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1.30(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11.30(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5-11-30 11:11


1. 농산물

가격지수 : 111.2 전일대비 -2.91
동 향 : 농산물은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시장 전반적 매기는 다소 한산한 모습을 보임. 서울 및 수도권 김장수요가 금주말로 거의 끝날것으로 예상되면서 점차 수요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부재료인 양념채소류 역시 동반하락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전반적 시세 하락세를 형성하였음. 가장 하락폭이 컸던 품목은 상추를 비롯한 쌈채류였으며 전일재고가 줄지 않은 상황에서 추위로 소비둔감을 예상한 수요감소로 하락세에 거래되었음. 미나리 역시 김장수요 감소로 인해 하락세에 거래되었음. 다만, 엽채류 중 얼갈이는 상품성이 좋은 단(1.5kg) 출하품은 기온하락으로 생산량이 줄면서 오름세에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56.14 전일대비 -2.69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7.35 전일대비 -10.83
동 향 : 배추는 올해 김장도 후반기를 맞으면서 주초를 고비로 반입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 금일 반입량은 1,364톤으로 전일대비 0.2% 감소하였으며 고창지역 물량이 전체의 24% 정도를 점유하여 가장 많았고 해남, 영암, 영광 순으로 출하되었음. 전라지역에서 대부분 출하되어 충청지역 물량은 출하가 거의 종료된 것으로 보이며 금일은 영광지역 출하 비중이 늘었음. 가격은 5톤 트럭기준 상품은 331만원으로 전일대비 4.3% 내렸고, 하품은 207만원으로 48% 올라 등급별 가격이 엇갈린 가운데 하품이 많이 올랐음. 올해 작황이 양호하여 상, 하품간 상품성 차이가 적은데다 예년보다 가격이 높아 상대적으로 하품의 수요가 늘었음. 따라서 특품과 하품 가격 차이도 2.4배정도로 비교적 적었음.

양배추는 출하조절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특, 상품이 오름세였을 뿐 중, 하품은 내림세였음. 김장철로 채소류 소비가 김장 성수품목에 집중되면서 수요가 줄어 물량 감소에도 가격은 영향이 적음. 출하지는 서산지역이 전체의 65% 정도를 가장 많았고 장흥, 화성, 홍천 등지에서 일부 출하되었음. 그러나 출하지 별로 상품성 차이가 심하여 지역별 가격 편차가 큼. 무안, 장흥 지역이 특,상품을 서산, 화성이 중품을 홍천, 서산지역 일부 물량이 하품 시세를 형성하였음.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54톤으로 전일 대비 1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전일 하락세 거래와 기상악화로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였지만 기온이 하락하면서 소비부진으로 이어지면서 판매부진으로 인한 매기부진으로 시세는 큰폭의 내림세를 보였음. 소비부진과 김장으로 인한 판매부진이 겹치면서 표준가격 근처에서 형성되었던 시세는 표준가격대비 최대 30%이상 하락하여 거래되고 있으나, 단기간내에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주중반이후에는 소폭 오름세를 보일가능성이 많아 보임.

미나리는 금일 반입량이 148톤으로 전일대비 97%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전일대비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였고 김장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소비가 감소추세로 접어들면서 시세는 큰폭의 내림세를 보였음, 수도권의 김장이 대부분 마무리되었고 김장이 남부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미니라 시장반입량은 소폭 감소하면서 주중반이후에는 반입량 감소로 인해 소폭 오름세 거래가능성이 많아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5.22 전일대비 -3.52
동 향 : 오이는 반입량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가격은 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반입량은 209톤으로 전일대비 67% 증가하였으나 이는 전일 물량이 워낙 적었기 때문으로 평일보다 조금 많은 물량이었음. 백다다기 대비 취청가격이 70~80% 높게 거래되자 전남 보성을 위주로 강진, 여수 등지에서 지방시장 물량이 일부 출하되어 취청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금일 취청 반입량은 76톤으로 백다기기 물량의 60% 정도 였음.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4,000원으로 전일대비 4.2% 하락하였고 취청 20kg상자 58,000원으로 3.6% 상승하였음. 취청은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날씨가 추워지면서 횟집 등 요식업소 소비가 따라주어 강세를 이어감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6.36 전일대비 -4.19
동 향 : 무는 전일 내림세로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가격은 약세를 이어갔음. 금일 반입량은 636톤으로 전일대비 7.3% 감소하였음. 품종별 출하비중은 외대무가 12%, 다발무가 88%로 외대무 출하가 소폭 줄어들었음. 다발무는 부안, 고창, 무안 지역에서 출하되어 부안지역 물량이 전체의 31% 정도를 점유하여 올들어 처음으로 가장 많았고, 외대무는 영암지역에서 60% 출하된 가운데 고창, 태안 등지에서 일부 출하되었음. 가격은 다발무 5톤 트럭기준 상품은 287만원, 하품은 185만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7%, 11.9% 하락하였음. 주초 비온 뒤 날씨가 추워진데다 주말에 김장을 집중적으로 담금에 따라 주 중반 수요는 상대적으로 적었음. 따라서 물량 감소에도 내림세를 이어갔고 소비도 한산하여 재고가 일부 남아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6.63 전일대비 0.32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1.82 전일대비 1.96
동 향 : 피망은 전일대비 10%가량 감소한 39톤 반입되었음, 전일 대비 물량은 감소하였으나 최근 소비부진으로 인해 판매가 부진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되었음, 양상추는 전일대비 26%증가한 37톤이 반입되었으나 최근 소비가 조금씩 살아나면서 시세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패미리레스토랑등의 납품수요증가와 연말연시 모임이 시작되면서 뷔페 및 음식점 등의 수요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중 치커리, 브로코리, 케일, 비타민등은 내림세 거래되었고, 칼리플라워는 오름세, 파세리,비트,셀러리등은 보합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4.02 전일대비 -4.87
동 향 : 금일 버섯류는 185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3%수준으로 증가. 버섯류 반입량은 180톤 안팎에서 안정적인 수급이 이루어지고 있음. 느타리는 42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약보합세를 형성하였으며 김장철 소비 부진으로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 양송이는 16톤으로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으며 버섯류 전체적인 매기 부진으로 약세 에 거래. 2kg 상품이 11,000원에 거래됨. 생표고는 월초 대비 서서히 상승세를 보여 금일 4kg 상품이 28,000원에 거래됨. 월초 저품질 표고의 반입비중이 높았던 것과 달리 중순경부터 향상된 품질 반입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표고와 반대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는 팽이는 54톤일 반입되어 전일대비 95% 수준으로 감소. 반입량에 따른 시세 차이를 보이는 팽이는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고 지방 분산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락시장 반입량이 늘어나 하락세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1.79로 전일대비 -1.19
동 향 : 수산물은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으나 주중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삼치, 명태냉장수입이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되었고, 조개류는 굴이 반입량 증가로, 깐홍합이 주중 매수세 부진으로 약세를 나타냄. 연체류는 물오징어, 쭈꾸미 수입이 거래량 감소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 생선류
가격지수 : 81.13로 전일대비 +1.87
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고등어 반입물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최근 낮은 가격대 형성으로 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전일 소형품 위주로 거래되었던 명태냉장수입은 금일 선도가 좋은 대형품 거래가 활발하여 다시 강세에 거래. 갈치는 반입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제주산 대형품 입하량 감소로 상품 중심으로 하락세에 거래됨, 반면 중․하품은 꾸준한 매기 형성으로 보합세를 유지. 삼치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시세하락으로 매기가 호조를 보이며 소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중국산 부세는 기온하락으로 소비수요가 증가하면서 꾸준한 반입량을 나타내고 있고 금일은 대형품 부재로 약세에 거래. 병어는 상품성이 좋은 여수산 물량 감소로 하품이 소폭의 하락세를 나타냈고 가자미는 서해안산 물량이 체장이 작아 약세를 보임. 활어류는 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숭어류가 대형품 입하로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활넙치(자연) 또한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10.44로 전일대비 -7.94

◈ 연체류
가격지수 : 91.44로 전일대비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