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4.24(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4.24(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4-24 11:25










1. 농산물

가격지수 : 122.25 전일대비 5.14
동 향 : 농산물은 주초장을 맞아 이틀치 물량이 출하되었으나 주말 전국적인 비와 기온 하강으로 기상여건이 좋지 않아 주산지별로 출하작업이 부진하여 주초장으로 다소 적은 물량이 반입되었음. 반면 각급 학교의 소풍과 봄철 야유회 등으로 납품 수요와 요식업소 주문량이 증가하여 대부분의 품목이 오름세로 거래됨. 특히 배추와 근교산 엽채류의 강세로 잎채소류의 오름세가 두드러졌고 뿌리채소류도 봄철 햇김치 수요로 무와 알타리의 소비 증가로 오름세로 거래됨. 반면 열매채소류는 지난주 가격이 많이 올랐던 오이가 금일을 수요가 둔화되어 내림세를 보임에 따라 약보합세에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9.79 전일대비 2.71
동 향 :
감자는 김제, 남원지역 하우스 감자 출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소폭 증가한 326톤이며 주초 납품수요 증가 등으로 강보합세 거래됨. 제주지역 대지종도 일부 반입(27톤)되었으며 시세는 24,000-2,000원에 거래됨. 금일 20kg 상자 상품 가격은 27,750원으로 지난주초 24,500원에 비해서 오름세 거래됨. 고구마는 여주 64%, 영주 15%, 서산 6% 반입되었으며 10kg 상자 상품이 21,000원으로 지난주말대비 5%하락하였음.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59.53 전일대비 21.16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103톤으로 전일보다 2%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우천으로 인해 주말 작업물량 증가가 예상보다 적었고, 전주 기상 악화 및 소비부진으로 시장 반입물량이 적어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세를 보였음. 특히 유통물량이 적었던 청상추와 적상추가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잦은 황사와 비로 인해 소비가 위축되면서 하락세를 보였으나 반입물량 감소가 3~4일간 지속되면서 시장 유통물량이 감소되면서 시장 잔유량 감소로 이어져 강세를 보였으나, 금일에도 황사가 예보되면서 소비심리가 약화되면서 판매부진으로 인한 시장 재고 증가로 이어져 향후 시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많아 보임. 금일 반입된 4kg상자 상추 평균 시세는 품종 구분없이 6,413원으로 전주대비 오름세였으며 적포기는 4kg상자당 6,162원에 형성되었으며, 경기 양평에서 친환경 상추가 꾸준하게 반입되고 있음.

시금치 금일 반입량은 77톤으로 보다 3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남부지방의 시금치 출하가 마무리되면서 주로 경기지역에서 대부분의 물량이 출하되고 있으나 전일 경기 지역의 우천으로 인해 반입물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대부분 오름세를 보였음. 단시금치가 49톤으로 전일보다 28%가량 감소하였으나 박스시금치는 24톤으로 전일보다 20%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부추 금일 반입량은 97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음.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나 주초 납품업체의 주문량 증가와 만두공장, 김치공장등으로의 납품물량 증가로 시세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부추 주출하지는 경북 포항과 경주, 울산 등에서 대부분의 물량이 출하되었고, 영양부추는 경기 여주와 연천, 양주등지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음, 영양부추는 최근 재배지역이 증가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표준가격에 비해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8.93 전일대비 7.57
동 향 : 양파는 조생양파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별 출하비율은 제주 80%, 무안 8%, 고흥 7%임. 금일 반입량은 제주지역 북제주 한경지역 작업이 마무리로 접어들면서 반입량은 주말대비 4%감소한 699톤이며 특품가격은 하락하였으나 상품이하 등급에서 6-15%까지 상승하였음. 대파는 진도, 영광, 고양, 부안, 영암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남지역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반입량은 196톤으로 감소하였으며 상품 한단에 1750원으로 주말대비 오름세 거래됨. 지역별 거래가는 진도 1870-1000원, 영광 2070-1450원, 고양 1720-1500원, 부안 1680-1000원이며 수입대파는 2톤 반입되었으며 한단에 800원에 거래되었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5.61 전일대비 10.26
동 향 : 피망류는 52톤으로 전일대비 20%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물량 공백으로 주초 수요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물량 증가로 시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음. 청피망은 27톤 반입되었고 파프리카류는 11톤이 반입되었음. 양상추는 53톤으로 전일대비 26%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면서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 주말 물량이 대부분 소화되었고 주초 수요 증가로 강세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중 케일과 치커리는 물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지만, 비타민과 파세리는 내림세 거래되었으며,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 셀러리 등은 보합세에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94.02 전일대비 -0.07


2. 수산물
가격지수 : 107.16로 전일대비 -2.20
동 향 : 수산물은 2일간 조업량 반입으로 거래량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지난주 시세 상승으로 중도매인 판매부담이 가중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반입량이 증가하고 소형품 위주로 거래된 고등어 시세가 크게 하락하였으며, 조개류 중 바지락은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하여 약세에 거래됨. 연체류는 선도가 부진한 수입낙지가 약보합세를 보인 반면에, 국내산 쭈꾸미는 주말 소비호조로 강보합세를 보임.

◈ 생선류
가격지수 : 78.75로 전일대비 -0.73
동 향 : 고등어는 월명기가 끝나고 부산지역 대형선망 조업이 재개되었으나 대품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시장내 중․소형품 위주로 반입되어 하락세에 거래. 냉동고등어는 생물고등어 상품성 하락으로 수요가 꾸준함을 보이며 오름세를 나타냄. 갈치는 반입물량이 4톤 증가하였으나 주말 소비량 증가로 중도매인 재고량이 감소하였고 대형유통업체 수요가 꾸준한 대품물량 반입 증가로 오름세를 나타냄. 일본산 냉장갈치는 망 갈치 위주로 거래되었고 상품성이 뛰어난 대품 물량 증가로 강세에 거래. 삼치는 부산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거래가 다소 부진한 하품은 약세를 보였으나 체장이 큰 상품은 수요증가로 강세에 거래.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상품성이 뛰어난 구시로산 반입이 저조함을 보이며 약보합세에 거래. 임연수어는 동해안 조업호조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대품어획량도 증가하여 강보합세에 거래. 병어는 여수 및 목포에서 반입되었으나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에 거래. 활어류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자연산 광어가 반입되지 않아 양식광어가 오름세를 나타냄.

◈ 조개류
가격지수 : 121.95로 전일대비 -17.78
굴은 통영산 중굴이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를 보였고 고흥산 잔굴 역시 물량 증가로 하락세를 나타냄. 바지락은 지난주 시세 상승으로 국내산 산지 작업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반입량이 증가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북한 및 중국산 바지락은 주말 소비호조로 요식업체 매수세가 꾸준함을 보였으나 물량증가로 소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새꼬막 역시 2일 산지 작업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내었음. 홍합은 시세 부진으로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30kg 그물망은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보합세, 15kg 그물망은 선도부진과 가정용 수요 감소로 약보합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20.54로 전일대비 +1.23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장기간 저장에 따른 선도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보임. 쭈꾸미는 산지 축제로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시장 반입량은 다소 감소하였고 국내산은 상품성이 뛰어나 강보합세, 수입쭈꾸미는 선도부진에 따른 품질저하로 매기가 둔화되어 약보합세에 거래. 멍게는 주초 요식업체 납품용 수요증가로 강보합세를 나타냈고, 미더덕은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탕류 소비가 다소 둔화되면서 보합세를 유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