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9.5(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9.5(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9-05 09:18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1.49 전일대비 0.1
《 강세요인 》
○ 경기침체와 짧은 추석으로 대목수요가 예년에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소비량이 많은 주말을 앞두고


가격이 소폭 반등. 그러나 상승 품목도 제한적이고 상승폭도 적어 거래는 활발하지 못함
- 최근 연일 내림세를 지속하던 서양채소류가 주말 수요로 큰 폭의 오름세였고 잎채소류와 서류

(감자,고구마)도 저가수요로 상승
《 약세요인 》
○ 추석 대목 수요로 주초부터 강세가 지속되었던 호박이 급락함에 따라 열매채소류가 내림세였고


뿌리채소류, 양념채소류도 하락세
- 품목별로는 풋고추, 애호박, 취청오이, 양배추 등이 많이 내림"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4.38 전일대비 5.91
◇ 감자-내림세
- 소비량이 적은 추석 대목인데다 반입량이 꾸준해 가격은 약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319톤으로 전일대비 5.7%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200톤 미만이 출하된 점을


감안하면 많은 물량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평창 56%, 강릉 14%, 여주 5% 순으로 전일에 비해 평창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강릉은 증가함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상품 15,098원, 보통 12,65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 0.5% 하락함
- 지역별 평균가격은 평창 12,850원, 강릉 10,880원, 여주 9,030원 수준으로 평차지역 물량이


비교적 높은 시세 형성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0.57 전일대비 1.05
◇ 배추-오름세
- 추석 대목에다 주말을 앞두고 산지 작업량이 늘면서 반입량이 꾸준함
- 금일 반입량은 1343톤으로 전일에 비해서는 4.9% 감소하였으나 최근 일주일 대비 20% 많은

물량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태백 43%, 평창 21%, 강릉 19% 순이었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 8,250원으로 태백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5,071원, 보통 3,57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7%, 13.6% 상승함
- 강릉(안반데기)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함
- 이번 주말이 추석대목의 피크로 보이면 다음주부터 과일류 위주로 소비가 이루어져 출하량도


줄도 거래도 다소 부진할 듯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66.76 전일대비 -13.75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9.75 전일대비 -4
◇ 무-오름세
- 전일에 이어 금일도 900톤 가까운 물량이 출하되면서 물량 부담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871톤으로 전일에 비해 2.2% 감소하였으나 최근 일주일 평균 물량 대비 30% 많음
- 이번 주말을 고비로 김장수요가 어느정도 마무리 될것으로 전망 작업량을 늘린 것으로 보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평창 53.6%, 강릉 19%, 정선 12% 순이었음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최고가 10,3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7,879원, 보통 6,337원


으로 7.5%, 6.4% 하락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9.95 전일대비 -4.24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7.99 전일대비 17.75


◈ 버섯류
가격지수 : 98.44 전일대비 8

◇ 느타리버섯-오름세
- 추석 대목 물량이 본격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도 따라주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0%톤으로 전일대비 4.8% 감소하였으나 평일보다 20% 정도 많은 물량임
- 출하지역은 양평 17%, 여주 16%, 구리 13% 순으로 대부분 수도권 인근에서 출하됨
- 가격은 2kg상자 기준 상품 7,773원, 보통 5,23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4%, 4% 상승함
- 지역별 가격은 양평 6,100원, 여주 5,270원, 구리 4,510원 수준이었음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391톤, 전일(291톤)대비 100톤 증가(134%)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5.94 전일대비 -1.91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56톤, 전일(102톤)대비 54톤 증가(153%)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89.96, 전일대비 -1.51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활 우럭(양식), 아귀 냉장수입, 가자미, 활 농어 수입, 참숭어, 갈치냉장 수입, 병어, 감숭어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활 노래미(자연), 명태냉장수입, 삼치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107톤 반입, 전일(96톤)대비 11톤 증가(112%)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1.70, 전일대비 +2.82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깐바지락, 새꼬막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깐홍합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06.34, 전일대비 -11.47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주꾸미수입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문어, 물오징어, 낙지수입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2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4.42,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127톤, 전일(93톤)대비 34톤 증가(137%)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2.89, 전일대비 +0.15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109톤 반입 전일(99톤)대비 32톤 증가(142%).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4톤 반입 전일(2톤)대비 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4톤 반입 전일(4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5톤 반입 전일(58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 전일(4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3. 축산물 : 금일 경락두수 1,452두(전일454두)대비 998두 증가(320%)

■ 축산물 표준가격지수 : 105.87 전일대비 +10.86

□ 쇠고기 : 금일 경락두수 쇠고기 519두(전일 458두)대비 61두 증가(113%)
◈ 쇠고기 표준가격지수 : 95.71, 전일대비 +14.83

○ 쇠고기 전일대비 강세(10%아상 상승) 품목 : 육우지육, 육우 암, 한우 수, 한우 지육, 유우 지육, 육우 수, 한우 거세
- 육우 지육 1kg은 7,455원으로 전일(4,881원)대비 52.7% 상승
- 육우 암 1kg은 6,408원으로 전일(4,694원)대비 36.5% 상승
- 한우 수 1kg은 11,747원으로 전일(8,660원)대비 29.9% 상승
- 한우 지육 1kg은 15,075원으로 전일(12,189원)대비 23.7% 상승
- 유우 지육 1kg은 4,256원으로 전일(3,613원)대비 17.8% 상승
- 육우 수 1kg은 6,398원으로 전일(5,501원)대비 16.3% 상승
- 한우 거세 1kg은 16,079원으로 전일(14,226원)대비 13.0% 상승

○ 쇠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한우 암, 육우 거세
- 한우 암 1kg은 13,071원으로 전일(12,032원)대비 8.6% 상승
- 육우 거세 1kg은 7,507원으로 전일(7,264원)대비 3.3% 상승

※ 쇠고기 상승 요인 :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선물· 제수용품인 쇠고기는 수요 증가로 가격 상승(강세 및 강보합세) 전망

□ 돼지고기 : 금일 경락두수 돼지고기 933두(전일 430두)대비 503두 증가(217%)
◈ 돼지고기 표준가격지수 : 147.18, 전일대비 -5.63
○ 돼지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육돈 수, 모돈 수, 육돈 거세
- 육돈 수 1kg은 3,760원으로 전일(3,469원)대비 8.4% 하락
- 모돈 수 1kg은 2,404원으로 전일(2,310원)대비 4.1% 하락
- 육돈 거세 1kg은 4,818원으로 전일(4,809원)대비 0.2% 하락
※ 돼지고기 상승요인 : 사육두수가 전년보다 감소하고, 칠레산 돈육의
다이옥신 검출 등으로 돈육 수입량 감소로 돼지고기 가격은 강보합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