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9.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9.4(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1.39 전일대비 -6.29
《 약세요인 》
○ 경기 침체로 소비가 살아나지 못해 약세 지속중이며, 대부분 표준가격 보다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전일 산지 작업 부진으로 출하량 감소로 상승했던 배추,무,대파 등은 반입량 증가로 반락함.
- 전부류 표준지수 100이하로 예년보다 낮은 시세를 면치 못하고 있음.
《 강세요인 》
○ 최근 시세 하락으로 반입량 감소한 품목 위주 반등하였고, 일부 엽채류 및 버섯류 상승
- 추석 수요 증가하는 애호박이 오름세를 지속했고, 오이 백다다기도 반등
- 기타 미나리, 아욱, 오렌지 파프리카, 팽이, 양송이 등이 오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8.47 전일대비 4.88
◈ 잎채소류
가격지수 : 69.52 전일대비 -7.32
◇ 상추 - 내림세
- 금일 법인 반입 기준 82톤으로 전일 보다 6%가량 증가함
- 적포기 42톤, 청상추 26톤, 적상추 11톤가량 이며, 경기 이천, 용인, 광주, 충남 논산에서 주로 출하
- 서늘한 날씨로 상추 생육이 좋아져 이번주 물량 증가한 반면,
-소비는 매우 부진하여 내림세가 계속되고 있음
- 추석을 앞두고 대목장 위주 농산물 수요 증가할 것으로 보여,대목장 수요 적은 상추류는 약세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0.51 전일대비 4.41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93.75 전일대비 -11.35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4.19 전일대비 -9.57
◇ 양파 - 보합세
- 금일 법인 반입기준 561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25%가량 감소함
- 물량 증가 추세가 주춤하는 모습이었느나, 시세 상승에는 이르지 못함
- 경기 침제로 소비 위축되어 추석 대목장 매기 약세권 형성중임.
- 전남 무안 66%, 함평 9%, 해남 6%, 경북 경산 4%, 전북 익산 4%, 중국 2%임
- 추석을 앞두고 물량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소비는 기대에 못미쳐 약세 전망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0.24 전일대비 -14.69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보합세
-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68톤가량 반입되어 전일보다 2%정도 증가.
- 청피망 54톤, 홍피망 14톤이며, 인제 37%, 춘천 22%, 고성 15%, 평창 11%에서 출하.
- 전일에 이어 반입량이 많은데다, 추석 대목장에서 다소 빗겨나 있어 내림세 거래
- 파프리카는 15톤가량 반입되었고, 빨강 7톤, 노랑 7톤, 주황 1톤임.
- 반입량이 많지 않아 강보합세 유지되고 있으며, 주황파프리카는 물량 적어 상승함
◈ 버섯류
가격지수 : 90.44 전일대비 0.36
2. 수산물 : 금일 반입량 291톤, 전일(359톤)대비 68톤 감소(81%)
■ 수산물 표준가격지수 : 108.13 전일대비 +1.67
□ 선어류(생선류) : 금일 반입량 102톤, 전일(139톤)대비 37톤 감소(73%)
◈ 선어류(생선류) 표준가격지수 : 92.42, 전일대비 +4.26
○ 선어류 전일대비 강세(10%이상 상승) 품목 : 활 넙치(양식) 소, 활 우럭(양식), 홍어수입, 참숭어, 병어, 활 점성어 수입(대), 갈치(하, 중), 참숭어, 아귀, 감숭어, 병어, 삼치, 고등어(하), 활 돔(양식), 활 농어 수입, 명태 냉장 수입(10kg 중, 상), 갈치 냉장 수입(5kg 상, 중), 부세냉장 수입,
○ 선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도루묵, 고등어(상), 활 노래미(자연), 대구, 갈치냉장수입(10kg, 중, 상), 아귀냉장수입,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96톤 반입, 전일(101톤)대비 5톤 감소(95%)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98.88, 전일대비 -4.36
○ 조개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겉바지락, 동죽
○ 조개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깐바지락, 굴, 피뿔고동(소라), 가무락(모시조개)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7.81, 전일대비 +5.55
○ 연체류 전일대비 강세(10상 상승) 품목 : 물오징어
○ 연체류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미더덕, 오만둥이
◈ 갑각류 표준가격지수 : 58.17 전일대비 +0.00
◈ 젓갈류 표준가격지수 : 100.52 전일대비 0.00
◈ 민물류 표준가격지수 : 104.42, 전일대비 0.00
□ 건어류 : 금일 반입량 93톤, 전일(118톤)대비 25톤 감소(79%)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2.74, 전일대비 +0.85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멸치, 건오징어, 건명태, 김, 미역, 건오징어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멸치는 77톤 반입 전일(99톤)대비 22톤 감소(78%). 가격은 보합세
- 건오징어는 2톤 반입 전일(4톤)대비 2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5톤)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5톤 반입 전일(8톤)대비 3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3톤 반입 전일(2톤)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3. 축산물 : 금일 경락두수 454두(전일1,417두)대비 963두 감소(32%)
■ 축산물 표준가격지수 : 95.01 전일대비 -7.03
□ 쇠고기 : 금일 경락두수 쇠고기 458두(전일 504두)대비 46두 감소(90%)
◈ 쇠고기 표준가격지수 : 80.87, 전일대비 -8.73
○ 쇠고기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한우 암
- 한우 암 1kg은 12,032원으로 전일(11,322원)대비 6.3% 상승
※ 쇠고기 강보합세 요인 : 추석 명절을 앞두고 선물· 제수용품인 고급육은 강보합세
○ 소고기 전일대비 약세(10%이상 하락) 품목 : 육우 지육, 육우 암, 한우 지육, 한우 수
- 육우 지육 1kg은 4,881원으로 전일(7,134원)대비 31.6% 하락
- 육우 암 1kg은 4,694원으로 전일(6,151원)대비 23.7% 하락
- 한우 지육 1kg은 12,189원으로 전일(14,666원)대비 16.9% 하락
- 한우 수 1kg은 8,660원으로 전일(10,365원)대비 16.4% 하락
○ 소고기 전일대비 약보합세(10%미만 하락) 품목 : 한우거세, 육우 수
- 한우 거세 1kg은 14,226원으로 전일(15,454원)대비 7.9% 하락
- 육우 수 1kg은 5,501원으로 전일(5,670원)대비 3.0% 하락
※ 쇠고기 약세요인 : 미국산 수입쇠고기 유통으로 일반육은 하락(약세)
□ 돼지고기 : 금일 경락두수 돼지고기 430두(전일 504두)대비 74두 감소(85%)
◈ 돼지고기 표준가격지수 : 152.81, 전일대비 +0.00
○ 돼지고기 전일대비 강보합세(10%미만 상승) 품목 : 육돈, 육돈 거세, 육돈 암
- 육돈 1kg은 4,924원으로 전일(4,768원)대비 3.3% 하락
- 육돈 거세 1kg은 4,809원으로 전일(4,665원)대비 3.1% 하락
- 육돈 암 1kg은 4,953원으로 전일(4,871원)대비 1.7% 하락
※ 돼지고기 상승요인 : 사육두수가 전년보다 감소하고, 칠레산 돈육의 다이옥신 검출 등으로 돈육 수입량 감소로 당분간 소비불안 등으로 강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