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5(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6.76 전일대비 2.89
《강세 요인》
○ 전국적인 우천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 각급학교 신학기 개학으로 급식납품 수요 증가
○ 주초 장세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 증가
- 무, 배추 등 대부분 채소류의 반입량 감소에 따른 거래량 증가, 버섯류 제외한 전품목 오름세 거래
《약세 요인》
○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외부 시장 이용객 감소
○ 산지 기온 상승에 따른 일부 품목의 성장 가속
- 대부분 시설 채소인 근교채소는 반입량 증가에도 주초 거래량 증가로 거래 활발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1.47 전일대비 7.18
◇ 고구마 : 오름세
- 전일대비 42% 증가한 37톤 반입. 전일 재고 소진, 주초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 밤고구마는 여주 16톤, 익산 5톤, 논산 3톤, 영주 3톤 등 28톤 반입.
- 여주산 3,000-27,000원에 거래. 여주산 상품성 우수로 오름세 주도
- 호박고구마는 경북 영주 3톤, 충남 논산 1톤, 당진 1톤 등 9톤 반입.
- 영주산 10,500-28,000, 논산산 10,000-25,000원에 거래
- 충남지역은 상품성이 떨어져 판매부진, 경북 영주산은 상태가 좋아 거래 활발
◇ 감자 : 약보합세
- 전일대비 64% 증가한 금일 257톤 반입. 제주산 출하량 증대로 약보합세
- 수미종 감자는 경남, 전북지역 출하량 증가하면서 92톤 반입
- 강원지역 출하량 감소, 소비시장 우천 영향으로 판매부진, 약보합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전일대비 73% 증가한 금일 165톤 반입
- 주초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0.47 전일대비 7.03
◇배추-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장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함
- 전국적으로 비가 내린데다 가격 약세로 출하를 서두르지 않음
- 금일 반입량은 264톤으로 지난 주말 대비 4.4% 감소하였으며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 452톤 대비 42% 적은 물량임
- 경매는 전일 출하분과 재고가 함께 시행되어 336톤이 경매됨.
- 물량감소에도 극심한 소비부진으로 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주초장으로 평일보다 소비가 원활한 편이나 우천으로 주초장의 특수를
살리지 못하고 있음.
- 최고가 2,750원, 상품 2,150원, 보통 1,635원이었음. 상품성이 좋은
특, 상품은 소폭 오름세였으나 중, 하품은 내림세
◇ 상추 - 오름세
- 전주 주말의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나, 아직까지는 표준가격 대비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음.
- 반입량은 82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3%가량 감소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68톤, 청상추 10톤, 적상추 3톤 가량임.
- 청상추(4kg,상)는 전일보다 2,500원(37%상승) 오른 9,300원, 적포기는 700원 오른 7,5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오름세
- 신안군 비금 지역의 강풍으로 산지 작업이 중단되어, 이틀 동안 섬초가 반입되지 못하였음.
- 이러한 영향으로 시세는 상승세를 보임. 섬초는 익일 정상 출하될 것으로 예상됨.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00톤이며,포항초 22톤, 4kg 상자시금치 19톤, 단시금치 58톤, 육지초 2톤임.
- 포항초(500g단,상)는 700원, 상자 시금치는(4kg,상)가 평균 4,15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5.49 전일대비 1.39
◇오이-오름세
- 주초장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따라주어 오름세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376톤으로 지난 주말 대비 77% 증가하
였으며 백다다기 194톤, 취청 138톤, 기타 45톤이 출하됨.
- 백다다기는 전일대비 18% 증가에 그쳤으나 취청은 198% 많아
취청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졌음.
- 취청은 지난 주말 출하되지 않았던 구례, 보성, 순천에서 많은 양의
물량이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48,000원, 취청 20kg상자 44,500원
으로 전일대비 각각 15.7%, 6% 상승함.
- 주초장인데다 일요일 전국적인 비와 꽃샘추위로 구매량이 많았음.
상대적으로 출하량 증가가 적은 백다다기가 많이 올랐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4.92 전일대비 2.63
◇무-오름세
- 주초장임에도 반입량이 오히려 감소함.
- 특히, 우천의 영향으로 당일 작업분이 출하되지 못한 육지산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져 시장 전체 반입량이 3대에 불과했음.
- 제주산은 출하 작업 후 운송에 이틀이 걸려 내일 반입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 지역별 출하비중은 서귀포시 84%, 제주시 11%, 고창군 4% 였음.
- 출하량이 적어 재고물량과 함께 거래되었으며 제주산 출하비중이
높아 전체적으로 가격은 소폭 상승함.
- 최고가 5,300원, 상품 4,400원, 보통 3,450원으로 전일에 비해
등급별로 200~400원 가량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68.68 전일대비 3.14
◇ 양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7% 감소한 469톤 반입. 우천영향 산지 작업 부진 반입량 감소
- 전체 물량의 50% 점유한 전남 무안산 236톤 반입. 1kg 164-947원에 거래
- 전남 함평 96톤, 해남 22톤, 경북 영천 23톤 반입. 상품 평균 799원으로
- 전일대비 2% 시세 상승. 급식업체 수요 증가로 중품위주 거래 활발 약보합세
◇ 대파 : 강보합세
- 전일대비 36% 증가한 338톤 반입. 주초 시세상승 기대로 출하량 증가
- 전남 진도산 236톤, 신안산 90톤 반입, 진도산 200-550원, 신안산 400-720원
- 주말 재고 소진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우천에도 불구하고 요식업소 등 수요 증가.
- 상품 평균 485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전일대비 10% 감소한 금일 40톤 반입. 육지산 깐쪽파 및 흙쪽파 물량 감소
- 흙쪽파는 예산 8톤, 당진 4톤 반입. 전국적인 우천 영향으로 출하 작업 부진
- 상품 1kg단 평균 700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금일 27톤 반입. 제주산 23톤, 육지산 4톤 반입.
- 제주산은 1,000-17,000원, 당진산 6,000-20,000원에 거래. 반입량 감소
- 재고 부족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보이면서 오름세 주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7.66 전일대비 7.71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주초 장세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 증가와
-각급 학교 개학에 따른 납품 업체의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보임.
- 피망은 전일보다 3.6% 감소한 36톤(전자경매기준),파프리카는 109% 증가한 7톤이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500원 오른 42,000원, 홍피망은 6,000원 오른 58,5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2,500원 오른 27,000원, 노랑파프리카는 2,000원 오른 26,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오름세
- 각급 학교의 개학에 따른 납품업체의 수요가 증가해 소폭 상승세를 보임.
- 최근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양상임.
- 반입량은 전일대비 26% 증가한 66톤이며, 시세는 전일보다 1,000원 오른 8,500원에 거래됨.
- 기타 브로코리, 케일은 보합세, 비타민, 비트는 하락하였음.
- 브로코리(8kg,상) 14,500원,파세리(4kg,상) 6,000원,케일(2kg,상)은 3,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59.82 전일대비 -2.61
◇ 느타리 - 오름세
- 느타리는 충북산 물량이 상품성이 양호하였고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재고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 생표고, 새송이 - 약보합세
- 표고버섯은 토요일대비 반입량이 8톤 가까이 늘어나면서 중∙하품이 하락세를 형성함. 다만, 상품은 전북완주산이 품질이 뛰어나 강세에 거래
- 새송이는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최근 가격상승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내림세
2. 수산물
가격지수 : 95.84전일대비 +1.58
《 강세 요인 》
○ 전 해상 풍랑주의보 발령으로 평균 주초 반입량에 비해 감소
- 갈치, 봉지바지락은 수입물량 증가하였으나 산지 출하량 감소로 강보합세
- 생태, 수입쭈꾸미는 상품성 우수와 주초 외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겨울철 성수기 품목 매수 부진으로 내림세
- 냉동명태와 굴은 제철 수요가 줄어들면서 최근에 하락추세를 나타냄
◈ 생선류
가격지수 : 78.67 전일대비 -1.58
《 강세 요인 》
○ 주초 외식업체 수요가 늘어난 갈치, 생태 오름세
- 갈치는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제주산 출하량이 평소 주초수준에 비해 다소 감소한데다 재고량이 줄어든 외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세에 거래.
- 생태는 갑자기 추워진 날씨로 탕류 소비량 증가가 예상되고 선도가 우수한 일본산 물량이 늘어나면서 오름세를 형성함.
《 약세 요인 》
○ 반입물량 증가한 고등어, 냉동명태 내림세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 원활로 생물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대부분 중∙소형어로 대형어 반입 비중은 적었으며 시세는 대형품을 제외하고는 늘어난 물량으로 인해 내림세에 거래.
- 냉동명태는 겨울이 마무리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가 둔화되어 하락세 지속
◈ 조개류
가격지수 : 105.48 전일대비 +12.68
《 강세 요인 》
○ 지난주 출하량 감소로 재고량이 부족한 품목 오름세
- 북한산 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와 주초 식자재 업체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 약세를 보였던 새꼬막, 홍합은 신학기 개학에 따른 주문량이 늘어나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중국산 깐 소라가 이중 작업이 없고 선도 양호하여 국내산 소라는 약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02.89 전일대비 +2.02
《 강세 요인 》
○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 감소가 예상되는 오징어, 쭈꾸미 오름세
- 물오징어는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대부분 소형어이고 대형어는 선도양호와 수요에 비해 반입량이 적어 강세. 다만, 하품은 늘어난 물량으로 내림세에 거래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물량 감소와 함께 주초 외식업체 물량확보 매수세 유입으로 강보합세
- 미더덕은 마산산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추워진 날씨로 탕류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어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강세 지속한 수입낙지는 소비가 다소 부진한데다 금일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