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14(수)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2007.2.14(수)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 나무과일류
가격지수 : 121.18 전일대비 -1.23
≪ 약세 요인 ≫
◎ 대량수요처인 유통업체 설 수요 감소 ⇒ 중간상 및 소매상 거래량 증가
◎ 단감, 감귤은 사과, 배 중심 수요가 집중되고 있고, 고단가 부담으로 내림세
≪ 강세 요인 ≫
◎ 전일 하락세를 보이던 사과는 재고량 소진으로 오름세
≪ 거래동향 ≫ : 대형구매처의 수요가 전주말로 거의 마무리되면서 사과, 배를 중심으로 수요가 감소해 시세 다소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설 명절기간 지출 부담으로 가계지출은 소량구매로 수요가 늘지 않고 있어 사과 등 주요 성수품 물량 감소에도 시세는 전주대비 약세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설 전(-4일) 기준 품목별 시세 대비
(단위 : 원, %) | |||||||
|
|
07년 설-4 |
07년 설-5 |
06년 설-4 |
전일대비 |
전년대비 | |
품목 |
단위 |
등급 |
2007-02-14 |
2007-02-13 |
2006-01-25 | ||
사과 후지 |
15kg상자 |
특 |
80,000 |
76,000 |
72,500 |
5.3% |
10% |
사과 후지 |
15kg상자 |
상 |
50,000 |
51,000 |
49,000 |
-2.0% |
2% |
사과 후지 |
15kg상자 |
보통 |
34,500 |
33,000 |
31,500 |
4.5% |
10% |
사과 후지 |
15kg상자 |
하 |
18,000 |
15,500 |
17,500 |
16.1% |
3% |
배 신고 |
15kg상자 |
특 |
61,000 |
70,000 |
43,500 |
-12.9% |
40% |
배 신고 |
15kg상자 |
상 |
47,500 |
50,000 |
34,000 |
-5.0% |
40% |
배 신고 |
15kg상자 |
보통 |
31,000 |
32,000 |
20,500 |
-3.1% |
51% |
배 신고 |
15kg상자 |
하 |
15,000 |
15,000 |
10,000 |
0.0% |
50% |
감귤 |
10kg상자 |
특 |
29,000 |
28,500 |
20,000 |
1.8% |
45% |
감귤 |
10kg상자 |
상 |
22,500 |
23,000 |
14,500 |
-2.2% |
55% |
감귤 |
10kg상자 |
보통 |
17,000 |
18,000 |
10,000 |
-5.6% |
70% |
감귤 |
10kg상자 |
하 |
9,500 |
10,500 |
5,500 |
-9.5% |
73% |
단감 부유 |
15kg상자 |
특 |
56,500 |
56,500 |
39,500 |
0.0% |
43% |
단감 부유 |
15kg상자 |
상 |
47,500 |
49,500 |
30,500 |
-4.0% |
56% |
단감 부유 |
15kg상자 |
보통 |
36,000 |
39,000 |
23,500 |
-7.7% |
53% |
단감 부유 |
15kg상자 |
하 |
18,500 |
18,500 |
11,500 |
0.0% |
61% |
≪기타과일(참다래) 동향 ≫
- 국내산은 전남 고흥, 경남 하동, 제주 등지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작황이 좋지 못해 반입량이 일정치 못함.
- 10kg상자 60개내는 거의 없으며 주로 70~80개 사이가 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상품은 35,000~40,000원, 특품은 45,000원 이상 거래되고 있음.
- 수입키위는 미국산이며 시세는 35,000~38,000원선임.
- 4월 중순 칠레산 출하예정.
- 키위는 국내산이 수입산 보다 당도가 높아(17도 이상) 2,000~3,000원 높은 시세 형성.
◈ 채소과일류
가격지수 : 124.31 전일대비 -4.33
≪ 약보합세 요인 ≫
◎ 대목장 영향으로 제수용품 위주의 소비로 채소과일류 전반 소비 위축
◇ 딸기 약보합
-육보(34%), 장희(37%), 설향(25%)이 고루 출하되고 있는 가운데, 설 대목장의 영향으로 딸기의 소비가 주춤하면서 약보합 거래됨. 현재 육보는 담양과 고령, 부여에서 출하비율이 높으며, 장희는 산청, 거창, 함양, 진주 등 경상권의 출하가 많음. 설향은 담양과 밀양, 곡성의 출하가 많음. 구색용 소비로 중상품 이상의 소비로 인해 하품의 가격 하락세가 비교적 컸음. 장희종 상품 평균은 전일에 비해 1,000원 하락한 12,000원에 육보종 역시 1,000원 하락한 15,000원에 거래되었음.
◇ 토마토 약세
- 토마토는 설 대목 영향을 크게 받으며 수요량이 큰 폭으로 감소함. 물량이 감소하였지만 5키로 물량 위주로 가격 하락이 컸음. 경상 해안변에서 출하되고 있는 고품질 가격이 출하초기 높은 가격에 거래되었지만 현재 대목 영향으로 주춤한 가격대를 형성중임. 하지만 이 역시 예년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설 대목이 끝나고 본격 출하되면 소비도 다시 원활하게 이루어질것으로 보임. 5키로 상품 평균가가 금일 전일에 비해 3,000원 하락한 16,000원에, 10키로 물량은 전일에 비해 1,000원 하락한 23,000원에 거래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