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12(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2.12(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2-12 04:48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8.42 전일대비 1.45
《강세 요인》
○ 기온 상승과 주초장 대형마트 주문량 증가로 열매채소류 상승
- 기온상승으로 오이, 호박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유가상승으로 난방율이 저조하여 반입량 증가폭 둔화
○ 설 수요로 버섯류와 미나리, 고구마 오름세
- 저장 가능한 버섯류와 고구마는 조기 물량확보 심리가 형성되면서 강세에 거래
- 미나리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나 산지 출하물량 조절과 함께 기온상승에 따른 상품성 우수로 강세
《약세 요인》
○ 산지출하량이 늘어난 품목 및 설 수요 제외 품목 약세
- 대파, 양배추는 기온상승으로 조기 출하 압박이 가중되면서 출하량이 늘어나 약보합세
- 설수요에 해당하지 않은 서울 근교 잎채소류는 내림세 특히 상추류 하락폭이 컸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65.57 전일대비 -2.83

◇ 고구마 : 약보합세
- 전일대비 17% 증가한 40톤 반입. 호박고구마는 전일대비 45% 감소한 6톤 반입
- 경기 여주지역 밤고구마는 10톤 반입(전일대비 44% 감소). 주초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시세는 25,000원-9,000원으로 약보합세 거래.
- 호박고구마는 충남 논산산 37,500원-8,500원, 서산산 26,000원-3,000원에 거래.
- 금일 홍성지역 출하 호박고구마는 25,000원-15,000원에 거래되면서 약보합세 형성.
◇ 감자 : 내림세
- 제주지역 대지종 감자는 주말 작업분 출하량 증가로 상품성 저하된 중하품 위주 거래
- 시세는 중품 20kg상자 평균 19,500원으로 전일대비 15% 시세 하락
- 수미종 감자는 강원 평창, 인제지역 및 경남 창녕, 전북 완주지역 출하량 증가
- 시세는 상품 평균 22,500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한 약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78.19 전일대비 -1.34
◇배추-물량 증가로 내림세
-주초 이틀 물량인데다 설 대목을 앞두고 있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918톤이 반입되어 전일 대비 51% 증가하였으며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출하됨.
-물량이 워낙 많이 증가해 가격은 내림세.
-설 대목을 일주일 남겨 두고 소비가 늘고 있으나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기는 역부족임

◇ 상추 - 재고 증가 및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주말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소비 부진으로 시장내 재고 물량이 증가하였고, 설 성수품 위주로 장이 형성되어 상추는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어 내림세 형성.
- 청상추(4kg 상품)는 전일대비 12.7% 하락한 6,200원, 적포기 9.6% 하락한 7,5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반입량 감소 및 설 수요로 오름세
- 반입량 감소한 가운데, 대형마트의 설날 세일 등으로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형성.
- 전일대비 45% 감소한 101톤 반입(전자경매기준)되었고, 품종별로는 섬초가 43톤, 육지초가 11톤, 포항초가 17톤, 4KG 상자 시금치가 11톤, 400G 단 시금치가 18톤가량 반입됨.
- 섬초(18KG, 상품)가 전일대비 18% 오른 29,500원, 4KG 상자 상품이 7.5% 오른 5,7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4.83 전일대비 15.06
◇오이-주초 수요로 오름세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재고가 적고 설 대목 수요로 오름세
-금일 반입량은 261톤으로 전일대비 89% 증가하였으며 백다다기 136톤, 취청 123톤이 반입됨.
-백다다기는 42% 증가하였으나 취청은 188% 증가해 취청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졌음.
-취청은 출하지가 구례, 순천 등 남부지방으로 격일제 작업으로 일자별 반입량 부침이 심함.
-가격은 백다다기, 취청 모두 오름세로 수요가 활발했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8.76 전일대비 -0.27
◇무-재고량 누적으로 약세
-연일 많은 양의 물량이 반입되어 가격은 내림세
-금일도 670톤이 반입되어 전일에 비해 7% 증가하였음. 600톤이 넘는 물량 출하가 일주일 넘게 이어지고 있음.
-반면 설 대목으로 소비량이 증가하였으나 늘어난 물량을 소화하기는 어려워 보임.
-따라서 재고량이 100c/t에 이를 정도로 많이 남아있어 가격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또한 산지에서 선별이 미흡하고 제주무의 경우 운송에 이틀이 걸려 일부는 짓무름이 발생하여 상품성도 떨어짐.
-도매시장 출하량과 당일 가격을 점검하고 출하시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9.25 전일대비 -0.42
◇ 양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1% 증가한 711톤 반입. 설 앞두고 산지 출하량 증대로 반입량 대폭 증가
- 지난주 재고량 누적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약화. 전남 무안산은 1kg단가 1,100-450원,
- 함평산 1,109원-667원, 경북 영천산은 957원-467원으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전일대비 45% 증가한 381톤 반입. 전남 진도지역 출하량 증가로 1kg단 620원-380원
- 전남 신안산은 상품성 우수로 1kg단 730원-350원으로 보합세 거래
◇ 쪽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45% 증가한 64톤 반입. 흙쪽파는 충남 예산, 당진지역 반입량 증가. 설 앞두고 주초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로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충남 예산, 당진지역 상품성 좋아 상품 10kg 상자 평균 25,000원. 전일대비 31% 시세 상승.
- 제주산 깐쪽파는 물량이 줄면서 중품 평균 18,500원으로 전일대비 27% 시세 상승.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2.97 전일대비 5.36
◇ 피망, 파프리카류 - 주초장 대형마트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
- 전일대비 17.9% 증가한 35톤(전자경매 기준) 반입.
- 반입량 증가하였지만, 설 대목장 대형 마트 세일 및 졸업시즌으로 수요가 많고, 최근 지속적인 고가 형성으로 납품업체 등의 물량 확보 심리가 형성되면서 강세장 형성.
- 청피망(10kg,상)은 전일대비 6.5% 상승한 70,000원, 오렌지파프리카는 3.6% 상승한 평균 43,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브로코리 - 물량증가 및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기온 상승으로 출하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설 수요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 내림세 형성.
- 브로코리의 경우는 수입량도 많고 품질도 좋지 않음.
- 브로코리(8kg 상품)는 전일대비 14% 하락한 15,000원, 양상추(8kg,상품)는 6.1% 하락한 15,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100.89 전일대비 5.89

◇ 버섯류 오름세
《강세요인》
- 설이 가까워지면서, 전반적인 시장 매기 활성
- 따뜻한 날씨로 도보상인이 늘어났고, 가정용 소비도 활발
《약세요인》
- 금일 반입물량이 272톤으로 전일대비 20% 증가
- 산지 작황 호전과 명절특수 시점으로 수확량이 집중되면서 출하량 증가추세


◎ 표고-오름세

《강세요인》
- 설 대목을 앞두고 선물용 수요 증가
- 부여지역에서 상품성이 좋은 특품이 많이 반입되고 있어, 특품 위주로 가격 상승
- 특품 4kg 평균이 37,000원으로 전일대비 3,000원 가격 상승

《약세요인》
- 54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66% 증가
- 충청권에서 80% 이상 출하 점유율 차지
- 평년보다 높은 기온의 영향으로, 산지 작업량이 평년보다 늘어난 수준

◎ 새송이-오름세
《강세요인》
- 중도매인의 명절 특수로 재고량 감소
- 설을 앞두고 소비가 늘어나면서 오름세 형성
- 졸업시즌을 맞아 육류소비업체를 중심으로 요식업체 수요도 증가
- 특품 2kg 10,750원으로 전일대비 오름세

《약세요인》

- 79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5% 증가
- 새송이의 최대산지인 충남 천안과 경상도 김천의 출하량이 많았음


2. 수산물
가격지수 : 98.15 전일대비 +0.41
《 강세 요인 》
○ 주초장으로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 증가
○ 설 성수품 사전 구매로 상등품을 중심으로 오름세

- 갈치(국내산 및 수입산), 고등어, 수입명태 등은 생물 감소로 수요가 증가하여 오름세
- 수입바지락, 오만둥이, 해락 등은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
《 약세 요인 》
○ 산지 기상여건 호조와 휴일 2일분 작업물량으로 반입량 증가
- 생물오징어, 쭈꾸미는 가격 형성이 높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굴, 홍합,새고막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91 전일대비 +1.77
《 강세 요인 》

◇ 고등어, 국내산 갈치, 명태는 생물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고등어는 어획부진 지속으로 생물 반입이 감소하여 중하품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형성




- 갈치는 제주산의 반입 감소로 일본 수입산의 반입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을 중심으로 오름세



- 수입 냉장 명태는 반입량은 10톤이나 주말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정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 감소로 거래가 부진하여 대중품목 중 냉동물량을 중심으로 내림세



- 국내산 조기는 제주 및 목포산 물량이 주로 거래되었고 체장이 작아 내림세, 수입산은 설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삼치는 반입량 감소에도 충무산 물량이 체장이 작고 선도하락으로 내림세




- 병어는 주말 가격이 높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05.19 전일대비 +9.92
《 강세 요인 》

◇ 주초장세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거래량 증가



- 굴은 21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통영,남해,고흥산으로 상품성이 좋고 반입량 증가에도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였으나
반입량이 많아 하품은 재고량 누적


- 바지락은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전량 수입산으로 거래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을 중심으로 오름세로 거래되었고, 겉망바지락도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소라는 군산,서천산으로 씨알이 굵은 것이 반입되어 상품을 중심으로 오름세였고 가정수요 보다는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음.


- 모시조개는 포항,남해산으로 반입량이 증가에도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반입량 증가에도 전반적인 요식업체의 경기부진과 일부학교의 봄방학으로 인한 납품 수요 감소로 재고량 증가




-
홍합은 25톤으로 전일대비 4톤 증가. 매기부진에 따른 재고량 누적으로 내림세


- 순천산 새꼬막은 주말에 비해 7톤 증가한 23톤이 반입되었으나 설 성수품임에도 반입량 증가로 중품이하는 내림세를 형성, 재고량도 증가




◈ 연체류
가격지수 : 109.91 전일대비 -0.70
《 강세 요인 》


◇ 반입량은 주말과 큰 변동 없으나 주초장세를 맞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상품을 중심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상품성 향상으로 선호도가 높고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로 높은 가격에도 거래는 꾸준, 가정수요는 한산


- 주꾸미는 국내산이 반입량 감소로 높은 가격형성으로 내림세, 수입품은 반입량 감소에도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에 거래

- 오만둥이는 반입이 적어 오름세이나 생물은 극소량이었고 냉동물도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전반적인 매기부진으로 일반 가정수요는 한산하였고, 급식 납품 수요 감소로 거래량 감소

- 생물오징어는 동해안산으로 17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감소. 상품은 대부분 채낙기 물량이나 소량 반입으로 가격 형성이 높아 주말대비 내림세, 중하품 잔오징어는 그물 어획품으로 선도하락으로
매기 부진

- 냉동오징어는 5톤 반입되었으나 대부분이 정부비축분으로 가격은 전일대비 보합세로 매기는 부진

- 미더덕은 생물의 반입비중이 많았으나 최근 가격이 높아 매기부진하여 전문요식업체외의 거래는 한산하여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