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5.2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5.23(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6.92 전일대비 -0.7
《 강세 요인 》
○ 뿌리, 양념 채소류, 버섯류는 주중 소비수요 증가로 오름세
- 열무는 기온상승 영향으로 물김치 수요 증가, 쪽파, 깐쪽파는 반입량 감소로 시세상승
- 양송이, 팽이 버섯은 징검다리 연휴 앞두고 소매상 및 지방상인 주문 증가
《 약세 요인 》
○ 서류, 잎채소류, 서양채소류는 반입량 증가와 전일 재고로 내림세
- 감자는 보성, 제주산 반입량 증가와 소비부진으로 약세, 상추류, 쑥갓 등 반입량 증가
- 겨자잎, 적겨자채, 셀러리 등은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3.68 전일대비 -7.09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19톤 반입되면서 전일수준 반입. 산지 출하량 조절.
- 고구마는 여주 66%, 원주 12%, 영주 11%, 태안 10% 등 반입
- 밤고구마 63%, 호박고구마 37% 차지함. 밤고구마는 여주산 2,000-24,500원
- 영주산 7,000-20,500원, 호박고구마는 원주산 7,500-25,000원에 거래
- 상품성 좋은 원주산 호박고구마 소량 출하되면서 특품은 오름세
- 전일 재고증가와 금일 여주산 밤고구마 소비부진으로 전반적 약세
- 상품 평균 19,135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49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감소.
- 수미종 감자는 보성 32%, 장흥 24%, 서산 8%, 김제 6%, 창원 5% 등 반입
- 보성 2,000-16,000원, 장흥 2,000-19,000원, 서산 3,000-33,000원 거래.
- 충남 서산 햇감자 출하량 증가. 전남 보성, 장흥지역 상품성 저하
- 전일 판매부진으로 재고부담 회피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6,462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4.87 전일대비 -3.35
◇ 배추-내림세
- 봄배추가 거래를 주도하면서 상품성 하락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83톤으로 전일대비 1.3% 감소하였으며 월동과 봄배추 비중은 15%, 85% 정도임
- 지역별로는 해남 28%, 평택 14%, 의령 10%순이었으며 해남은 월동과 봄배추가 혼재되어 출하되었고
봄배추는 의령지방의 터널 재배 출하가 많이 증가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365원, 보통 1,59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1%, 6.4% 하락함
- 주초부터 반입량이 많아 재고가 누적되었고 월동은 끝물출하로 잘고 무른 배추가, 월동은 터널재배
증가로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졌음
- 지역별 단가는 해남 3,110원, 평택(송탄) 1,600원, 의령 1,440원이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5.94 전일대비 -1.11
◇ 호박-오름세
-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가격 오름세가 이어짐. 특히 쥬키니는 금주 들어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여
전주대비 30%, 표준가격 대비 50% 높은 시세에 거래되고 있음
- 쥬키니는 진주, 전주, 공주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전년도 가격이 낮아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연작
피해까지 겹쳐 생산량이 적기 때문임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175톤으로 전일대비 14.3% 감소하였으나 쥬키니는 36톤으로 8.9% 증가함
- 가격은 상품기준 애호박 20개 9,595원, 쥬키니 10kg상자 10,75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5%, 4.1%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0.81 전일대비 1.93
◇ 무-오름세
- 반입물량이 증가한데다 상품성이 호전되면서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545톤으로 전일대비 17.2% 감소하였으며 제주무와 육지무 출하비중은 각각 70%,
30% 정도임
- 제주무는 출하후반기로 상품성이 낮은 저가품은 작업비 수준에 불과해 산지 출하량 조절로
지속적으로 반입량이 감소하고 있음
- 봄무는 김포지역의 작업이 마무리 되면서 부여지역이 주 출하지로 부상하였으며 반입량이 증가
추세이나 급격한 물량 증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6,105원, 보통 4,79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1%, 8.7% 상승함
- 지역별 평균단가는 제주시 4,810원, 부여 6,300원, 김포 5,750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4.09 전일대비 0.08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1,10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감소.
- 무안 79%, 신안 5%, 해남 5%, 익산 4%, 함평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23-325원, 신안산 133-205원, 해남산 186-310원 거래.
- 소비부진에 따른 약세 지속으로 산지 출하량 조절하면서 무안산 반입량 감소
- 납품업체 주문 감소, 전일 재고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236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1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 증가.
- 경기 고양산 25%, 구리 21%, 포천 12%, 남양주 7% 등 반입
- 고양산 300-700원, 구리 380-830원, 포천 260-820원에 거래
- 지방소매상인 주문 증가, 경기 구리지역 상품성 향상으로 판매호조
- 금일 상품 평균 656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쪽파 - 오름세
- 금일 1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 증가.
- 흙쪽파는 아산 4톤, 예산 1톤, 남양주 2톤 등 반입
- 징검다리 연휴 앞두고 재고물량 확보 위한 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100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깐쪽파는 서천 3톤, 당진 1톤, 보령 1톤 등 반입
- 대형유통업체 세일행사 대비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35,316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생고추 - 내림세
- 금일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55.3% 증가한 168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양 63톤, 일반풋고추 54톤, 꽈리 33톤, 홍고추 17톤 가량임.
- 주출하지역은 경남 밀양·진주, 전남 광주·영암, 충남 당진·예산 등임.
- 청양고추 전체 평균 가격은 18,000원이며, 밀양 18,200원, 광주 20,300원 가량임.
- 꽈리고추 전체 평균 가격은 13,300원이며, 당진 14,900원, 예산 15,500원, 밀양 10,700원을 형성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9.46 전일대비 -5.5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31톤가량 반입되었으며, 소비 둔화로 내림세임.
- 주 출하지역은 경남 진주, 전남 광주, 나주 등지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3,400원이며, 진주 12,100원, 광주 18,500원에 거래됨.
- 홍피망은 6톤가량 반입되었으며 시세는 상품기준 전일대비 7.8% 하락한 27,900원임.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25.8% 감소한 9톤가량 반입되었고, 매기가 강해 오름세 거래.
- 파프리카는 경기 화성, 전남 강진, 충북 진천 등에서 출하되고 있음.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격은 15,000원이며, 진주 12,900원, 강진 18,400원, 진천 17,900원을 형성함.
◇ 양상추 - 오름세, 브로코리 -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27.7% 감소한 50톤가량 반입됨.
- 주출하지역은 경남 하동(23.3%), 강원 횡성(17.8%), 충북 제천(12.0%)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체 평균은 6,600원이며, 하동 4,700원, 강원 횡성 7,5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는 물량 감소하였고, 시세는 보합세를 보임.
- 주 출하지역은 충남 당진, 강원 횡성, 경기 양주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1,500원이며, 당진 10,200원, 횡성 12,8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9.29 전일대비 4.2
◇ 버섯류 - 강보합세
- 전일대비 2% 증가한 192톤 반입
- 징검다리 연휴를 앞두고 납품업체 주문 증가
- 학교와 가정 단위 행사 수요 증가로 버섯 매기 활성화
- 급식업체 수요 증가하면서 금일도 양송이 가격 상승세 두드러짐
◇ 새송이 - 강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57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물량 반입
- 천안 25.5%, 김천 17.3%, 상주 7.9%, 안성 6.5%, 경남 의령에서 5.7% 출하
- 올해 재배면적이 늘어나 전년대비 42% 반입량 증가
- 내일 휴일을 앞두고 외식수요가 증가해, 요식업체 수요 증가
- 상품 2kg 평균 5,841원으로 전일대비 3%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3.60 전일대비 -1.54
《 강세 요인 》
○ 산지 출하량 감소한 갈치, 선도가 뛰어난 문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익일 우천 예상에 따른 수요 둔화와 상품성 저조로 하락세
- 패류독 발견 보도로 수요 감소한 굴, 새꼬막 내림세
- 주꾸미, 수입낙지 반입량 증가와 수요 감소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26 전일대비 +2.09
《 강세 요인 》
○ 냉동고등어, 갈치, 수입부세, 삼치, 병어 오름세
- 냉동고등어는 생물 반입이 부족하고 일본산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수요가 늘어났고 부산산이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
- 갈치는 전일 가격하락으로 제주산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며 일부 대형어 반입도 이루어지면서 전일대비 강세. 반면에 일본산 냉장갈치는 최근 반입량 증가에 따른 시장내 재고 증가와 상품성 하락으로 약보합세
- 수입 부세는 중국산이 대형어 위주 거래로 오름세를 보였고, 병어는 충무, 부산, 대천에서 익일 휴무를 앞두고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여 대형어 출하 비중이 높아지면서 오름세
- 삼치는 선도가 뛰어난 제주산이 시장에 반입되면서 중도매인 매수세가 늘어 강세
《 약세 요인 》
○ 수입고등어, 생태, 냉동삼치 내림세
- 수입 고등어는 국내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익일 우천 예상과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면서 하락세
- 생태는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최근 무더운 날씨 지속에 따른 선도부진 가속화로 내림세
- 냉동삼치는 단체급식 수요 감소와 함께 생물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약보합세
◈ 조개류 88.85 전일대비 -9.80
《 강세 요인 》
○ 기온상승으로 날씨가 더워지면서 조개류 소비 감소로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
- 홍합은 11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주반입지는 마산과 여수지역으로 대부분 다듬은 물량이 출하되었으나 여수산은 패독주의보로 거래는 부진하였음. 전반적으로 일반 가정 수요 보다는 전문 요식업체의 수요가 많았고 가격은 전일대비 강세
《 약세 요인 》
○ 굴,바지락,모시조개,해락,새꼬막, 동죽, 소라, 키조개 약세
- 굴은 6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통영(충무)산으로 전일 재고물량 미소진으로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햇굴은 기온상승으로 전문 요식업체 외에 일반수요는 한산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겉망바지락의 국내산 출하지역은 서산,순천,부안으로 반입량은 전일대비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약세, 수입산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출하되었으나 반입량 증가와 기온 상승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모시조개는 서산,부안, 중국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이어 높은 가격을 형성, 흑모시는 상품성이 좋아 오름세, 백모시는 내림세
- 해락은 서산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타조개류의 가격하락으로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대량수요처의 소비가 많은 대포장은 씨알이 굵고 선도가 좋은 상등품의 반입으로 최고 가격은 오름세였으나 중하품은 내림세였고, 소포장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 동죽은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겉소라는 군산, 서천, 여수산으로 반입량이 적음에도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이가 컸고 전일대비 약세
- 키조개는 반입 감소에도 매기부진과 재고량이 많아 약보합세
◈ 연체류 101.01 전일대비 -3.46
《 강세 요인 》
○ 주꾸미와 문어는 강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국내산은 서천산으로 반입은 많지 않으나.선도부진과 수입산 수요에 밀려 가격 형성이 낮자 재경매 물량이 증가. 수입산은 선도가 좋고 고정수요처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산 중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미더덕,멍게,수입낙지,오만둥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3톤 감소. 주출하지역은 남해, ,제주근해로 기상여건 호조로 체낙기 물량의 반입이 늘면서 내림세였고 트롤 물량은 반입이 적어 오름세에 거래, 근해산 냉동. 냉장 물량의 거래는 증가
- 미더덕은 마산산으로 물량 반입은 전일수준이나 냉동물 반입으로 내림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 감소에도 소비가 부진하여 내림세
- 수입낙지는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상품성은 좋은 편이었음, 주 수요처는 전문 요식업체였음
- 오만둥이는 냉동물량 반입으로 수요가 감소하여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