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5.1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5.1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16.04 전일대비 -2.05
동 향 : 주말을 앞둔데다 남부지방에 오후부터 많은 비가 내린다는 기상예보로 서둘러 출하된 물량이 많음. 반면 주말장임에도 궂은 날씨로 외식인파 감소를 우려한 요식업소 등 대량 구매처에서 주문량을 감소함에 따라 가격은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에 거래됨. 산지 물량 부족으로 강세에 거래되었던 무, 양배추, 피망 등의 약세로 뿌리채소류와 서양채소류는 내림세가 두드러졌으며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생산량 부족으로 오이, 애호박 등은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열매채소류는 강세가 이어짐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0.85 전일대비 -2.34
동 향 : 감자는 전일 물량증가에 따른 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은 전일대비 24%감소한 325톤이며 20kg상자 상품이 21,500원으로 전일에 비해 4% 하락하였음. 김제, 밀양, 서산지역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으며 제주도 대지종은 전일 비가 내려 7톤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한 상자에 17,000-4,000원에 경락되었음.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9.9 전일대비 -2.41
동 향 :상추 금일 반입량은 112톤으로 전일대비 16%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금주들어 반입량 감소로 강세 거래되던 상추류는 주말 대비 물량이 증가하면서 소폭 내림세 거래되었으나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했으나 주중 시장 반입량이 적어 시장 재고가 감소한 상태가 지속되었고, 주말 대비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량 증가폭에 비해 시세 하락폭은 제한적이었음. 청상추와 적포기는 시장 유통물량이 적어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적상추는 예상외로 유통물량이 풍부해 약세를 보이고 있음. 금일 반입된 상추 박스 수량은 4kg 상자 기준으로 27,800여상자로 전일보다 4,000여상자 증가하였으나, 평균단가는 전일보다 250원 정도 내린 4,684원에 거래되었고, 적포기는 4kg 상자기준으로 21,000여상자가 반입되었고 평균 거래단가는 4,886원으로 전일보다 150원정도 내림세를 보였음.
미나리 총반입량은 93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음, 4kg 상자 미나리가 51톤으로 전일과 비슷한양이 반입되었으나 20kg 단미나리는 42톤으로 전일보다 2톤 가량 적은 양이 반입되었음. 20kg 단미나리는 물량 감소와 주말 대비 수요증가로 소폭 오름세를 보인반면, 4kg 상자 미나리는 주중 물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시장 재고가 누적된 상태에서 반입량이 줄지 않으면서 내림세를 보였음. 4kg 상자미나리의 경우 강원도 홍천과 춘천등지에서 자연산 미나리가 반입되면서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열무 반입량은 100톤으로 전일대비 25%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1.5kg 단열무가 83톤으로 전일대비 29%가량 감소하였고, 4kg 상자 열무는 17톤으로 전일대비 7%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생육여건 호조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표준가격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으나, 소비가 꾸준하게 형성되면서 물량 증가에도 금주 시세는 보합세를 보였음. 금일은 반입량이 증가한 4kg 상자 열무가 상품은 보합세를 보인반면 중하품은 큰폭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1.5kg 단 열무는 물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보였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7.63 전일대비 -2.64
동 향 : 양파는 성출하기를 맞아 홍수출하가 계속되는 가운데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음. 금일 반입량은 1,024톤으로 전일에 비해 2%감소하였으나 금주 들어 연일 많은 양이 반입되면서 재고량 누적으로 상품기준 1kg에 487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음. 대파는 경기일원에서 출하가 되고 있으며 시세하락으로 주말임에도 반입량은 188톤으로 전일에 비해 11%감소하였으며 상품이 한단에 1,110원으로 3%하락하였음. 지역별 경락가는 구리 1300-760원, 고양 1120-720원, 포천 1070-800원, 남양주 1120-730원,전주 1300-1000원임. 풋고추는 전일과 같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10kg 상자 상품이 29,000원으로 전일보합세이며 청양고추는 64톤으로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로 상품이 한상자에 29,000원으로 6%하락하였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8.27 전일대비 -13.94
동 향 : 피망류는 61톤으로 전일대비 29%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청피망이 39톤 반입되면서 전일보다 4톤가량 증가하였고, 홍피망은 전일과 비슷한 4.8톤, 파프리카류는 16톤으로 전일 보다 9톤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전주 후반부터 반입량 감소로 큰폭으로 시세가 상승하자 산지 작업량이 증가하였고, 주말대비 수요증가를 예상하면서 시장 반입량 증가폭이 예상 보다 확대되면서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양상추는 72톤으로 전일 보다 3%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으나 시세 변동은 없었음. 최근 거래 단가가 워낙 낮게 형성되어 있어 물량 증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근교산 을 중심으로 최근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어 약세를 보이고 있으나, 치커리와 케일, 비트등은 물량 감소로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고,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는 보합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0.14 전일대비 -4.99
동 향 : 주말인 오늘 버섯류는 주말대비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로 185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4%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궂은 날씨와 외식인파 감소를 우려한 요식업소의 주문 감소로 지수 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41톤이 반입되어 출하량 증가세를 보였으나 주말 유통업체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특품 중심 하락세 형성. 이번주 들어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보인 양송이는 금일 14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수요가 꾸준해 오름세 지속. 생표고는 21톤으로 물량이 증가한 가운데 상품성 향상으로 매기가 꾸준해 상승세 형성. 팽이는 저가 형성으로 인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금일 반입량은 전일과 같은 50톤이 반입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56로 전일대비 +0.60
동 향 : 수산물은 주말을 앞두고 산지 기상 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에 거래. 생선류는 생태 및 꽁치가 반입물량 증가로 약세에 거래되었고, 조개류는 굴, 바지락이 주말 수요 형성 활발로 오름세. 연체류는 수입낙지, 수입쭈꾸미가 요식업체 주문량이 증가하여 강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29로 전일대비 -0.25
동 향 : 생물고등어는 부산산이 반입된 가운데 대품은 중도매인 수요가 집중되어 상승세를 중․하품은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를 나타냄. 꾸준한 반입량을 보이고 있는 냉동고등어는 주말을 앞두고 매기가 활발하였으나 중도매인 재고량이 충분하여 보합세 유지. 갈치는 제주지역 기상조건 악화로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면서 가정용 수요가 많은 중품위주로 오름세에 거래. 갈치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선도 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명태냉장수입은 상품성이 뛰어난 일본 구시로산 반입 부진과 함께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나타냈고, 꽁치 냉장 수입은 주중 소비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된 가운데 금일 반입량마저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 삼치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형선망 물량이 체장이 커 전일에 이어 오름세에 거래. 대구는 반입물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전일 물량이 체장이 작아 재고가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병어는 목포 및 여수에서 주말 소비호조 기대로 대품반입이 활발하여 강보합세. 임연수어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대품 거래부진으로 하락세, 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가자미는 선도가 뛰어난 고급 물량이 반입되어 강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3.46로 전일대비 +4.12
굴은 통영산 출하량 감소하고 최근 소비부진으로 중도매인 재고량이 바닥나면서 강세에 거래. 바지락은 국내산 반입량이 증가한 가운데 주말 요식업체 수요 증가와 함께 상품성이 뛰어나 강보합세를 보임. 홍합은 소비가 주춤한 가운데 주말 우천 보도에 따른 소비수요증가 기대로 반입량이 늘어났으며 시세도 하품 중심으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새꼬막은 여수 및 벌교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주말 가정용 수요 급증 기대로 매기가 원활하게 형성되어 보합세를 유지. 전복은 주말 특수로 산지 출하량이 늘어난 가운데 씨알이 작아 약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32.19로 전일대비 +1.00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하였으나 주말 수요 증가기대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장을 주도하며 강보합세에 거래. 수입쭈꾸미 역시 중국산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요식업체 및 식자재 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보합세를 보였음. 다만, 상품의 경우 선도가 부진하여 전일과 동일한 가격대를 형성.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수도권 지역 주말 우천 보도로 탕류 수요 기대 증가와 함께 산지 출하물량이 상품성이 뛰어나 오름세에 거래. 물오징어는 경북 및 동해안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형품 위주 거래로 시세는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