 출하량이 줄어들었으며 주초 횟감 수요는 늘어나면서 강세
- 전어는 마산, 삼천포, 서산, 격포에서 출하되었으며 2일간 조업으로 반입물량이 늘어났음. 반입량 늘어났으나 마산 및 삼천포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일본산 갈치, 삼치, 숭어류 약세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났으나 전반적으로 상품성이 떨어지고 지난주 가격상승 지속에 따른 시장내 재고량도 충분하여 내림세
- 일본산 생태는 주초 전문점 주문량이 늘었으나 반입물량이 8톤이나 증가하면서 내림세 - 일본산 갈치는 제주산이 선도가 우수하고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줄어들어 하락세
- 삼치는 부산,여수,감포,강구 출하량이 크게 늘어 반입량이 토요일에 비해 9톤 늘었고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내림세
- 숭어류는 횟감 수요 늘었으나 반입량이 과도하게 늘어났고 체장이 작아 약세
◈ 조개류 108.73 전일대비 +12.98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 겉소라, 홍합, 겉동죽, 해락,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감소.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바지락은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봉지바지락도 주초장세를 맞아 주소비처인 칼국수 전문점 등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겉소라는 여수,서천산이 소량 반입, 수요처 한정과 등급간 가격 등락이 컸으나 오름세
- 홍합은 2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4톤 증가. 마산, 여수산이며 선도와 씨알이 굵은 다듬이 물량은 산지 출하 물량 조절로 강보합세, 일반 물량도 주초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겉동죽과 해락(깐동죽)은 대체품인 바지락 가격 상승과 소량 반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순천, 중국수입이 주반입되었고 목포산이 가격을 주도하였고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 굴 약세
- 새꼬막은 12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4톤 증가. 순천산이며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음.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와 급식업체로 주말 미판매분 증가로 약세
순천산 참고막도 소량 반입되었으나 20kg 마대당 81,000원대에 거래
- 굴은 15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증가, 통영산이 주반입되었고 사천, 마산산도 소량 반입되었음. 주말 가격 상승으로 산지로 부터 물량은 증가하였고 주초 장세를 맞아 거래량은 증가하였으나 최고품은 내림세, 중등품은 오름세
◈ 연체류 92.56 전일대비 -1.20
《 강세 요인 》
○ 주꾸미, 수입냉장낙지, 오만둥이, 산낙지 강세
- 주꾸미는 국내산은 여수,순천,서천,군산산이 소량 반입, 선도와 크기가 좋은 상품은 높은 가격이나 중품은 가격차이가 컸음, 수입산은 소량 반입되어 가격차이가 적었고 높은 가격을 형성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1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7톤 증가, 반입량 증가에도 주초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 감소와 주말 가격하락으로 오름세
- 산낙지는 고흥산이며 소량 반입에 따른 요식업소의 물량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미더덕, 문어 약세
- 생물오징어는 3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5톤 증가. 동해안산 채낙기 물량이 주반입되었고 선도와 체장이 크고 양호하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이 많았음.
- 미더덕은 마산, 여수산으로 반입량량 증가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문어는 포항산으로 소문어의 반입이 없었고 중문어 위주로 반입되어 내림세
※ 활 꽃게 서산, 인천산으로 18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7톤 증가. 서산, 인천산은 그물망으로, 목포산은 3kg 톱밥포장으로 반입되나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의 거래가 증가추세. 가격은 주말대비 암게는 오름세이나 숫게는 강보합세에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