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1(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5.10.11(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1. 농산물
가격지수 : 120.86 전일대비 -0.55
동 향 : 최근 채소류는 많은 품목이 예년과 달리 일교차 심화로 인해 생산량이 줄면서 오름세에 거래되고 있으며 금일은 월요일 장 수요가 정리되면서 소폭 내림세에 거래됨. 배추와 무는 이기작 상품성 하락과 신규출하지역 증가로 다소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특히 서양채소류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수하락을 주도했음. 반면 오이는 생산량 감소로 강원산이 격일출하되고 있고 주 산지인 천안물량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다음주까지 강세장이 지속될 전망이며. 고추류 역시 풋고추는 강원에서 전라권, 꽈리는 충청에서 경상권으로 출하지역이 이동하면서 일시적 물량 공백기를 보여 강세장이 형성되고 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79.64 전일대비 -1.47
동 향 : 감자는 전일보다 15%감소한 309톤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이어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약보합세 거래됨. 고구마도 성출하기를 맞아 반입량이 전일 163톤으로 큰 증가를 보였으며 금일 반입량은 경매물량이 전일대비 22%감소한 98톤이며 상품기준 7%상승하였으나 상품 품위간 격차가 커 중, 하품은 내림세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64.72 전일대비 -7.63
동 향 : 배추는 전일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금일 반입량은 630톤으로 24%감소하였으며 김치공장과 외부 시장으로의 반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품은 1%하락하였으나 중하품은 2-4%상승하였음. 출하지역은 평창, 횡성, 홍천지역이며 기타 춘천, 영월, 단양지역에서 출하되었음.
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56톤으로 전일 대비 3%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반입량의 감소폭은 크지 않았으나 전주말 가격상승에 따른 가격부담과 주초 수요가 약하게 형성되면서 매기 형성이 부진해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유통업체의 할인행사도 마무리에 접어들면서 주문이 감소하였고, 고단가로 인한 가격부담으로 인해 소비가 뒷받침 도지 않으면서 9월 중순이후 형성되었던 상승세는 일단락될것으로 예상됨.10월 중순부터는 애벌물량의 출하가 시작될것으로 예상되어 물량 교체에 따른 물량 감소가 예상됨. 상승추세는 꺽인것으로 보여지지만 그렇다고 일시에 큰폭으로 하락반전하여 표준가격 이하로 거래될 가능성은 당분간은 적어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252.24 전일대비 33.62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39.41 전일대비 1.68
동 향 : 무는 전일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하락으로 금일은 물량이 16%감소한 487톤이며 중, 하품이 11-13%상승하였으나 특상품은 4-6%하락하였음. 금일 지역별 최고 경락가격은 홍천 6,590,000원, 평창 4,610,000원, 안동 4,720,000원, 춘천 4,200,000원임. 금일 시세는 전일에 이어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상품기준 5톤 트럭이 평균 5,115,000원으로 지난주 평균 5,751,000원보다 내림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0.22 전일대비 -1.32
동 향 : 양파는 전일대비 22%감소한 540톤 반입되었으며 주중 소비 부진과 전일재고로 강보합세 거래됨. 전일에 이어 거래가격은 전주대비 약보합세 형성함. 대파는 전일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면서 반입량은 3%증가한 227톤이며 상품이 8%하락하였음. 풋고추는 전일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이 큰폭으로 감소한 34톤 반입되었으며 상품 10kg상자가 평균 26,000원으로 전일대비 22%상승하였음. 청양고추는 전일대비 7%감소한 54톤 반입되었으며 상품이 16% 상승하여 오름세가 크게 나타남. 꽈리고추는 22톤으로 전일대비 12%감소하였으나 상품이 6%하락하였으나 지난주에 비해서 강세에 거래되고 있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1.1 전일대비 -23.38
동 향 : 피망은 전일 대비 8% 감소한 46톤이 반입되었지만 최근 매기부진으로 인해 시세는 소폭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최근 소비부진으로 인해 시세는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어 물량 교체가 있기 전까지는 현재의 시세패턴을 유지할것으로 보여짐. 양상추는 82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지만 시장 재고량 증가와 전일 시세 상승에 따른 부담감와 유통업체의 할인행사 마무리로 인해 주문이 감소하면서 전일대비 큰폭으로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브로코리와 칼리플라워는 물량 감소로 전일대비 상승세 거래되었고, 치커리,케일,셀러리 등은 하락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9.68 전일대비 0.29
동 향 : 버섯류는 180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89%수준으로 감소. 버섯류는 32톤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짐. 병느타리보다 스티로폴 및 박스느타리가 매기가 활발함. 금일 거래가는 9,750원으로 소폭 상승. 양송이는 논산 부여, 당진 지역을 중심으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어 반입량은 11톤으로 적은 편임. 반입량 감소와 더불어 유통업체 식자재업체 주문 증가로 강보합세 형성. 생표고는 품질 저하고 약보합세에 거래됨. 금일 반입량은 35톤으로 전일과 비슷함. 팽이는 최근 가격 상승을 보이고 있으며 금일 거래가는 100g 상품이 205원에 거래. 전일대비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가 꾸준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101.80로 전일대비 -1.72
동 향 : 수산물은 전일 시세부진 여파와 조업여건이 악화돼 반입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매기 부진으로 약보합세를 형성. 생선류는 고등어, 삼치가 반입량 감소와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되었고, 조개류는 굴이 씨알이 작아 하락세를 형성함. 연체류는 낙지수입, 쭈꾸미가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약세에 거래됨.
◈ 생선류
가격지수 : 90.72로 전일대비 +3.22
동 향 : 고등어는 최근 시세 부진에 따른 산지 출하기피로 반입 물량이 전일대비 30톤 가까이 줄어들면서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수입생태는 최근 고가 형성으로 수입량이 전일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약보합세 수준에서 거래되었음. 갈치는 남해안 일대에 바다 물결이 높게 형성되면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형성했고, 일본산 냉장 갈치는 선도가 좋은데다 상품물량 부족현상에 따른 매수세 호조로 오름세에 거래. 국내산 냉동조기는 제주산 물량이 소폭증가하였으나 전일에 비해 매기가 다소 둔화되어 하락세에 거래. 삼치는 동해안산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체장이 작은 하품은 거래가 부진하여 오히려 하락세를 보임. 청어는 소형품 위주로 거래되면서 하락세를 대구는 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 영향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활어류는 숭어류가 매수세 부진과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나타냈고 기타부류도 매수세 둔화로 약보합세에 거래. 다만, 활농어 자연산은 체장이 큰 물량이 주로 거래되어 오름세를 나타냄.
◈ 조개류
가격지수 : 98.79로 전일대비 -10.78
동 향 : ·전체적인 반입량은 전일 대비 감소하였으며 매기 부진으로 내린 품목이 많았음. 굴은 통영, 남해산이 주출하 되었고 전일 반입량 과다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내림세에 거래. 바지락의 반입량은16톤으로 전일 대비 4톤이상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분 처분과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소비로 강보합세에 거래. 세꼬막의 반입량은 3톤으로 전일에 비해 물량 감소로 오름세로 거래되었고, 참꼬막은 상품성이 좋은 상등품의 출하로 등급간의 가격차가 크지 않았음. 홍합은 기온이 내려가면서 반입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 증가에도 재고량 증가로 소폭의 내림세에 거래. 소라는 상품성이 좋고 등급간 가격차이도 심하지 않았으나 반입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96.11로 전일대비 -9.87
동 향 : 전체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감소하였고 최근 반입물량 증가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내린 품목이 많았음. 물오징어는 18톤 반입되어 전일에 비해 11톤 이상 감소하였고 선호도가 높고 거래도 활발하여 상품은 47%, 중품은 16% 이상의 오름세에 거래. 냉오징어는 6톤 반입되었고 보합세에 거래되며 매기는 한산함. 수입산 중국 낙지는 15톤 반입되어 전일에 비해 8톤이상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매기는 다소 활발하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 쭈꾸미는 국내산은 소량이고 수입품 냉장품이 전일에 비해 3톤 증가한 7톤이 반입되어 전일의 1/2 가격에 거래됨. 문어는 가격 변동이 크게 없어 보합세에 거래.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전일의 반입량 감소로 가격이 오르자 금일은 반입량이증가 하여 내림세에 거래.
◈ 민물류
가격지수 : 85.40로 전일대비+2.27
동 향 : 발암 물질인 말라카이트 성분 검출 보도 이후 중국 수입산 민물어류는 미꾸라지 외에는 반입이 중단되어 거래가 되지 않고 있으나, 국내산 민물류는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에 거래 되었으나 매기는 부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