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06(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2.06(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12-06 04:20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5.7 전일대비 0.32
동 향 : 농산물은 계속된 한파로 인한 작업 여건 악화로 물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로 장을 마감함. 김장철이 막바지에 접어 들면서 최근 하락세를 보인 배추와 무는 일시적 반등을 하였으나 쪽파와 대파는 수요 감소로 큰폭의 하락세를 보임. 한편 서양채소류중 샐러리는 중부지방의 끝물 출하로 인해 반입량이 줄면서 전일에 이어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오름세는 당분간 이어질것으로 보임. 무는 전일 큰폭 하락에 따른 가격 경쟁력이 살아 나면서 금일은 오름세로 반전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3 전일대비 -5.32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0.91 전일대비 0.42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44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45톤) 보다 3%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기온하락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입량은 늘지 않고 있음. 물량 감소로 시세는 대부분 오름세를 보였음, 적포기와 적상추의 단순평균가격은 전일과 같거나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전체 물량 평균가격은 대부분의 품종에서 전일보다 오름세 거래되었는데 청상추와 적상추의 오름폭이 컸으며, 적포기는 전일보다 물량이 증가하면서 상품 평균가격은 소폭 내림세를 보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보합세를 보였음. 금일 품종별 평균반입량은 적포기는 34톤으로 전일보다 2%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고, 적상추는 1.3톤, 청상추는 6.6톤 가량 반입되었음. 품종별 평균가격은 적포기가가 전일대비 125원 오른 8,864원, 청상추가 전일대비 1,426원오른 9,544원에 거래되었음. 주초 이후 물량 공백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출하대기물량이 적어 월동물량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2월 중순까지는 현재의 반입량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많아 보이며 물량이 증가하더라도 50~60톤 정도수준으로 현재의 오름세를 둔화시킬 정도의 물량은 아닐것으로 예상됨. 소비 또한 김장이 마무리되고 연말 모임이 많아지는 시기에 접어들면서 소비는 원활할것으로 예상되어 당분간은 오름세를 보일가능성이 많아 보임.주중으로 접어들면서 고단가에 따른 시세 부담으로 가격이 다소 내려갈 가능성도 있었으나 반입물량이 예상보다 적어 시장 재고가 대부분 소진될것으로 보여져 가격이 내려간다 하더라도 내림폭은 제한적일것으로 예상됨.


미나리 총반입량은 81톤(전자경매기준) 반입되었음. 김장이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수요감소로 시세는 내림세를 보이고 있음. 가격 지지를 위해 주출하지의 작목반 위주로 출하량을 조절하고는 있으나 수도권 김장이 마무리되면서 소비 감소로 시세는 내림세를 보이고 있음. 연말 연시 모임에 따른 탕류의 소비증가가 예상되기는 하나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소비 증가폭은 예상보다 적을것으로 보여짐. 현재 시세는 11월25일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출하지의 출하량 조절에도 불구하고 2주일 이상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것은 소비가 뒷받침되지 못하는데 그 원인이 있어 당분간은 현재의 하락세를 벗어날 가능성이 적어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5.68 전일대비 2.61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6.9 전일대비 8.04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0.47 전일대비 -3.33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23.31 전일대비 6.09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108.39 전일대비 2.83


2. 수산물
가격지수 : 102.39 전일대비 -1.33
동 향 : 수산물은 반입량이 전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주중 소비수요 감소 기대로 매기가 부진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반입량이 증가한 물오징어, 굴이 하락세를 나타내며 지수하락을 주도하였고, 시세 하락폭이 컸던 갈치, 수입쭈꾸미는 소비량 증가로 오름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5.15전일대비 +0.92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월명기로 대형선망조업이 당분간 종료되었으나 전일 시세 상승으로 부산지역 저장 물량 출하가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 특히, 하품은 반입비중이 높고 상품성 하락으로 매수세가 부진하여 낙폭이 컸음. 갈치는 최근 시세 부진으로 제주산 연승어업 물량 반입이 줄어들고 가격하락으로 소비는 양호한 추세를 나타내며 강보합세에 거래. 일본산 냉장갈치는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은 망갈치 위주로 거래되어 약세. 삼치는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체장이 큰 제주도산 물량이 반입되면서 상승세를 나타냄. 조기는 최근 가격하락으로 물량을 확보하려는 중도매인 매수심리 형성과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나타냄. 대구는 동해안산 반입이 다소 줄어들고 보령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8kg 짝 물량이 선도가 양호하여 대체적으로 오름세를 나타냄. 꽁치는 원양 냉동물량이 상품성이 양호하고 계절적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 활어류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주중 횟감 수요 감소로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였음. 다만, 자연산 농어는 대형어 비중 증가로 오름세 형성.


◈ 조개류
가격지수 : 119.16으로 전일대비 -8.78



향 : 굴은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산지로 부터의 반입량은 꾸준하나 주중반으로 접어들면서 김장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은 내림세를 형성하였고 연말 수요를 겨냥한 생식용 각굴의 반입은 증가하나 매기는 부진하였음. 바지락은 북한, 중국 수입산으로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과 같음. 망겉바지락은 국내산이 없이 수입산만 거래되었고 상품성 하락과 매기부진에 따른 전일 재고 증가로 내림세, 봉지바지락은 대부분이 수입산 포장으로 매기부진하여 내림세였고 깐바지락은 보합세에 거래. 새꼬막의 반입량은 17톤으로 전일대비 2톤 감소. 보성,순천,여수산으로 선도도 좋고 씨알이 굵은 것의 반입이 증가하고 거래량도 꾸준하여 강보합세에 거래. 홍합은 2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6톤 감소. 여수, 마산으로 반입량은 꾸준하였고 요식업소 등 대량수요처의 거래가 꾸준하였으나 재고량은 증가 추세, 소라는 국내산이 반입되었고 씨알이 큰 것이 없이 잔 것의 출하가 많아 중상품은 오름세에 하품은 내림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13.18로 전일대비 +0.64



향 :
수입낙지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연말 수요증가로 거래가 활발하였고 상품성과 선도도 좋아 높은 가격에고 오름세를 형성.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았음. 생물오징어는 25톤으로 전일대비 6톤 증가. 산지 기상여건이 좋아지면서 반입량은 증가하였고 고정 수요처의 수요증가로 보합세에 거래, 산지 및 크기, 선도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가 컸음. 냉동오징어는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생물의 반입량 증가로 매기는 다소 부진하나 고정 급식업소의 납품 수요가 꾸준하여 가격은 보합세였음. 주꾸미는 2톤 반입되었고 씨알은 작은나 선도도가 높은 국내산은 강보합세, 중국 수입산도 반입량 증가와 매기부진에도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소폭의 오름세에 거래. 미더덕은 마산,여수산으로 소량씩 반입이 꾸준하였으나 상품성이 좋은 것의 출하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적어 소폭의 오름세였음, 오만둥이는 생물이 주반입 되었고 상품성 및 등급에 따른 가격차이는 있으나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