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8.16(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8.16(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55 전일대비 6.66
동 향 : 농산물은 3일간 연휴가 끝나면서 중도매인 물량확보 매수세가 장을 주도하여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 열매채소류와 잎채소류는 소비수요 증가 기대심리에 따른 외식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시장 매기가 호조를 보이며 오름세를 형성하였고 서양채소류 또한 상품중심으로 거래되어 상승세를 나타냄. 반면 서류는 반입물량이 소폭증가하고 재고누적으로 거래가 부진하여 하락세에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8.7 전일대비 -7.49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6.99 전일대비 13.59
동 향 : 배추 금일 반입량은 518톤으로 전일대비 2%감소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45%, 태백 35%, 정선 10% 순이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9%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5%하락한 337만원이며, 지역별 가격은 평창 142~403만원, 태백 225~453만원, 정선 150~378만원이었슴. 1. 전체동향 - 금일은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였고, 휴가철이 끝나감에 따라 소비가 점차 증가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19% 오름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태백, 삼척과 정선, 평창 등지에서 주로 출하가 되었으며, 태백, 삼척에서 출하된 배추가 상품성 우수하여 장세를 주도하였슴.
- 양배추 : 양배추 금일 반입량은 377톤으로 전일대비 12%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86%, 정선 9%, 횡성 4%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0%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7%하락한 2,800원이며, 지역별 가격은 평창 700~3,900원, 정선 850~3,300원, 횡성 750~1,500원이었슴. 1. 전체동향 - 반입량이 전일대비 증가하면서 시세는 30%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2. 소비동향 - 금일 소비는 원활한 편이나, 전일 시세 상승으로 물량이 가락시장으로 몰리면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슴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3.2 전일대비 25.88
동 향 : 오이 금일 반입량은 227톤으로 전일대비 28%감소하였슴. 상품기준 가격은 백다다기는 전일대비 27%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1% 상승한 35,500원이고, 취청은 전일대비 33%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5% 상승한 38,500원이었으며,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홍천 49%, 춘천 19%, 서산 11% 순이고, 취청은 진천 18%, 홍천 13%, 천안 12%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최고가격은 백다다기는 홍천 45천원, 춘천 29천원, 서산 43천원이고, 취청은 진천 23천원, 홍천 25천원, 천안 43천원임. 월초 시세가 최저가를 이어가면서 유통경로를 변경하면서 최근 물량이 급격이 감소하였고, 지속적인 폭염 및 일교차로 인한 저품질 물량 출하 자제 및 상품성 우수한 것은 출하조절을 통하여 반입량이 28% 감소하였고, 소비는 중도매인의 세일 행사와 휴가철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요식업소 수요 증가 등이 나타나면서 시세는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 호박 : 호박 금일 반입량은 193톤으로 전일대비 23%감소하였슴. 상품기준 가격은 애호박은 전일대비 21%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3% 상승한 14,500원이고, 츄키니는 전일대비 28%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63% 상승한 24,250원이었으며, 출하지역은 애호박은 화천 61%, 춘천 22%, 양구 9% 순이고, 츄키니는 홍천 50%, 횡성 34%, 평창 7%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최고가격은 애호박은 화천 26,500원, 춘천 20천원, 양구 23천원이고, 츄키니는 홍천 29천원, 횡성 23천원, 평창 18천원임. 강원지역 끝물 및 폭염, 일교차로 인한 저품질 물량은 출하를 자제하였고, 신규 첫물 출하지역의 출하 공백기를 맞아 반입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소비측면에서는 중도매인들의 세일 행사 및 휴가철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소비가 증가하였고, 산지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중도매인의 물량 확보가 늘어나면서 시세는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5.21 전일대비 3.65
동 향 : 무 금일 반입량은 396톤으로 전일대비 12%감소하였슴. 5톤 트럭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4%하락한 288만원이었슴. 출하지역은 강릉 30%, 평창 28%, 정선 20% 순이었고, 지역별 최고 가격은 강릉 403만원, 평창 353만원, 정선 272만원이었다. 1. 전체동향 -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로 인하여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4% 오름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면서 상*중품 가격대가 많은 편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77 전일대비 3.04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8.68 전일대비 8.67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85.41 전일대비 5.09
동 향 :
2. 수산물
가격지수 : 110.48로 전일대비 -0.93
동 향 : 수산물은 연휴이후 조개류 반입량 크게 증가하면서 하락세 주도. 생선류는 수입부세, 고등어, 양식광어가 반입량이 줄면서 매수세가 증가하여 시세 상승. 조개류는 깐바지락, 바지락, 깐홍합, 모시조개가 물량 증가와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 주도. 연체류는 수입낙지, 문어가 물량 감소와 재고소진으로 시세 상승.
◈ 생선류
가격지수 : 97.95로 전일대비 +0.43
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주초 재고소진에 따른 상승세 거래. 수입생태는 반입량이 감소했으나 일본산 선도가 떨어지고 체장이 작아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 갈치는 제주산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면서 체장 큰 대형품 위주로 물량이 적어 오름세를 보였고 일본산 수입갈치는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 상승. 중국산 수입부세가 반입되면서 선도가 좋고 체장이 커 오름세로 거래되었고, 여수산 삼치는 물량은 줄었으나 체장이 작고 날씨가 무더워 선도가 떨어지면서 판매부진으로 내림세 형성. 활어류중 양식 광어와 농어는 연휴이후 반입량이 줄었고 주초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06.52로 전일대비 -17.54
동향 : 연휴가 끝나면서 산지 작업이 활발한 가운데 굴, 바지락, 깐바지락, 깐홍합, 소라, 모시조개가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시세 하락 주도. 새꼬막, 홍합은 무더위로 인해 선도가 떨어져 판매가 부진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31.69로 전일대비 +4.98
동향 : 물오징어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체장이 작아 판매부진으로 약세를 보였고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크게 줄었고 주초 재고가 부족해 수요에 미치지 못하면서 강세 거래. 문어는 동해안산이 선도가 좋고 체장이 큰 대형품 반입으로 판매호조를 보이면서 오름세 거래. 오만둥이는 무더운 날씨로 선도가 떨어지고 판매가 부진하면서 시세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