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27(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27(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3-27 03:3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9.86 전일대비 -0.21
《약세 요인》
○ 근교산 엽채류를 중심으로 소비부진 품목 가격 하락 주도
- 시금치, 돗나물, 아욱, 비타민 등 가격 하락폭 비교적 크게 나타남.
○ 버섯류 소비 부진 심화되며 저가 시세 지속
《강세 요인》
○ 물량 감소 품목 위주로 강보합세 형성
- 서류 중 감자, 열매채소류 중 백다다기 오이, 쥬키니 호박 등 물량 감소
- 미나리는 산지의 물량 조절 이뤄지고 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7.18 전일대비 3.38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4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감소. 여주산 밤고구마 반입량 감소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20톤, 화성 4톤, 논산 5톤, 진천 2톤 등 반입
- 전일 재고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되면서 거래가 부진한 모습
- 호박고구마는 8톤 반입. 익산 3톤, 서산 2톤, 여주 1톤, 연기 1톤 등 반입
- 익산산 상품성 좋아 2,500-35,000원 거래. 소비수요 꾸준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오름세
- 금일 30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 증가. 남부지방 햇감자 출하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47% 증가한 249톤 반입. 평창 51톤, 남원 44톤, 밀양 23톤 등
- 강원지역 저장감자 출하량 증대. 상품성 우수하여 남부지방 햇감자와 더불어 고가 거래
- 상품 평균 25,000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78톤 반입(전일대비 29% 감소)
- 산지 출하작업 마무리 단계 접어들면서 출하량 감소. 재고소진으로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20,250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2.09 전일대비 -1.57
◇배추 - 내림세
- 전일 가격 강세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586톤으로 전일대비 67%,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81톤 대비 22% 증가하였음.
- 지역별로는 해남 77%, 진도 14%, 무안 6%, 순이었으며 저장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전체 물량의


40% 가량을 점유하였음.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최고가는 4,550원이었고 상품 3,725원, 보통 2,7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9%, 11.5% 하락하였음.
- 산지에서 재 작업된 저장배추가 거래를 주도하였고 노지는 일부는 4,000원 이상에 거래되었으나


끝물로 상품성이 낮아 저가에 거래된 물량이 많았음.
- 올해 배추 저장배추 물량은 예년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됨.
- 작황호조로 생산량이 많았는 데다 지난 1-2월 가격이 바닥권에서 헤나지 못해 출하보다는 저장을


늘렸기 때문임.
- 최근에 배추 가격이 급등세를 보였으나 이는 노지가 끝물로 질 좋은 물량이 적어 산지에서 재 작업된


저장물량이 제한적으로 강세를 보인 경향이 있음.
- 상품성이 낮은 노지물량과 선별되지 않은 저장품은 여전히 2,000원 미만에 경락된 점을 감안해야


할 것임.
- 도매시장 가격은 출하시기도 중요하지만 작업상태가 가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짓무르거나


물기 많은 물량은 출하를 배제하기 바람.
◇ 상추 - 오름세
- 품종별로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적상추(포기) 위주로 상승하였으며,
- 최근 전반적으로 높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반입량은 106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1.7%가량 감소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86톤, 청상추 14톤, 적상추 4톤 가량임.
- 적상추(4kg,상)는 전일보다 2.5% 상승한 8,200원, 적포기는 2.9% 상승한 7,200원,
-
청상추는 9.5% 하락한 9,5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오름세
-
반입량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유통업체 등 대량 수요처 위주로 소비 활발하여 오름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01톤이며,상자시금치 23톤,단시금치 51톤,육지초가 10톤, 포항초 17톤임.
- 상자시금치(4kg,상) 6.1% 상승한 6,100원, 단 시금치(400g단,상)는 6.7% 상승한 56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4.9 전일대비 -1.64
◇호박 - 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반입량이 감소에도 가격은 품종별 등락이 엇갈림
- 금일 호박 전체 반입량은 227톤으로 전일대비 24% 감소함. 품종별로는 애호박 124톤, 쥬키니 47톤,


단호박 35톤이 반입됨
- 애호박은 23%, 쥬키니는 49% 감소해 쥬키니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애호박은 전주 90%, 광양 3%, 공주 3%에서 출하되어 전일 34톤이 출하되었던 광양지역의 3톤에


불과해 물량이 크게 감소함.
- 쥬키니는 전주, 진주, 논산에서 출하되었으며 51%. 28%,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15,500원으로 3.1% 하락하였으나 쥬키니는 9,500원으로 5.6%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5.28 전일대비 -2.69
◇당근 - 보합세
- 약세권이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음
- 일평균 반입량은 120여톤이며 국내산과 수입산(중국)이 각각 80%, 20% 비율로 출하됨
- 국내산은 제주지역의 노지 물량이며 금주 중으로 노지 출하가 종료되고 저장물량이 본격 출하될


것으로 보임.
- 가격은 국내산은 20kg기준 6,000~8,000원, 수입 10kg 상자 5,500원에 거래됨
- 국내산은 끝물 출하로 크기가 작고 노화현상이 나타나 상품성이 수입에 미치지 못함
- 다음달부터 저장물량이 본격 출하되어 상품성이 호전되어 가격이 반등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나


출하대기물량이 많고 부산지역의 육지산이 출하준비중임으로 제한 적일 것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9.67 전일대비 0.89
◇ 생고추 - 약세
- 재배면적 증가와 따뜻한 날씨로 생육이 좋아져 반입량 증가 추세로,
-
전일의 오름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내림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일보다 2.7% 감소한 159톤(전자경매기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67톤, 일반풋고추 56톤, 꽈리고추 20톤, 홍고추 7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전일과 비슷한 47,000원, 꽈리고추(4kg,상)는 4.2% 떨어진 22,700원에 거래됨.

◇ 양파 - 강보합세
- 전일대비 14% 증가한 542톤 반입. 전일 시세 상승 영향으로 반입량 증가
- 전남 무안 227톤, 함평 46톤, 신안 35톤, 완주 33톤, 군위 33톤 등 반입
- 경북 군위, 전남 함평지역 상품성 우수로 1kg 320-955원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827원으로 7% 시세 상승한 강보합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43톤 반입, 중국산 16kg 7,000-11,000원 거래

◇ 대파 - 내림세

- 전일대비 6% 감소한
276톤 반입. 시세 하락으로 산지 출하량 조절

- 전남 진도산 195톤, 신안산 79톤, 영광 3톤 등 반입

- 반입량 감소했으나 기온상승에 따른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 중품 평균 285원으로 전일대비 17%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45톤 반입(전일대비 7% 증가). 예산지역 작업 활발로 흙쪽파 물량 증가

- 흙쪽파는 예산 9톤, 당진 3톤, 아산 2톤 반입.

- 전일 시세 상승으로 산지 출하량 증가. 소비수요 꾸준한 가운데

- 상품 평균 1,05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깐쪽파는 제주 17톤, 당진 5톤, 보령 1톤 반입

- 제주산 출하량 전일대비 19% 감소. 당진산 상품성 좋아지면서 중하품 시세 상승

- 중품 평균 14,500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9.44 전일대비 -0.11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주부터 반입량 증가 추세이며, 최근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음.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화순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2% 증가한 40톤, 파프리카는 39% 감소한 10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500원 하락한 46,000원, 홍피망은 1,000원 하락한 53,0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2,000원 오른 25,000원,오렌지파프리카는 2,000원 하락한 29,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46톤으로 전일보다 20% 감소한 반면, 소비는 꾸준하여 오름세를 보임.
- 8kg 상품 기준으로 전일보다 1,000원 오른, 평균 8,500원에 거래되었고,
- 대부분 서양채소류가 강보합세를 보인 가운데,
-
브로코리는 22,500원, 셀러리 7,500원, 케일은 8,0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2.71 전일대비 -3.22

◇양송이 - 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상품성이 낮은 저가품 출하가 많았고 소비도 부진해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13톤으로 전일대비 33% 감소하였으며 양주 13%, 양평 10%, 광명 8%에서 출하됨.
- 가격은 2kg 상자 기준 상품 6,250원, 보통 3,7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8%, 6.3% 하락함
◇생표고 - 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량이 누적된데다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25톤으로 전일대비 14% 감소하였으며 보령 30%, 달성 10%, 천안 9%에서 출하됨.
- 가격은 4kg 상자 기준 상품 26,000원, 보통 16,0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5%, 8.6% 하락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97.18 전일대비 +0.36
《 강세 요인 》
○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 세일행사로 물량 확보 증가
- 고정 급식업소의 냉동 및 수입물량 납품 수요 증가
- 수입낙지, 주꾸미, 봉지바지락, 생물 갈치등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선류는 대품의 반입 감소로 중소형 위주로 거래량 증가
○ 조개 및 연체류는 대부분이 수입품으로 국내산은 강세

- 꽁치,명태,굴, 수입바지락, 임면수어, 삼치 등의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0.05 전일대비 -1.74
《 강세 요인 》
○ 갈치, 수입조기, 병어 강세
- 갈치는 국내산은 제주산 연승조업 물량의 소량 반입으로 오름세,
일본산은 망갈치 및 채낚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요식업소 및 유통업체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수입 조기는 급식 수요 증가로 거래량이 증가하여 강보합세
- 병어는 부산,목포산의 거래량 증가로 대형품 보다는 중소형의 오름폭이 컸음
《 약세 요인 》
○ 고등어, 삼치, 수입생태 하락세
- 고등어는 부산산으로 대고등어의 반입 감소로
중,소 고등어 위주로 거래되었으나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였고, 냉동 소등어는 급식 수요 증가로 대체 소비 활발
- 삼치는 부산, 통영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전일 재고량 미소진과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수입 생태는 8톤 반입되었으나 전문 요식업소의 수요 부진으로 내림세

◈ 조개류 119.48 전일대비 +4.20
《 강세 요인 》
○ 거래량이 증가한 바지락, 홍합, 새꼬막 오름세
- 바지락은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증가. 중국 및 북한 수입산만 거래되었으나 시장내 재고 물량소진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망바지락은 내림세,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 바지락은 오름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9톤 반입되어 잔일대비 2톤 감소.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은 꾸준하나 주소비처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선도가 좋은 당일품의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새꼬막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6kg 소포장은 씨알이 잘아 낮은 가격을 형성, 씨알이 굵고 상품성과 선도가 좋은 망포장은 대량수요처의 거래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굴, 키조개, 대합, 모시조개는 수요 부진으로 내림세
- 굴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통영, 남해, 고흥산으로 가정 소비는 증가 추세이나
대량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는 경기부진으로 구매량이 감소
- 키조개는 제철을 맞아 산지 작업호조로 반입은 증가하나 산지에서 씨알이 큰 것은 가공용 또는 수출용으로 자체 소비되고 시장 반입품은 선도 부진으로
보합세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
- 모시조개는 포항산으로 상품성 저하로 낮은 가격을 형성.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연체류 97.17
전일대비 +1.57
《 강세 요인 》
○ 연체류 대부분 품목이 오름세
- 수입낙지는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상품성이 좋고 등급별 마리수도 다양하여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서해안산이 소량 반입되어 전일에 이어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고, 수입산은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울진,속초산이 주반입되나 반입량에 따라 일간 가격등락이 심하고 대부분이 KG당 2마리 정도의 잔낙지였고 5,000- 7,000원 정도의 가격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생물 반입이 계속되나 상품성에 따른 가격 등락이 컸으나 오름세 형성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하고 씨알도 굵어 상품성도 좋은 편으로 강세
《 약세 요인 》
○ 생물 오징어는 상품성 저하로 약세
- 물오징어는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부산, 통영, 포항, 제주산으로
채낚기 물량이 줄어들면서 대오징어는 강세이나 그물오징어인 중,소오징어는 내림세에 거래

- 냉동 오징어는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생물 가격상승에 따른 대체수요는 증가하나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