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7. 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7. 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7-03 04:0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9.32 전일대비 1.42
동 향 : 농산물은 서울 경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이 무더운 가운데 비가 내려 평소 주초장에 비해 반입량이 적은 편이어서 서류와 잎채소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이 오름세 거래됨. 특히,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면서 소비량이 증가한 열무와 오이, 미나리의 오름세가 컸으며 얼갈이 배추, 근대, 신선초, 비름, 청경채 등도 반입량이 적어 상승세 거래됨. 반면, 상추, 부추 , 쑥갓 등 잎채소류와 양채류중 파세리, 셀러리, 비타민 등이 내림세 거래되었고, 성출하기를 맞은 감자가 출하량이 연일 많은 편이어서 하락세가 지속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50.11 전일대비 -0.63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6.62 전일대비 -1.84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70톤으로 전일 대비 16%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주말 시세가 높게 형성되었고, 전주 주후반 반입량 감소로 산지 물량이 축적되면서 주초장 개장과 더불어 반입량이 증가하였음. 물량 증가와 고단가에 대한 부담감으로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음. 남부지방이 장마의 영향권에 들면서 소비 부진으로 주문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품종별 반입량은 청상추가 16톤으로 큰폭의 물량 증가를 보였고 시세 또한 큰폭의 내림세를 보였음. 적상추도 큰폭으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반입량이 적은관계로 시세 내림폭은 제한적이었으며, 적포기는 약 5%증가한 47톤이 반입되었으나 주초 수요 증가로 내림폭은 제한적이었음. 물량 감소로 고단가를 보이고 있으나 고온으로 인한 생육부진으로 출하대기물량은 풍부하지 않아 당분간은 고단가를 유지할것으로 보임. 금일 반입량도 주초임을 감안할때 물량 증가폭이 제한적이어서 시장 재고가 대부분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며, 주중 반입량이 감소추세를 보일경우 시세 오름폭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열무 금일 반입량은 113톤으로 전일 대비 31%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전주말 이후 반입량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시장 재고 누적과, 남부지방의 장마로 지방주문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음. 특히 1.5kg 단열무 하락폭이 컸으며, 4kg 상자 열무는 전주말 반입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열무 반입량은 전년보다 적은 양이 반입되고 있으나, 배추,무 시세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열무 소비가 감소하면서 시세는 전년보다 약세를 보이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7.77 전일대비 2.89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8.98 전일대비 9.88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5.25 전일대비 7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9.19 전일대비 4.72
동 향 : 피망류는 46톤으로 전일 보다 44%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남부지방의 장마로 전주 후반 물량 감소로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주말 큰폭의 상승을 보이자 주초 물량이 큰폭으로 증가하였음. 물량 증가에도 시장 재고 소진으로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품종별 반입량은 청피망이 33톤이었고, 홍피망이 4톤, 파프리카류가 9톤 반입되었음. 주출하지인 경남 진주 지역의 물량이 아직까지 가장 많은 양을 보이고 있으나 7월에는 끝물로 접어들것으로 예상되며, 주출하지역은 강원지역으로 변경되나 출하지역이 전국적으로 분포되고 있어 물량 공백은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예상됨. 양상추는 60톤으로 전일 대비 27%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으나 시세는 보합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가 물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기타 품목은 대부분 내림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62.26 전일대비 -2.96
동 향 : 7월의 초입이자 주초인 금일 버섯류 반입량은 183톤으로 전일대비 110%수준으로 증가하였음. 경기 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주말 우천으로 인해 경기 외 지역 물량이 평소 주초장에 비해 증가폭이 적은 편임. 금일 버섯류는 37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33%수준으로 증가하였음. 우천으로 강원, 충청 지역 물량이 감소한데다 약세장이 지속되면서 산지 물동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임. 금일 거래가격은 2kg 상품이 9,000원으로 전일보다 다소 상승하였으나 유통업체 수요 등 상승 여력이 충분하지는 않음. 양송이는 18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나 지난주 물량 증가에 따른 재고누적과 소비 부진의 영향이 큰 편임. 생표고는 19톤이 반입되어 물량이 많은 편은 아니나 유통업체와 식자재업체의 생표고 선호 감소로 약세에 거래됨. 팽이는 지난달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44톤으로 감소하였으하였으며 주초 수요 증가로 소폭의 오름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78로 전일대비 +1.99
동 향 : 수산물은 2일 조업 물량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주초 고정 수요에 따른 매기 활발로 오름세를 보임. 특히, 반입량이 감소한 연체 및 조개 부류 지수 오름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건어류는 멸치 금어기 해제로 산지 저장 멸치 출하가 크게 증가함. 갈치, 대구, 낙지수입, 봉지바지락이 반입 물량 감소로 상승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85.52로 전일대비 -0.01
동 향 : 생물고등어는 2일간 조업물량 반입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되었고 대품 반입저조로 상품 가격 하락이 크게 나타남. 냉동고등어는 주말 소비가 원활함을 보이고 주초 가공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반입량 증가에도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갈치는 제주지역이 장마전선에 영향을 받으며 반입량이 4톤 감소하였으나 대품 선도부진으로 상품은 약보합세를 나타냄. 다만, 중, 하품은 반입량 감소와 주초 재고량이 감소한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보합세를 형성. 일본산 냉장갈치는 반입량이 감소하고 대품 반입이 활기를 띠면서 상품중심으로 상승세에 거래.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5톤 감소하였고 주초 고정 거래처의 주문량이 유지되면서 강세에 거래. 꽁치는 봉수망 원양꽁치가 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상품성이 뛰어나 물량 분산은 원활한 편임. 조기수입은 반입물량이 1톤 증가하였고 선도가 떨어지는 물량 출하가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부세냉장수입 역시 중국산 물량 품질 저하로 매기가 부진하여 하락세를 나타냄. 병어는 소비가 꾸준함을 보이고 목포 및 여수산 물량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보임. 아귀는 주초 재고확보를 위한 요식업체 주문량이 증가하였고 국내산 물량이 체장이 커 상승세에 거래. 삼치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무더운 날씨와 타 생선류 시세하락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대구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고 대품 반입증가로 오름세를 형성함. 활어류는 감숭어가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으나, 자연산 넙치 및 양식 넙치는 체장이 크고 횟집 주초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08.94로 전일대비 +7.43
굴은 통영산 물량이 소폭 증가한데다 기온상승과 판매부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현저히 감소하며 약보합세를 나타냄. 바지락은 서해안산 반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임. 다만, 하품은 선도부진과 씨알이 작아 약세에 거래. 새꼬막은 여수 및 보성 물량 반입이 크게 증가하면서 가격대가 다소 높은 중, 상품 위주로 약보합세를 나타냈고, 홍합은 반입량 감소와 함께 주말 소비가 원활함을 보이면서 상승세에 거래. 전복은 양식물량이 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씨알이 굵은 물량 증가로 강보합세, 소라는 재고량이 감소한 식자재 업체 매수 주문이 증가하여 중, 하품 중심으로 오름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14.52로 전일대비 +7.57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였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이 집중되어 상승세에 거래. 특히, 품질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아 하품 시세 상승폭이 크게 나타남. 물오징어는 반입물량이 5톤 감소한 가운데 울진, 속초, 죽변산 대품 반입이 증가하여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임. 다만, 하품은 체장이 작고 냉동오징어 꾸준한 반입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냄. 문어는 주말 소비호조로 오름세를 보였고, 미더더과 오만둥이는 반입물량이 감소한데다 주말 요식업체 소비량이 원활하여 고정 수요처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나타냄. 쭈꾸미 수입은 중국산 반입이 2톤 감소하며 상승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