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8.19(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8.19(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5-08-19 11:57

1. 농산물
가격지수 : 116.52 전일대비 5.95
동 향 : 농산물은 중부와 남부지방 호우주의보 기상청 발표로 인해 일부 품목은 산지 출하량 증대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무더위로 인한 작업부진과 주말 앞둔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형성. 잎채소류중 시금치, 근대, 아욱, 얼갈이 등은 경기지역 생산량이 줄면서 강보합세를 보였고, 열매채소류인 취청오이, 애호박 등은 강원지역의 무더위와 잦은 비 영향으로 생육상태가 불량해지면서 출하량이 줄어 강세로 거래됨. 서양채소류중 양상추는 전일 고단가 거래로 인해 출하량이 늘면서 하락세를 보인 반면, 파세리는 반입량이 줄면서 강세를 형성. 양념채소류인 대파와 실파, 붉은고추는 주말 소비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오름세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88.64 전일대비 0.04

동 향 :감자는 평창, 창원, 횡성, 강릉, 홍천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전일 약보합세 형성으로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21%감소한 220톤이며 우천으로 인하 매기부진으로 보합세 거래됨, 고구마는 여주, 논산, 익산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소폭 오름세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9.43 전일대비 9.55

동 향 :
상추는
반입량이 50톤으로 전일대비 28%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전일 반입물량이 큰폭으로 감소하여 상승폭이 컸으며, 물량이 시장 수요에 비해 20~30%정도 적게 반입되면서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 적포기의 경우 전일을 기점으로 금년 최고 시세를 보였으며, 금일은 전일대비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전일 물량이 대부분 소비되어 재고가 없는 상태에서 주말장 수요가 겹치면서 고가격에 대한 부담에도 불구하고 강보합세를 보였음. 현재 출하되는 물량이 6월말~7월초에 파종된 물량의 끝물출하로 인해 물량이 풍부하지 못한가운데 가을물량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전까지는 물량 부족으로 강세를 유지할것으로 예상되나, 고가격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한 소비감소는 가격 상승폭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많아보이지만,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시 물량 감소로 가격은 상승할 가능성도 있어 향후 기상여건이 가격변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84.01 전일대비 16.53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3.63 전일대비 16.16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4.23 전일대비 5.88
동 향 :
양파는 627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이어 물량이 많이 늘면서 상품기준 6%하락하였음. 대파는 이천, 평창, 고양, 여주, 남양주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182톤으로 감소하면서 큰폭의 오름세 거래됨. 이천, 평창지역 출하품이 특품가를 형성함. 풋고추는 춘천, 홍천, 인제 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 하락세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재고누적으로 약보합세 거래됨. 청양고추는 인제, 춘천, 홍천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49토능로 전일대비 30%감소하였으며 중하품의 오름세가 컸음. 꽈리고추는 22톤으로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으며 홍고추는 저가로 인한 작업량이 감소하여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상품기준 32%오름세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9.8 전일대비 0.86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73.38 전일대비 -2.16

동 향 : 느타리버섯 물량은 전일과 비슷하나 일반 식당 및 식자재 구매력이 약해지면서 내림세 형성. 양송이는 10톤으로 전일대비 84%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주말 우천으로 인한 매기 저하로 약보합세 형성.
새송이 버섯은 물량이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전반적인 시세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표고버섯은 잦은 우천으로 저품질의 상품이 늘어나면서, 품질의 차이에 따라 시세의 편차가 심하며,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 팽이버섯은 당분간은 물량감소에 따라 보합세로 형성 될 것으로 예상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5.68로 전일대비 -0.82
동 향 : 수산물은 조개류, 연체류 반입량 증가와 우천으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약세 거래. 생선류는 병어, 갈치, 아귀가 물량 감소로 시세 상승. 조개류는 바지락, 소라는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주도. 연체류는 수입낙지, 문어가 반입량 증가와 전일 재고누적으로 약세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97.26로 전일대비 +1.03
동 향 : 부산산 생물고등어는 반입량은 감소했으나 우천으로 판매가 부진하였고 선도가 떨어지는 하품 위주로 반입되면서 보합세 거래. 일본산 수입생태는 전일 재고누적과 금일 반입량 증가로 시세 하락.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대형품이 소량 출하되면서 상승세 거래. 삼치는 여수산 반입량 증가와 비가 내리면서 판매마저 부진하여 시세 하락. 남해안 대구는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약세로 거래. 동해안산 임연수어는 체장 작은 소형품 위주로 물량이 늘면서 약보합세 거래. 병어는 목포산과 여수산 반입량 감소와 주말 앞둔 매수세 증가로 시세 상승. 아귀는 부산산 반입량 감소와 판매호조를 보여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세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95.32로 전일대비 -5.59
동향 : 바지락, 소라는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굴, 새꼬막, 홍합은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된데다 우천으로 선도가 떨어지면서 거래가 부진하여 약보합세 거래. 깐바지락, 깐홍합은 판매호조를 보이면서 시세 상승.

◈ 연체류
가격지수 : 112.03로 전일대비 -3.51
동향 : 동해안 물오징어는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나타냈고 중국산 수입낙지와 동해안 문어는 물량 증가와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약세로 거래. 미더덕은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주말 앞둔 판매호조로 재고가 소진되어 상승세를 보였고 오만둥이는 선도가 떨어지면서 판매가 부진하여 하락세로 거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