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9.10(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9.10(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79.6 전일대비 -3.25
《 약세요인 》
○ 추석 대목장 막바지에 접어든데다, 연휴가 짧고 경기도 부진하여 대부분 부류 내림세
- 대목장 수요 많지 않은 품목 위주 내림세가 커, 오이, 가지, 알타리무, 청피망 등이 하락세 주도했고
- 채소류는 대부분 작황이 좋아 공급량 원활하여 표준가격 이하의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강세요인 》
○ 일부 반입량 감소한 품목 등이 반등하였고, 추석 가정 수요 증가하는 품목 위주 오름세
- 열무가 반입량 감소로 큰 폭 상승하였고, 버섯류와 붉은고추는 명절 수요 증가하여 상승함.
- 파프리카는 소비 증가로 강세 지속중이며, 나물류 등은 환율 상승으로 수입가격 상승으로 강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1.32 전일대비 -8.08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5.63 전일대비 -3.22
◇ 상추 - 오름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74톤정도 이며, 적포기 40톤, 청상추 21톤, 적상추 11톤임.
- 경기 이천, 용인, 광주, 성남, 충남 논산에서 주로 출하
-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날씨로 상추 생육이 좋아져 반입량이 많고,
-추석 수요도 많지 않아 낮은 시세 보이고 있음
- 추석을 앞두고 대목장 위주 농산물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 대목장 수요 적은 상추류는 약세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59.05 전일대비 -9.24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2.94 전일대비 -0.38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9.38 전일대비 -2.33
◇ 양파 - 보합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878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38%가량 증가함
- 물량 증가하였으나, 대목장도 막바지 소비 활발하여 보합세 유지
- 전남 무안 61%, 함평 8%, 해남 5%, 전북 익산 5%, 중국 5%임
- 추석 대목장 막바지로 대형 유통 업체 소비는 마무리 되고,
-개인 또는 소형 업체 위주 소비 전환되어 매기 다소 약화될 것으로 보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58.16 전일대비 -4.49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68톤가량 반입되었고, 청피망 54톤, 홍피망 14톤임.
- 강원 인제 38%, 고성 30%, 춘천 17%, 평창 8%에서 출하.
- 청피망은 반입량이 많아 낮은 시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표준가격 보다 60% 낮은 수준임
- 파프리카는 20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11톤, 노랑 7톤, 주황 2톤임.
- 반입량이 많지 않아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당분간 강세 전망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7.13 전일대비 1.92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344톤, 전일(373톤)대비 29톤 감소(92%)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4.01 전일대비 -0.94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37톤, 전일(185톤)대비 48톤 감소(74%)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89.91, 전일대비 +0.74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참조기(80% 상승), 감숭어(37%상승), 가자미(25% 상승), 활 농어 수입(21.4% 상승), 청어(20.8% 상승), 병어(20.7% 상승),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삼치, 대구, 활 넙치(자연), 활 돔(양식), 아귀, 갈치냉장 수입, 참숭어, 아귀냉장수입, 아귀 수입, 활 넙치(양식), 활 우럭(양식)·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107톤 반입, 전일(106톤)대비 1톤 증가(101%)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5.41, 전일대비 -4.05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피뿔고동(소라), 굴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동죽, 동죽살(해락), 새꼬막, 바지락, 봉지바지락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89.82, 전일대비 -4.19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문어, 물오징어(상품)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낙지수입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2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4.42,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100톤, 전일(82톤)대비 18톤 증가(122%)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3.08, 전일대비 +0.02
○ 건어류 전일대비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67톤 반입 전일(137톤)대비 70톤 감소(49%).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5톤 반입 전일(2톤)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5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톤 반입 전일(2톤)대비 1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6톤)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3. 축산물 : 금일 경락두수 1,803두(전일1,648두)대비 155두 증가(109%)
■ 축산물 표준가격지수 : 103.29 전일대비 -0.99
□ 쇠고기 : 금일 경락두수 쇠고기 526두(전일 497두)대비 29두 증가(106%)
◈ 쇠고기 표준가격지수 : 92.96, 전일대비 -0.88
○ 쇠고기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육우 암
- 육우 암 1kg은 7,617원으로 전일(6,469원)대비 17.7% 상승
○ 쇠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육우 지육, 육우 거세, 한우 암
○ 쇠고기 전일대비 약보합세(10%미만 하락) 품목 : 유우 지육, 한우 수, 한우 지육, 한우 거세
□ 돼지고기 : 경락두수 돼지고기 1,151두(전일 484두)대비 667두 증가(238%)
◈ 돼지고기 표준가격지수 : 145.35, 전일대비 -1.39
○ 돼지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모돈 수, 한우 암
※ 돼지고기 상승요인 : 사육두수가 전년보다 감소하고, 칠레산 돈육의
다이옥신 검출 등으로 돈육 수입량 감소로 돼지고기 가격은 강보합세 전망
○ 돼지고기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육돈 수
○ 돼지고기 전일대비 약보합세(10%미만 하락) 품목 : 육돈 거세, 육돈, 육돈 암, 모돈 암, 돼지 지육, 모돈 지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