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23(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2.23(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2-23 04:22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농산물

가격지수 : 100.13 전일대비 -8.38
"《약세 요인》
○ 설 연휴가 끝나고 정상작업이 이루어졌고 주말을 앞두고 있어 반입량 증가
○ 각급 학교 봄방학으로 납품수요가 줄었고 명절 이후라 가정용 소비도 많지 않음
- 모든 부류의 가격이 내림세를 형성하였으며 잎채소류, 양념채소류, 서류의 내림세가 두드러짐
- 품목별로는 대중 수요품인 무, 배추가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하락세 주도
- 고단가가 지속되던 감자도 제주지역의 물량 증가로 전일의 약세가 이어졌고, 고구마도 소비가 부진해 내림세.
《강세 요인》
○ 수급불균형으로 양송이, 생표고 등 일부 버섯류와 가지 ,치커리 오름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7.66 전일대비 -13.18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3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2% 증가. 주말대비 산지 저장량 출하 조절
- 기온 상승에 따른 소비 수요 감소. 중도매인 구매력 약화되면서 내림세
- 밤고구마는 여주 22톤, 논산 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9% 물량 증가
- 여주산은 4,000-26,000원 거래. 논산산 8,000-25,500원 거래로 시세 하락
- 호박고구마는 충남 서산 7톤, 당진 3톤, 논산 2톤, 경북 영주 5톤 등 반입
- 논산산 상품성 우수로 최고 43,000원 거래. 전일보다 물량 증가. 수요 감소
- 영주산은 10,000-23,000원, 서산산 5,000-33,000원 거래.
◇ 감자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 감소한 251톤 반입. 강원지역 저장 물량 출하 조절로 소폭 감소
- 수미종 감자는 강원 홍천 27톤, 평창 11톤, 정선 8톤, 인제 8톤 등 반입.
- 강원지역 감자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경남 창녕산은 상품성 우수 구매 활발
- 상품 평균 21,00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전일대비 22% 증가한 173톤 반입
- 반입량 증가와 전일 재고물량 영향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상품 평균
- 27,50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9.14 전일대비 -18.03
◇배추-내림세
- 설 이후 강세로 작업을 재개한 출하자가 많고 주말을 앞두고 있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전자 경매기준 504톤이 반입되었으며 해남 80%, 진도 19%, 무안 1%에서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375원, 보통 1,8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4.4%, 18.7% 하락함.
- 주말을 앞두고 있어 평소보다 수요량이 증가하였으나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소화하기는 역부족임.

◇ 상추 - 내림세
- 주말장에 접어들었으나 설 명절 이후 소비가 감소한데다, 산지 출하량도 증가하여 내림세를 보임.
- 반입량은 89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12%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적포기 62톤, 청상추 12톤, 적상추 10톤 가량임.
- 청상추(4kg,상)는 전일대비 7.7% 하락한 5,400원, 적포기는 24% 하락한 평균 6,1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내림세
- 명절이후 소비가 감소와 각급 학교 봄방학으로 납품 수요도 줄어 내림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62톤(전일대비 6.8% 증가)으로 경기도 일원의 반입량 증가폭이 컸으며, 품종별로는 섬초 60톤, 육지초 15톤, 포항초 38톤, 4kg 상자 시금치 14톤, 단 시금치가 38톤 가량임.
- 섬초(15kg,상) 17,500원, 포항초(500g단,상) 800원, 상자 시금치는(4kg,상) 평균 6,4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2.18 전일대비 -6.73
◇오이-내림세
- 주말은 앞두고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설 연휴 이후 소비감소가 이어지면서 내림세
- 백다다기는 111톤이 반입되었으며 상주 43%, 고흥 17%, 안성 9%에서 출하됨.
- 취청은 77톤이 반입되었으며 구례 36%, 순천 35%, 강진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3,500원, 취청 20kg상자 35,500원으로

- 전일대비 각각 6.9%, 8.4%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3.74 전일대비 -0.95
◇무-내림세
- 제주지역의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
- 제주지역은 배로 인한 운송으로 운송시간이 이틀이 소요되어 연휴 뒤 작업된 물량이

- 금일부터 본격적으로 반입되기 시작함.
- 전자경매 기준 금일 반입량은 573톤이었으며 서귀포 65%, 고창 19%, 제주시 6%에서 출하됨.
- 가격은 제주산은 4,000~5,000원, 육지산은 1,300~2,000원에 거래된 물량이 많음
- 육지산은 소폭 내림세에 그쳤으나 제주산은 400~500원 가량 하락하여 내림폭이 컷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7.33 전일대비 -13.97
◇ 양파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1% 증가한 652톤 반입. 국내산(전남지역) 및 수입산 물량 증가
- 국내산중 무안 286톤, 함평 82톤, 경북 영천 78톤 반입
-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재고 증가. 봄방학으로 인한 급식수요 감소로 매기 부진
- 상품 평균 1,000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하락을 보이며 약보합세
- 수입양파는 전일대비 200% 증가한 22톤 반입. 베트남산 9톤, 중국산 13톤 반입
- 재고가 많은 관계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수입산 또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금일 24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6% 증가. 주말 앞두고 산지 출하량 증대
- 전남 진도산 151톤 반입(전일대비 3% 감소). 시세하락 우려 출하량 조절
- 상품성이 떨어져 최고 780원에 거래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신안산은 79톤 반입(전일대비 29% 증가). 상품성 우수로 특품 평균 990원으로
-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을 보이면서 산지별 가격 차별로 양극화 판매
◇ 쪽파 : 보합세
- 전일대비 15% 감소한 45톤 반입. 전일 재고영향으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흙쪽파는 예산 16톤, 당진 2톤 반입.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판매 부진
- 상품 1kg단 평균 1,150원으로 전일대비 25%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깐쪽파는 전일대비 31% 감소한 22톤 반입, 제주산 12톤, 육지산 10톤 반입
- 전일 시세하락에 따른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전일 재고누적
-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로 상품 평균 15,500원으로 전일대비 22% 시세 하락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3.48 전일대비 -4.7

◇ 피망 - 약보합세, 파프리카 - 내림세
- 피망 반입량이 이틀 연속 감소했으나, 학교 봄 방학으로 납품 수요가 줄어 약보합세를 보임.

- 파프리카는 물량 증가 추세이며 명절 이후 소비가 부진하여 이틀연속 하락함.
- 주 출하지는 경남 진주, 전남 광주, 화순, 진도 등이며,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6%

- 감소한 32톤, 파프리카는 1.8% 증가한 16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3% 하락한 56,000원, 홍피망(10kg,상)은 전일과 비슷한

- 73,200원, 빨강파프리카(5kg,상)는 16% 떨어진 33,000원, 노랑파프리카는 22% 하락한

-
평균 30,5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보합세
- 따뜻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생육이 좋아져 양상추의 물량이 크게

- 증가(전일대비 24% 증가한 82톤 반입)하여 내림세를 보임.
- 브로코리는 물량과 소비의 큰 변동이 없어 보합세.
- 양상추(8kg,상)는 전일대비 23% 하락한 11,000원, 브로코리(8kg, 상)는 평균 13,000원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99.5 전일대비 -4.55


2. 수산물
가격지수 : 99.0 전일대비 -3.47
《 강세 요인 》
○ 상품성 양호와 주말대비
외식업체 매수세 유입

- 일본산 생태 및 소라는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
《 약세 요인 》
○ 설 이후 가계지출 감소와 금일 반입량 증가
- 냉동고등어, 물오징어는 반입량 증가와 소비수요 둔화로 약보합세
- 굴, 바지락, 주꾸미는 가계 지출감소 예상으로 매수세 둔화


◈ 생선류
가격지수 : 81.82 전일대비 -0.49
《 강세 요인 》
○ 국내산 생물 공급량 부족 및 주말대비 매수량 증가한 품목 오름세
- 고등어는 삼천포산이 소량 거래되었으며 국내산 생물 반입량 부족으로 상품성에 비해 오름세를 보였고, 다음주부터 본격적으로 반입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생태전문 요식업체 주말대비 매수세 증가로 강보합세
- 생물 삼치 반입 감소로 냉동삼치는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상승세 지속
《 약세 요인 》
○ 반입량 감소로 상승세를 보였던 갈치, 냉동고등어는 반입 물량 증가하며 약세
- 갈치는 제주산이 대형마트 납품 증가로 소량 반입되었으나 일본산 수입물량이 크게 늘어났고 상품성이 일본산과 비슷하여 하락세를 나타냄.
- 일본산 냉장갈치는 이틀연속 가격상승이 지속되면서 재고가 늘어나 약보합세
- 냉동고등어와 일본산 냉장고등어는 반입물량이 증가하고 가정용 수요 감소 기대로 약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13.92 전일대비 -18.14
《 강세 요인 》
○ 설 이후 첫 번째 맞는 주말 수요를 대비한 요식업체의 구매량 증가
○ 대형 유통업체의 영업 정상화로 물량 구색을 갖추기 위한 구매량 증가


- 마산, 여수산 홍합은 2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고정 수요처인 요식업소 등 외부 주문 물량 증가로 상품을 중심으로 거래량 증가


- 모시조개는 목포,남해, 북한 수입산으로 소량씩 꾸준히 반입되며 가격의 고가 형성으로 수요처는 한정되었으나 거래는 다소 활발
《 약세 요인 》
○ 설 연휴 이후 산지 작업 정상화로 대부분 품목의 반입 물량 증가
○ 주말장을 맞아 고정 급식업체의 납품 수요감소와 가정 소비 부진

- 굴은 통영,고흥산이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산지 경매가격과 소비지 가격간의 차이가 많아 미판매 재고물량 증가, 일간 가격 변동이 심한 편으로 전문 요식업소외에 일반 소비는 한산
- 바지락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전량 수입산으로 칼국수집등 전문 요식업소외에 일반 가정 소비는 한산하여 내림세
- 순천산 새꼬막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설 이후 수요감소로 매기부진하였으나 선도와 씨알이 굵어 등급간 가격차이 감소

◈ 연체류
가격지수 : 107.83 전일대비 -3.93
《 강세 요인 》
○ 수입물량의 감소로 가격은 강세 형성
○ 국내산은 어획부진으로 반입량이 격감하였고 수입산도 반입량이 없어 강세

- 수입낙지는 중국의 춘절 연휴 장기화로 산지 조업 부진으로 수입 냉장물량의 반입은 없었고, 냉동물량이 대체소비량 증가
《 약세 요인 》
○ 반입량 감소로 가격은 오름세이나 요식업소등 고정수요처의 소비 외에 일반수요는 한산
- 물오징어는 동해안이 14톤 빈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채낚기 물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수요는 꾸준하였음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냉동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전일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금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였고 미판매분도 증가
- 주꾸미는 2톤 반입되었고 서천, 군산, 중국 수입산이었음.
전일 가격의 오름세 여파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큰폭의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