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31(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31(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1-31 04:1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0.71 전일대비 -1.72


《약세 요인》
○ 2일간 늘어난 물량으로 재고증가 및 추위에 따른 수요량 감소
- 기상예보가 빗나가면서 전일 출하량이 증가하여 시장내 재고증가
- 기온하락으로 주중 농산물 매수 감소 확대
○ 시금치, 쪽파, 치커리 약보합세, 대파 내림세
- 대파 전년대비 반입물량 증가 약세 지속, 시금치, 쪽파 주중 구매력 부진

《강세 요인》
○ 잎마늘, 유채, 취나물 강보합세, 대지감자 상승세
- 제주도가 출하지역인 세품목이 최근 약세로 산지 작업량 감소
- 전년대비 겨울철 기온상승으로 대지감자 병충해 증가 상품물량 부족"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66.3 전일대비 5.52


◇ 고구마 : 강세

- 전체 반입량 30톤 중 경기 여주지역 전일 대비 6% 감소한 16톤 반입
- 충남 논산, 예산 지역 호박고구마 물량 적은 가운데 소비수요 증가로 강세 주도
◇ 감자 : 강세
- 전일 대비 26% 감소한 152톤 반입, 강원 평창, 전북 남원 지역 수미종 감자 물량 감소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출하량 조절로 68톤 반입, 재고소진 및 매수세 증가로 강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0.64 전일대비 -1.52
◇양배추 : 오름세
- 반입량이 전일대비 3% 감소. 제주시 72%, 진도군 12%, 무안군 6%에서 출하됨.
- 가격 약세로 상품성이 낮은 저가품은 출하가 포기
- 제주지역 올해 양배추 재배면적은 1,755ha이며 가격약세로 생산량 대비 40%인 702톤 산지 폐기.


매입단 가는 평당 1305원
- 산지 폐기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가격지지 역할 수행 전망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4 전일대비 -1.74
◇호박 : 내림세
- 전체 반입량은 162톤으로 전일대비 1% 감소
-
품종별로는 애호박 52톤, 쥬키니 64톤, 늙은호박 24톤, 단호박 20톤임.
- 전일에 비해 애호박은 32.8% 감소하였으나 쥬키니는 68.8% 증가.
-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24,500원, 쥬키니는 11,5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1, 6.1% 하락.
- 물량감소가 적었던 데다 주 중반으로 소비가 부진하였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68.59 전일대비 -0.23
◇당근 : 보합
- 반입량은 전일대비 15% 감소한 93톤이며 국내산과 수입산 비중은 80%, 20% 정도임.
- 가격은 국내산 20kg상자 상품 13,000원, 보통 10,500원, 수입산 10kg상자 6,000원.
- 제주지역의 올해 당근 생산량은 63,000톤 정도며 최근 가격 약세로 생산량의 7% 수준인


4,000톤을 수매 후 북한에 보낼 예정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3.77 전일대비 -2.69
◇ 양파 : 강보합세
- 전일 대비 30% 감소한 417톤 반입, 전남 무안산 출하량 조절로 186톤 출하
- 세일 행사철로 구가 작은 양파 매수세 증가, 수입 양파(67톤) 반입량 감소
◇ 대파 : 내림세
- 전남 진도 지역 218톤 반입되면서 전체 물량 증가
- 전일 신안산 반입량 증가, 판매부진, 재고가 누적되면서 시세 하락
◇ 쪽파 : 내림세
- 전일에 이어 충남 예산 지역 흙쪽파 출하량 증가, 소비부진에 따른 재고누적, 시세 하락
- 깐쪽파는 제주산 출하 조절로 물량 감소, 충남 예산, 당진 지역 작업 활발, 반입량 증가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4.13 전일대비 -8.62

◇ 브로코리,빨간양배추 - 약세
- 기상예보가 빗나가면서 2일간 늘어난 물량으로 재고 증가 및 수요량 감소
- 빨간양배추는 저장 물량이 많이 출하되고 있으나, 소비처는 한정적이어서 소비 부진.
- 브로코리는 전일대비 12.5% 하락한 평균 14,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약보합세
- 전일대비 52% 증가한 72톤 반입.
- 주중 거래로 접어들면서 소비는 주춤한 양상을 보임.
- 10kg 상품 기준 전일대비 2.4% 하락한 평균 20,000원에 거래
- 개학을 앞두고 수요 증가 예상
◇ 피망,파프리카 - 강보합세
- 전일대비 10.5% 감소한 37톤 반입.
- 2월은 개학 및 졸업시즌을 앞두고 유통 및 요식업체의 구매력 증가
- 피망·파프리카의 경우 매년 2월에 강세를 보임.
- 빨강 파프리카의 경우 전일대비 9% 상승한 평균 42,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3.84 전일대비 -5.74

◇ 양송이, 팽이버섯 하락세
- 반입량 증가

: 양송이 금일 14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2톤 증가

: 팽이 금일 53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8톤 증가

- 주중 재고 누적
- 추운날씨로 수요 감소
- 산지 작황 호전으로 인해 충남 부여, 보령 지역 양송이 상품성 향상
- 2월 초 개학을 앞두고, 급식 대표
메뉴인 양송이· 팽이의 수요
증가 가능성

◇ 새송이 보합세
《강세요인》
- 반입량 감소

: 금일 50톤 반입으로 전일 대비 8% 감소

: 하품 반입량 감소로 하품 가격 31% 증가
- 군납 및 요식업소 납품 증가



《약세요인》
- 전반적으로 상, 중품 상품성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4.60전일대비 -0.68
《 약세 요인 》
◎ 전국적인 한파로 시장 외부 구매 고객 감소



- 어획부진으로 생물 반입물량 감소
→ 냉동물량 증가



- 상품성이 낮은 물량증가로 약세 형성
◎ 매기부진으로 중도매인 보유 수산물 보유량 충분



《 강세 요인 》
◎ 대형유통업체 세일 품목의 구매량 증가 (고등어, 갈치, 오징어 등)
◎ 생선류 일부 품목중 냉동 반입량 증가에 따른 생물 반입감소로 오름세


- 고등어, 갈치는 생물 반입량 감소로 상품 위주로 오름폭이 컸음


- 활어류는 산지의 눈과 기온하락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오른 품목 증가

◈ 생선류
가격지수 : 78.66 전일대비 +2.08
《 약세 요인 》
◎ 국내산 조기, 가자미 상품성이 떨어짐


- 국내산 조기는 제주 물량이 주반입 되었으나 가격이 높고 체장이 작은 물량의




반입 증가로 약세에 거래


- 삼치는 반입량 증가에도 선도는 양호하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병어는 씨알이 잘은 3단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강세 요인 》
◎ 대형 유통업체의 가격인하 전단상품 지정 품목의 거래량 증가 (고등어,갈치 등)
◎ 고등어,갈치는 국내산 생물의 반입량 감소로 대형품 위주로 거래 증가



- 고등어는 어획부진으로 생물 반입량이 감소하여 중소형 고등어의 오름폭이 컸음



- 갈치는 제주지역 기상여건 악화로 채낚기 물량 감소, 중품이상의 오름폭이 컸고





수입물량(일본,중국,인디아)은 증가하였으나 수입국가에 따른 가격차가 컸음.





조개류

가격지수 : 92.75 전일대비 -4.01
《 약세 요인 》

◎ 수입물량 증가와 상품성 저하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재고량 누적

◎ 기온하락으로 시장 외부 구매량 감소




- 굴은 전일 보다 6톤 감소한 10톤의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상품인 고흥산 잔굴은






보합세이나 통영산 중굴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수입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에도 씨알이 잘고 파손품, 폐사량이 많아 요식업체







구매 물량 감소




- 새꼬막은 순천 여자만에서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홍합은 요식업체의 수요는 꾸준하나 전일 미판매분 증가와 상품성하락으로 약세
《 강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남해, 서산산이 소량씩 반입되나 최근 매스컴을 통한 요리법




및 영양이 우수한 수산물로 소개되어 가격 형성이 높았음

◈ 연체류
가격지수 : 111.76 전일대비 -4.14
《 약세 요인 》

◎ 최근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매기부진으로 재고물량 증가




- 수입낙지 반입량은 전일 수준(3톤)이나 수입원가 상승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거래가 부진



- 쭈꾸미 국내산은 소량 반입되어 강세를 유지, 반입 비중이 많은 수입산은 상품성
















저하에도 높은 가격 지속되었으나 금일은 반입량 증가로 약세





- 냉동오징어는 생물가격이 높아 대체수요는 증가하나 고정 급식업체의 구매량 감소로














약세 형성
《 강세 요인 》


풍랑주의보 발효로 생물 반입 감소, 수입 냉동 물량 증가




- 생물오징어는 체장이 작은 오징어의 반입이 많아 대형품 중심으로 오름세였으나






중상품 간의 가격차이는 적았음




- 오만둥이와 미더덕은 산지 기후불순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재고물량이 소진되어







오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