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29(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1.29(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11-29 08:18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5.49 전일대비 -1.12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채소류와 버섯류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하면서 강세
- 배추, 무는 주초부터 계속된 물량 증가로 시세하락 이어지자 산지 출하량 조절로 오름세
- 전일에 이어 양송이버섯 소비활발하면서 재고물량 확보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약세 요인 》
○ 열매,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전일 재고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되면서 약세
- 가시오이, 붉은고추, 홍피망, 양상추는 고가로 소비부진하여 재고 늘면서 시세하락
- 경기 여주산 밤고구마 출하 증가, 감자는 요식업소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1.67 전일대비 -13.96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72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2%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7%, 논산 30%, 익산 6%, 당진 6%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000원, 논산 1,000-19,000원,
- 호박고구마는 논산 2,500-23,000원, 여주 1,000-14,50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 소비부진으로 재고 증가
- 중소형마트 및 재래시장 소매상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중품 평균 8,032원으로 전일대비 16%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내림세
- 금일 24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17%, 인제 15%, 홍천 13%, 강릉 11% 등 반입
- 평창 2,000-37,000원, 인제 2,000-24,000원, 홍천 2,500-23,000원.
- 김제산 가을감자 출하량 줄면서 강원지역 저장감자 상품성 저하로
- 판매부진하여 재고 증가. 납품업체 및 소매상 주문 줄면서 구매력 저하
- 금일 중품 평균 14,408원으로 전일대비 11% 하락하면서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3 전일대비 2.51
◇ 배추-오름세
- 지난 이틀간 가격이 많이 내려 소비심리가 살아난 데다 반입량도 줄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1,691톤으로 전일대비 3.8% 감소하였으며 해남(17%), 고창(16%), 아산(9%),


무안(8%), 영광(6%)에서 출하됨
- 금주들어 해남, 고창 등 김장철 주산지 출하비중이 높아진 가운데 전일 출하량이 적었던 아산의


물량이 많이 증가함
- 가격은 최고가 10,000원이었고 평균가격은 5,480원으로 전일에 비해 400원 가량 상승함
- 지역별로는 강릉, 무안, 해남 지역의 상품성이 좋아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하였고 고창은 중, 하품


시세가 많아 상품성이 떨어짐
- 그러나 금일 가격이 오름세였지만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금일 가격 단기 급락에 따른


일시적 상승세로 분석되며, 재고량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남아있어 향후


가격 형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임
- 또한, 당분간 큰 추위가 없어 작업진행도 순조롭고 김장이 끝나면 가격 하락이 염려되는 만큼 가격


약세에도 서둘러 출하되는 물량이 많을 것이기 때문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0.19 전일대비 -2.49
◇ 오이-내림세
- 반입량 감소에도 주 중반으로 소비량도 적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96톤, 취청 52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35%, 19.5% 감소함
- 백다다기는 공주, 고흥, 부여에서 취청은 보성, 광양, 나주에서 출하됨
- 백다다기는 겨울철 주산지인 고흥지역이 취청은 보성의 물량증가가 두드러짐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25,179원으로 0.8% 상승하였고, 취청 50개 16,696원으로


15.2% 하락함
- 백다다기는 공주, 취청은 보성지역의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거래를 주도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77.88 전일대비 -0.93
◇ 무-오름세
- 물량 증가세가 진정되면서 가격은 소폭 오름세
- 주초부터 반입량이 크게 늘어 재고 누적과 가격 약로 산지에서 작업량을 조절하면서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수준 유지
- 금일 반입량은 667톤으로 전일대비 2.1% 증가하였으며 다발무는 고창, 영암, 부안에서 외대무는


영암, 고창, 광주에서 출하됨
- 가격은 평균가격 기준 다발무 5톤트럭 465만원, 외대무 18kg상자 10,26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4만원, 40원 상승함
- 금일 가격이 오름세였으나 작황부진으로 저가품 출하비중이 높아 오름세는 특, 상품으로


제한적임
- 다발무는 무안, 영암 지역의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0.45 전일대비 -3.43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7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반입량 감소.
- 무안 46%, 해남 13%, 신안 11%, 함평 8%, 함양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67-860원, 해남 253-571원, 신안 322-500원 거래.
- 김장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양념류 소비 부진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
- 낮기온 상승으로 비교적 따뜻한 날씨로 상품성 떨어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509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4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3% 반입량 증가.
- 진도 29%, 신안 19%, 영광 6%, 이천 6%, 부안 5% 등 반입
- 진도 1,000-1,330원, 신안 1,150-1,780원, 영광 1,120-1,500원
- 김장 성수기 침체로 소비부진에 따른 시세하락 우려한 주산지 출하량 증대
- 재래시장 소매상 및 중소형 유통업체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422원으로 전일대비 3%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7.62 전일대비 -2.22
◇ 피망 - 약보합세
- 전자경매 기준 청피망은 22톤, 홍피망 5톤, 노랑파프리카는 6톤 반입
- 청피망은 전라지역 56%, 강원지역 32% 등 차지. 광주, 나주, 진주 등 출하
- 전남지역 출하량 소폭 증가. 주말 앞두고 외식업체 및 중소형마트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2,164원으로 전일대비 4% 증가하면서 약보합세
- 홍피망은 강원 40%, 전라 50% 등 차지. 횡성, 광주, 나주, 진주 등 출하
- 김장철 수요로 소비부진하여 재고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10kg 중품 평균 50,336원으로 전일대비 12% 하락하면서 내림세

◈ 버섯류
가격지수 : 96.33 전일대비 -0.53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8% 감소한 166톤 반입
- 시세 약세 형성으로 인한 재배지 감소로 산지 작황이 부진하여 출하량 감소
- 김장 성수기로 김장채소 관련 품목 위주로 소비
- 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버섯류 매기가 부진해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추세
- 많이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버섯류 상품성 하락품 다소 증가
◇ 느타리 - 하락세
- 전일대비 6% 감소한 34톤 반입
- 충남 보령 24%, 전남 보성 24%, 경기 여주 22%, 강원 영월에서 12% 반입
- 충청지역의 출하량이 꾸준하고, 강원도 및 전남지역의 물량은 증가추세
- 경기 양평지역의 참느타리 일부가 지방계약 출하를 하면서 가락시장 반입량 큰 폭 감소
- 추위가 다소 풀리면서 탕류 소비 소폭 감소로, 한식당위주로 납품 감소
- 김장철 채소위주로 소비자 구매 형성으로, 느타리 가격 하락세 형성
- 상품 2kg 상자에 6,604원으로 전일대비 4%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109.39 전일대비 -0.89
《 강세 요인 》
○ 전일 가격하락으로 소비량 증가한 굴, 상품성 우수한 새꼬막, 가자미 강세
《 약세 요인 》
○ 주중 소비부진에 따른 재고량 증가와 수입수산물 반입꾸준으로 하락세
- 김장수요 집중으로 판매부진하여 재고 증가한 물오징어, 수입낙지 약세
- 주중 요식업체 구매량 줄어든 대구, 생태, 활 전어 내림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84.14 전일대비 -0.19
《 강세 요인 》
○ 고등어, 일본산 꽁치, 가자미 강세
- 고등어는 월명기로 산지 재고량이 감소하면서 부산산 출하량이 감소하고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었음. 소형어만 거래되었으나 반입량 감소 영향으로 하품이 상승세를 보임
- 일본산 냉장 꽁치는 꾸준하게 거래되고 있는 가운데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체장이 커져 경락단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가자미는 서해안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부진하고 여수, 방어진산 위주로 거래되었음. 공급량 부족한 가운데 방어진 산이 선도가 우수하고 체장이 커 강세를 형성함
- 참조기는 제주도, 목포산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주중 소비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하락 우려로 산지 출하량이 줄어들었음. 반입량 감소하고 목포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생태, 갈치, 일본산 갈치, 대구, 삼치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전일수준을 보였으나 주중 요식업체 구매량 감소와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를 보임
- 갈치는 제주산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일본산 반입량이 줄어 총 반입량은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음. 반입물량 감소하였으나 제주산 갈치는 전일 반입증가한 일본산 물량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내림세
- 일본산 낚시갈치는 금일 반입량 줄었으나 전일 증가한 물량이 판매부진으로 재고량이 늘어 하락세를 보임. 다만 망갈치는 체장이 크고 선도가 우수하여 오름세를 보임]
- 대구는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산지 재고량 부족으로 동해안산 출하량이 줄었으나 저가의 중국산 반입이 꾸준하고 주중 전문점 구매량 줄어 하락세
- 삼치는 여수, 통영산 출하량이 줄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9톤 감소하였으나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상품이 내림세를 보임

◈ 조개류 89.26 전일대비 +2.24
《 강세 요인 》

굴, 홍합, 새꼬막(소포장), 동죽, 해락 강세
- 굴은 3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통영산 중굴은 대부분 1 - 1.7kg이 대부분으로 포장단위가 일정치 않았고 주중반을 넘자 지방 도매상의 구매량 증가로 전일대비 소폭 오름세에 거래됨.
고흥, 남해, 사천산 잔굴은 4kg으로 포장 반입품이 대부분이며 전일 반입량 소진으로 강보합세
- 홍합은 2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다듬이 물량은 고정 가격을 형성하여 가격 변화가 없고, 햇물량 중 씨알이 작은 하품은 반입이 줄면서 오름세에 거래
- 새꼬막은 2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순천산이며 기온하락으로 수요 증가 추세 . 씨알이 굵고 선도양호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가정 수요가 많은 소포장은 오름세, 전문 업체의 수요가 많은 대포장은
내림세
- 동죽과 해락은 반입량 감소와 매기부진에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바지락, 겉소라, 가무락,
미더덕, 오만둥이,
새꼬막(대포장)
약세
- 바지락은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국내산은 태안(안면도), 수입산은 북한산이 반입되었음. 겉바지락은 국내산의 반입이 없어 북한산이 오름세, 거래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도 북한산과 국내산의 비률은 비슷했으나 전반적인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겉소라는 순천, 군산산으로 씨알이 크고 선도도 좋은 편이나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군산산과 북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군산산은 소량 반입과 흑모시로 선호도가 높아 가격은 높은 편이나 전일대비 내림세, 북한산은 품위 저하로 약세

◈ 연체류 93.23 전일대비 -10.88
《 강세 요인 》

생물오징어(상등품), 산낙지 강세

- 생물오징어는 15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5톤 감소. 동해안은 채낚기 물량으로 비와 눈으로

인한 어획 부진으로 반입량 감소, 부산산은 트롤어획품의 반입이 증가.
채낙기 물량이 대부분이나 체장과 선도에 따른 가격 진폭이 컸고 그물오징어는 반입 증가에도 선도가 좋아 거래 물량 증가. 상등품은 오름세, 중하품은 내림세였고 대형 유통업체의 가격 할인 품목으로 대량 거래가 많았음
- 산낙지는 고흥산이며 소량 반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전일대비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으나 수요 한정으로 요식업체 외에 일반 수요는 한산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문어, 주꾸미 약세
- 수입낙지는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선도가 좋고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등급간 가격차이도 작았으나 전일 미판매분과 당일 반입량 과다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문어는 울진, 포항산과 중국산의 반입이 증가. 국내산은 선도 양호로 선호도가 높아 가격이 높았고, 수입산은 선도 부진으로 내림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었음. 국내산은 저등품의 소량 반입으로 정상거래 미형성. 수입산은
반입 증가로 내림세, 대량 수요처인 요식업소의 구매량도 영업부진으로 감소


※ 활 꽃게 서산, 인천산이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김장 수요로 대체적으로 거래는 부진하였음. 전문 요식업체와
대형유통업체의 세일 품목으로 거래되며 가격은 강보합세.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kg당 암꽃게는 23-25,000원. 숫꽃게는 13-16,000원. 톱밥게의 반입은 없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