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2.11(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1.76 전일대비 4.39
동 향 : 농산물은 주초장세를 맞아 이틀분 작업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주말에 내린 전국적인 비와 눈으로 작업여건 악화로 평소 주초 물량에 비해 반입량은 감소하였고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전체 가격지수는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부류별로은 버섯류를 제외한 전 부류가 오름세 거래되었으며 특히, 백화점 등 할인대형마트 행사로 소비량이 증가한 오이, 호박 등 열매채소류와 기온하락으로 생육이 부진한 서양채소류가 오름세가 컸음. 품목별로 상승폭이 큰 품목은 시금치, 얼갈이배추, 열무, 쑥갓 등 근교채소류와 가지, 오이, 파프리카 등 열매채소류였고 하락폭이 큰 품목은 아욱, 근대와 비타민, 브로코리, 미나리, 쪽파 등이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7.75 전일대비 9.4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0.6 전일대비 6.45
동 향 :
상추
상추 금일 반입량은 56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59톤) 보다 5%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기온하락과 일기불순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주초수요증가와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주말 물량 증가로 소폭 내림세 거래되면서 주초 반입량이 증가하지 않았고, 연말 모임수요등으로 지방시장 및 외부시장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오름폭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일조량 부족 및 기온하락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반입량은 좀처럼 증가하고 있지 않아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음. 반입량이 50톤대를 회복했으나 기온이 하락하고 있어 물량 증가폭은 제한적일것으로 보여짐.
시금치
시금치 반입량은 104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대비 6%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일조량 부족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주를 기점으로 시세는 오름세로 거래되고 있음. 주초 반입량이 예상보다 적었고, 전주 반이량이 평소 반입량 이하로 반입되면서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폭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특히 경기지역에서 주초 출하되고 있는 400g 단시금치와 4kg 상자 시금치의 물량이 감소하면서 큰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유통업체의 할인행사등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물량이 감소하면서 큰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3.58 전일대비 20.66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5.45 전일대비 3.62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5.23 전일대비 0.76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5.51 전일대비 12.17
동 향 : 금일 피망률 반입량은 58톤으로 전일 대비 2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품종별로는 청피망이 30톤으로 전일대비 1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고, 홍피망은 10톤으로 전일대비 1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으며, 파프리카류는 17톤으로 전일대비 57%가량 증가한양이 반입되었음.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초 수요 증가와 유통업체등의 할인행사등으로 인해 시세는 오름세 거래되었음. 피망류 지역별 출하량은 청피망은 경남 진주 물량이 가장 많은 20톤이었고, 전남 지역에서 10톤가량 반입되었음. 홍피망은 전남지역에서 9톤가량 반입되면서 홍피망 대부분의 물량이 전남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파프리카류는 강원횡성과 평창지역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반입되고 있음. 양상추는 49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주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8kg 상자당 2,000원가량 오른 11,000원에 거래되었음. 유통업체의 할인행사등으로 소비가 증가하면서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출하대기물량이 풍부해 시세 오름폭은 제한적임. 기타 서양채소류는 반입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내림세 거래된 품목이 많았으나 셀러리와 파세리는 물량 감소로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98.82 전일대비 -0.78
2. 수산물
가격지수 : 99.75 전일대비 -1.09
동 향 : 수산물은 2일간 조업 물량 반입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소비는 다소 부진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냉동고등어, 갈치, 낙지수입은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를 보였고, 물오징어, 굴,대구는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하락세를 형성.
◈ 생선류
가격지수 : 84.37전일대비 +2.34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월명기로 반입량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상품성이 떨어지고 냉동고등어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약보합세. 다만, 하품은 가격 하락으로 소비가 양호하고 반입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 냉동고등어는 월명기로 상품성이 뛰어난 물량이 증가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지역 연승조업 활발로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으나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체장이 큰 품목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오름세에 거래. 일본산 냉장갈치는 채낚기 물량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과 상품성 양호로 상승세를 나타냄. 다만, 일본산 망갈치는 반입이 부진하였음에도 체장이 작고 채낚기 물량 증가로 하락세. 삼치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나타내었고, 금일은 충무산이 상품성이 양호하여 상품 시세 지지함. 대구는 보령, 죽변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커 오름세를 보였고, 8kg 짝 물량은 상품성이 양호한 중국산 반입이 크게 증가하여 국내산은 하락세를 나타냄. 아귀는 목포산이 상품성이 높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이 늘어나 오름세를 보임. 활어류는 반입량이 지난주 토요일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산지출하 물량이 체장이 크고 주초 수요량은 증가하면서 숭어류, 넙치가 오름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08.12로 전일대비 -5.21
굴은 김장철이 마무리되면서 수요가 다소 줄어든 가운데 통영 및 고흥산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폭이 크게 형성됨. 바지락은 안면도산이 거래되었으나 북한산에 비해 상품성 우위가 크지 않아 약보합세에 거래. 홍합은 반입량이 지난주 토요일 수준과 비슷하였으나 주말 판매부진으로 재고량이 누적되어 하락세에 거래. 새꼬막은 순천산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최근 늘어난 물량으로 재고가 충분하고 금일 물량이 상품성이 다소 떨어지면서 하락세. 소라는 장항산이 상품성이 양호하고 금일 중국산 물량이 선도가 떨어져 상승세를 나타냄.
◈ 연체류
가격지수 : 110.42로 전일대비 -3.05
물오징어는 월명기이나 구룡포, 후포, 감포, 죽변, 강구에서 2일간 어업 물량이 출하되어 반입량이 늘어났고 특히 선도가 떨어지는 트롤 물량비중이 높아 하락폭이 크게 나타남.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평소 주초 수준에 비해 저조하고 주초 물량확보 수요량은 늘어나면서 오름세를 나타냄. 쭈꾸미는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고, 수입쭈꾸미 역시 공급량 부족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멍게는 일본산 물량이 상품성이 뛰어나 오름세를 보였고, 국내산은 보합세를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