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20(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20(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3-20 02:51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0.17 전일대비 2.23
《강세 요인》
○ 온화한 날씨가 이어지며 시장 거래 활발
○ 주중 접어들며 학교 급식 수요 증가와 요식업소 수요량 증가
○ 대형 유통업체 봄철 맞으며 세일 행사 등으로 구매량 증가
- 근교산 채소류를 중심으로 신선초, 청경채, 적상추 등 쌈채소류의 가정용 수요 증가
《약세 요인》
○ 서류 중 감자는 높은 가격 형성에 따른 소비 부진과 상품성 저하로 약보합세
○ 전일 가격 상승이 컸던 배추는 가격부담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시장 재고량 쌓이며 약보합.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8.65 전일대비 -5.02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3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9% 감소. 특상품과 중하품 가격차별 심화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12톤, 논산 1톤, 연기 1톤 반입. 특품 물량 적어 오름세
- 여주산 1,000-25,500원, 논산 5,000-26,000원, 연기 11,000-15,000원 거래
- 호박고구마는 19톤 반입. 익산 4톤, 여주 2톤, 서산 2톤, 천안 2톤, 연기 2톤 반입
- 저장 상태 불량 상품 출하 증가. 밤고구마와 가격차이 거의 없음
- 상품성 우수한 논산산 최고 39,000원 거래. 전반적으로 상품성 떨어져 약보합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31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 증가. 경남지역 수미감자 출하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32% 증가한 134톤 반입. 평창 52톤, 밀양 21톤, 창원 19톤
- 강원 평창산 출하량 전일대비 85% 증가. 전일 시세 영향으로 산지 출하 조절
- 상품 평균 17,000원으로 전일대비 15%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73톤 반입(전일대비 5% 감소)
- 상품성 떨어져 판매부진, 재고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상품 평균 23,500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하락한 약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3.6 전일대비 3.13

◇배추 - 내림세
- 전일에 비해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시세가 좋아 평일보다 많은 물량이


출하되었음.
- 금일 반입량은 516톤으로 전일대비 17.2%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12톤에


비해

25% 많았음.
- 지역별 출하는 해남 80%, 진도 12%, 무안 8% 으로 지역별 물량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음.
- 봄철 소비는 한정된 반면 연일 많은 양의 물량이 출하되어 재고 누적으로 가격은 내림세로



반전되었음.
- 최고가 3,400원 상품 2,525원, 보통 1,965원으로 등급별로 100~150원 가량 하락하였음.
- 가격 약세에도 판매에 어려움을 겪어 잔품이 상당수 남아있는 모습임.
- 아직은 노지출하가 주종이나 저장물량이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임. 금일도 5대가 반입되어 전체물량의


8% 점유함.
- 노지 작업이 마무리 단계임으로 저장물량 반입비중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다음주부터는 거래를


주도할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저장품은 장기보관으로 짓무름이 심하고 물기가 많아 상품성이 떨어짐.
- 가뜩이나 시세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상품성 하락으로 거래를 더욱 위축 시킬 가능성이 있으니 출하


전 반드시 재작업이 필요하겠음.
◇ 상추 - 오름세
-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대형 유통업체의 봄철 세일 행사로 수요가 증가해 오름세를 보임.
- 반입량은 113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40%가량 증가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96톤, 청상추 13톤, 적상추 3톤 가량임.
- 적포기(4kg,상)는 전일보다 16% 오른 8,950원, 적상추는 13%오른 10,000원,
-
청상추는 3.8% 하락한 8,85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오름세
- 섬초의 반입이 없어 근교산 시금치가 주종을 이룬 가운데,
-
따뜻한 날씨로 시장거래가 활발하여 시세는 오름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96톤이며,
-
포항초 15톤, 4kg 상자 시금치 22톤, 단 시금치 45톤, 육지초가 15톤 가량임.
- 상자시금치(4kg,상) 5,500원, 단 시금치(400g단,상) 490원, 포항초(500g단,상)는 1,2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3.65 전일대비 2.57
◇호박 - 오름세
-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198톤으로 전일대비 16.2% 감소함
- 품종별로는 애호박 101톤, 쥬키니 45톤, 단호박 32톤, 늙은호박 20톤이 출하됨
- 애호박은 8.2% 감소하는데 그쳤으나 쥬키니는 40.5% 감소해 쥬키니의 물량감소가 두드러짐
- 애호박은 진주 91%, 광양 4%에서 출하되고 진주의 물량 집중도가 높아졌고 쥬키니는 전주 45%,


진주 35%, 논산 9%에서 출하됨
- 가격은 애호박(20개)은 상품 16,500원, 보통 14,750원으로 각각 10.2%, 22.9% 상승하였고
- 쥬키니(10kg상자)는 상품 7,750원, 보통 7,000원으로 각각 10.7%, 16.7%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9.68 전일대비 1.54
◇무 - 오름세
- 반입량이 꾸준한데도 소비가 따라주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78톤으로 전일에 비해 14.2%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538톤 대비 12%


많은 물량임
- 가격은 육지산 흙무 1,100~1,800원, 세척무(진도) 2,800~3,900원, 제주무 3,500~6,300원이었음
-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육지산 흙무만 상품성 저하로 소폭 하락함.
- 올 겨울 햇김치 수요가 증가한데다 최근 맑고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외식소비 증가로 소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또한, 제주산이 출하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산지 폐기 등으로 출하조절이 이루어져 물량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가격상승의 원인으로 보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8.94 전일대비 3.35
◇ 양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8% 감소한 590톤 반입. 시세하락 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조절
- 전남 무안 313톤, 함평 85톤, 신안 32톤, 창녕 21톤, 김천 19톤 등 반입
- 출하량 증가로 하락세 지속되면서 산지 저장분 출하 감소.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557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수입양파는 49톤 반입(중국산 29톤, 미국산 20톤), 중국산 16kg 5,600-8,000원
- 미국산 20kg 7,500-8,500원에 거래. 국내산 약세 거래로 수입 또한 보합세 지속
◇ 대파 : 보합세
- 금일 267톤 반입(전일대비 14% 감소). 전남 신안산 출하량 조절로 감소.
- 전남 진도산 175톤, 신안산 84톤, 영광 6톤 반입
- 반입량 증가로 저단가 거래 지속이 계속되면서 금일 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 소비부진에 따른 재고가 많아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되면서
- 상품 평균 415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전일대비 19% 감소한 금일 42톤 반입. 충남지역 흙쪽파 출하량 감소
- 흙쪽파는 예산 6톤, 당진 3톤, 보성 1톤, 서천 1톤 반입. 기온 상승으로
- 산물 쪽파 선호도 증가. 재고 확보를 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1,350원 전일대비 22%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깐쪽파는 제주산 27톤, 당진산 3톤 반입.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 상품성이 저하로 소비 부진. 상품 평균 16,500원으로 보합세 거래

◇ 생고추 - 오름세
- 온화한 날씨가 이어져 시장내 거래가 활발하였으며,
-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학교 급식 및 요식업소 수요량 증가로 오름세를 형성함.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30톤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52톤, 일반풋고추 50톤, 꽈리고추 17톤, 홍고추 6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전일대비 3.5% 오른 53,000원, 꽈리고추(4kg,상)가 10% 오른 24,300원에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2.96 전일대비 4.79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온화한 날씨가 이어져 시장내 거래가 활발하였으며,
-
주중장으로 접어들어 학교 급식 및 요식업소 수요량 증가로 오름세를 형성함.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진도 등이며, 금일 반입량은 감소하여,
- 피망은 전일보다 10.6% 감소한 28톤(전자경매기준), 파프리카는 36% 감소한 7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700원 오른 54,000원, 홍피망은 1,000원 오른 64,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2,500원 오른 28,500원, 오렌지파프리카는 2,000원 오른 27,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보합세
- 반입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소비는 큰 변동이 없어 보합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일보다 25% 감소한 55톤이며, 8kg 상품 기준 9,500원에 거래됨.
- 서양채소류 대부분은
보합세를 보였고, 브로코리 19,000원, 칼리플라워 19,500원선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7.7 전일대비 5.96
◇느타리 - 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43톤으로 전일대비 16.2% 감소하였으며 양평 9.5%, 예산 9.2%, 양주 8.7%에서 출하됨
- 수도권 인근지역이 거래를 주도하는 가운데 예산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함
- 가격은 2kg상자 기준 상품은 7,750원으로 6.1% 하락하였으나 보통은 4,500원으로 보합

2. 수산물
가격지수 : 98.04전일대비 +0.97
《 강세 요인 》
○ 주초 반입량 부진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활발
- 상품성 양호한 고등어, 물오징어 강보합세
- 외식업체 수요 지속으로 수입낙지, 봉지바지락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 증가한 홍합, 쭈꾸미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2.15 전일대비 +0.22
《 강세 요인 》
○ 고등어, 아귀, 생태 오름세
- 고등어는 냉동물량 반입으로 전체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최근 대형어 반입량 부진에 따른 상품 수요 증가 지속과 금일 생물고등어 선도 양호로 오름세
- 지난주 하락세를 지속했던 생태는 낮은 가격에 따른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재고 소진이 원활하여 강보합세
- 아귀는 선도가 뛰어난 제주산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상승세
《 약세 요인 》
○ 갈치, 삼치 하락세
- 갈치는 제주산 및 일본산 반입물량이 증가하였고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외식업체 소비수요도 둔화되어 내림세
- 삼치는 부산, 삼천포산이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대부분 체장이 작아 내림세를 형성함.

◈ 조개류
가격지수 : 107.38 전일대비 -1.27
《 강세 요인 》
○ 굴, 겉소라 오름세
- 굴은 전일 공급량 부족으로 중도매인 구매심리가 여전하고 주말 소비량도 원활한 추세를 보이면서 강세
- 겉소라는 장항산 물량이 상품성이 양호하고 일본산 깐소라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홍합, 꼬막 약세
- 홍합은 여수, 마산산 출하량이 증가하였고 온화한 날씨로 탕류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재고량이 늘어나 하락세
- 꼬막은 순천산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2배이상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냄

◈ 연체류
가격지수 : 107.68 전일대비 +6.34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물오징어 강세
- 수입낙지는 외식업체의 고정수요가 꾸준하고 금일 물량이 선도가 뛰어나 오름세를 보였음.
- 물오징어는 제주도와 부산산 출하량이 주를 이뤘으며 체장이 크고 선도가 뛰어나 상승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주꾸미는 제철수요는 꾸준하나 중국산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국내산 및 중국산 모두 약보합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