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13(화)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2007.2.13(화)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 나무과일류
가격지수 : 122.41 전일대비 -2.43
≪ 약세 요인 ≫
◎ 월요일장이 지나면서 전일 오름세를 보이던 단감, 감귤 수요 감소 하락세 주도
◎ 사과는 백화점, 유통업체 주문판매용 수요가 일요일로 거의 마무리되면서 내림세
≪ 강세 요인 ≫
◎ 저장량이 적은 배는 유통업체 매장판매용 및 소매상 수요가꾸준할 것으로 예상
≪ 거래동향 ≫ : 사과, 배는 백화점 등 유통업체의 예약 판매용 수요가 3~4일 가량 조기 마무리되면서 특히 저장량이 많은 사과를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금주 들어서 대형유통업체의 수요가 절반 이상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알뜰장과 차량판매상 등 소매상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감귤과 단감은 이상고온으로 산지 감모율이 25% 이상 증가하고 있고 경매 후 유통기간도 짧아지고 있어 설 2~3일 전 수요증가 예상.
※ 설 전(-5일) 기준 품목별 시세 대비
(단위 : 원, %) | |||||||
|
|
07년 설-5 |
07년 설-6 |
06년 설-5 |
전일대비 |
전년대비 | |
품목 |
단위 |
등급 |
2007-02-13 |
2007-02-12 |
2006-01-24 | ||
사과 후지 |
15kg상자 |
특 |
76,000 |
77,500 |
63,500 |
-1.9% |
20% |
사과 후지 |
15kg상자 |
상 |
51,000 |
49,000 |
46,000 |
4.1% |
11% |
사과 후지 |
15kg상자 |
보통 |
33,000 |
33,000 |
29,000 |
0.0% |
14% |
사과 후지 |
15kg상자 |
하 |
15,500 |
18,000 |
14,000 |
-13.9% |
11% |
배 신고 |
15kg상자 |
특 |
70,000 |
64,000 |
42,500 |
9.4% |
65% |
배 신고 |
15kg상자 |
상 |
50,000 |
47,000 |
34,000 |
6.4% |
47% |
배 신고 |
15kg상자 |
보통 |
32,000 |
30,000 |
21,000 |
6.7% |
52% |
배 신고 |
15kg상자 |
하 |
15,000 |
16,000 |
8,500 |
-6.3% |
76% |
감귤 |
10kg상자 |
특 |
28,500 |
29,000 |
24,000 |
-1.7% |
19% |
감귤 |
10kg상자 |
상 |
23,000 |
23,500 |
13,500 |
-2.1% |
70% |
감귤 |
10kg상자 |
보통 |
18,000 |
18,500 |
9,000 |
-2.7% |
100% |
감귤 |
10kg상자 |
하 |
10,500 |
10,500 |
6,000 |
0.0% |
75% |
단감 부유 |
15kg상자 |
특 |
56,500 |
61,000 |
39,000 |
-7.4% |
45% |
단감 부유 |
15kg상자 |
상 |
49,500 |
51,500 |
30,000 |
-3.9% |
65% |
단감 부유 |
15kg상자 |
보통 |
39,000 |
40,500 |
22,500 |
-3.7% |
73% |
단감 부유 |
15kg상자 |
하 |
18,500 |
20,000 |
11,500 |
-7.5% |
61% |
≪사과 상세 동향 ≫
◎ 금일 사과는 전주후반부터 다소 내림세를 보이면서 산지 작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백화점과 유통업체 등 대량수요처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세 형성. 출하규격은 15kg상자가 60%, 5kg상자가 40%였고, 출하지역은 충주 21%, 청송 19%, 봉화 12%순이었음. 충주지역은 출하가 마무리된 작목반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산지유통인 확보 물량 위주 막바지 출하가 이뤄지고 있음. 사과는 설 대목장 수요가 예상보다 빨리 감소하면서 전주대비 약세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급품 기준 5kg 상자(13과) 25,000~28,000원, 15kg 상자(30~40내) 50,000~60,000원 선 경락시세가 예상되어 전주대비 5,000원 가량 시세하락이 예상됨. 다만, 산지 개별출하자의 명절대비 출하가 거의 마무리되면서 산지유통인 중심 출하가 예상되어 시세등락에 따른 출하량 조절로 소폭 등락의 변수는 있음.
◈ 채소과일류
가격지수 : 128.64 전일대비 -4.51
≪ 약보합세 요인 ≫
◎ 휴일장에 대비해 산지 작업량 늘리면서 반입량 증가
◎ 대목장 영향으로 제수용품 위주의 소비로 채소과일류 전반 소비 위축
◇ 방울토마토 약보합
- 시장 휴장일에 앞서 출하하려는 노력으로 산지 작업량을 늘리며 반입량 증가하였음. 전일에 비해 26% 증가한 78톤(가집계)이 반입되었음. 생산량 증가와 함께 상품성 떨어지는 물량 비율도 늘면서 단가는 하락하였음. 5키로 상품 평균가가 전일에 비해 1,700원 가량 하락한 13,250원에 거래되었음. 방울종 토마토는 현재 전남의 담양지역(18%)에서 출하가 가장 많았으나 논산(17%) 등 충청권 출하비율도 증가세에 있음. 또한 제주에서 출하되는 물량이 10% 가량을 차지하였으며 가격도 특품을 형성하였음.
◇ 딸기 보합
- 단대목의 영향을 받으며 가격 하락하던 딸기는 금일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보합세 거래됨. 장희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육보가 소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가격이 형성이 예년의 설 대목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있음. 장희품종은 2화방 출하가 본격화 되며 대과상품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금일 장희종 2키로 상품은 전일과 같은 13,000원에 거래되었으며 육보는 500원 상승한 16,000원에 거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