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8.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2005.8.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5-08-08 14:40

◈ 채소과일류

가격지수 : 89.30p 주말대비 +11.02p
동 향 : 시장 반입량이 주말에 비해 17% 가량 증가한 723톤 수준이었고, 주초 납품수요가 늘어나 시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음.

수박은 주말보다 8% 증가한 373톤이 반입되었으며, 복수박은 22% 감소한 21톤이 반입되었음. 복수박은 현재 충남 부여에서 75%, 홍성에서 20% 정도가 반입되고 있으며, 잦은 우천으로 인해 매기가 부진해 소폭 하락하였음. 반면 충북 음성, 진천, 경북 고령, 경기 양평 등지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는 일반 수박은 출하량 증가에도 휴가철이 마무리되면서 유통업체의 주초 납품수요가 증가하였고, 양평, 진천, 함안지역에서 우수 물량이 반입되면서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대부분 성주지역에서 출하되지만 경북 김천지역 물량도 6%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참외는 주말보다 8% 감소한 99톤이 반입되었으며, 주초 전반적인 과일장 거래 활발로 강보합세 형성.

토마토는 양구, 인제, 춘천, 화천 등 강원도 지역 물량이 크게 늘어난 일반종이 주말에 비해 76% 가량 급증한 135톤이 반입되었으나 주초 수요 증가로 인해 오름세를 보였고, 방울종은 33톤 반입되어 주말보다 16% 가량 증가하였고, 강원 춘천과 충북 청원지역 고품질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승세 형성.

메론은 담양지역 물량이 급증하여 주말에 비해 75% 증가한 63톤이 반입되었으며, 고품질 출하지역인 충남 청양의 반입량 감소로 시세는 소폭 하락하였음.

◈ 나무과일류

가격지수 : 109.85p 주말대비 +2.53p
동 향 : 나무과일류는 1,184톤 반입되어 주말 1,041톤에 비해 14% 증가. 노지물량의 출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포도를 중심으로 복숭아, 사과 등이 지난 이틀 출하작업으로 주초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으며, 휴가철의 정점이 지나면서 수도권 수요가 회복기미를 보여 금일 매기는 비교적 활발한 모습을 보였고, 배, 복숭아 등이 상승하면서 가격지수가 주말에 비해 상승하였음.

사과는 금일 70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44톤에 비해 60% 증가. 주초 유통업체 및 요식업소 수요도 늘어나 거래는 비교적 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주, 상주, 제천, 영주, 청송 등 내륙 산간지역으로 출하가 확대되면서 햇사과 아오리의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 대체로 약보합세 형성.

배는 8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6톤에 비해 34% 증가. 제주지역에서 상주, 김천 등 경북지역으로 출하가 확대되는 원황의 반입량이 증가하여 배 물량의 13%를 점유하고, 상주와 김천에서 신수도 함께 출하되어 8% 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저장 신고는 주말과 비슷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일반 상인이 보유한 우수 상품이 반입된데다 주초 수요가 늘어나 대체로 강세를 형성하였음.

감귤은 12톤이 반입되어 주말 8톤에 비해 59% 증가. 출하량이 지난 주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나 지난주에 이어 금주 첫날인 금일도 지난해에 비해 반입량이 적은 수준이며, 주초 과일 수요 증가로 인해 동반 상승하였음.

포도는 489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425톤에 비해 15% 증가. 경북 김천지역 노지 물량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켐벨얼리 물량의 70%이상을 차지하여 주초 공급량이 많고, 8월들어 지난해보다 47% 가량 많은 수준인데다, 숙기에 흐린 날이 많아 당도가 낮아 노지물량을 중심으로 시세가 하락하였음.

복숭아는 528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408톤에 비해 29%증가. 백도계열 무모계 복숭의 출하 증가로 인해 무모계 비율이 떨었졌으나, 영천과 경산지역에서 선광과 레드골드의 출하가 본격화되면서 무모계 비율이 다시 60%이상을 차지하면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주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무모계는 천홍을 위주로 보합세를 유지한 반면, 음성과 이천을 주산지로 하는 미백을 중심으로 한 백도계열은 오름세 형성.

자두는 46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45톤에 비해 2% 증가하였으나, 이는 휴일을 포함하여 이틀 작업물량임을 감안하면 후무사종의 출하량이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임. 출하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상품성이 하락하고 있지만 공급량이 적어 시세는 예년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