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2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2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4-26 08:3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2.61 전일대비 -1.35
《 강세 요인 》
○ 서류, 열매채소류, 잎채소류가 주중 소비 수요 증가로 강세
- 고구마는 상품성 좋은 세척밤고구마와 호박 고구마 반입으로 오름세 거래
- 알타리무, 열무는 수요 증가로 거래활발하였고, 오이, 청피망, 애호박은 출하량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채소류, 양념채소류, 서양채소류 전일 판매부진과 금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상추류 판매부진으로 매수세 약화, 쪽파 출하량 증가로 거래부진
- 노랑파프리카, 셀러리는 납품업체 수요 감소하면서 시세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2.81 전일대비 6.43
◇ 고구마 - 오름세
- 전일대비 13% 감소한 금일 19톤 반입. 상품성 좋은 호박고구마 출하
- 밤고구마는 여주 4톤, 영주 2톤 등 반입, 여주산 10kg 8,000-23,500원에 거래
- 호박고구마는 여주 3톤, 서산 2톤 반입, 여주산산 10,000-37,000원에 거래
- 전일 재고 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강화. 호박고구마 상품성 우수로 판매호조
- 상품 평균 23,829원으로 전일대비 25%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보합세
- 금일 34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감소. 상품성 저하로 구매력 감소
- 수미종 감자는 316톤 반입. 김제 184톤, 남원 29톤, 밀양 25톤, 평창 19톤 등
- 김제산 2,000-29,000원, 남원산 3,000-26,000원, 밀양산 4,000-27,000원 거래
- 강원지역 감자는 상품성 떨어져 구매 선호도 저하되면서 2,000-18,500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23,492원에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민간업체 수입 감자(미국산) 14톤 출하. 20kg 14,000-15,500원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8.88 전일대비 -7.55
◇배추-내림세
- 전일 도매시장 내 다듬기 금지 단속의 영향으로 주춤하였던 반입량이 평일 수준으로 회복되었음
- 금일 반입량은 493톤으로 전일대비 36.9% 증가하였으며 최근 일주일 평균반입량 492톤과 비슷한


물량이었음.
- 전체 반입량의 75%가 월동배추였고 나머지는 봄배추로 봄배추가 월동배추 물량 부족 현상을


보충하는 형국이었음.
- 월동배추는 해남, 무안, 진도에서, 봄배추는 예산, 나주 등지에서 출하되었음.
- 한편, 월동배추는 출하 전 재작업이 의무화됨에 따라 골판지 출하비중이 높아졌는데 중도매인


선호도가 높아 가격이 좋게 나오기 때문으로 보임
- 금일도 월동배추 물량의 40%가량이 골판지 출하였음.
- 물량이 증가한데다 봄배추 출하비중이 높아 상품성 하락으로 가격은 내림세였음.
-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712원, 보통 2,70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5%, 11.3% 하락함.
- 평균거래가격은 월동배추 3,300~3,700원선, 봄배추 1,800~2,500원선으로 봄배추는 월동배추의


60%선에서 가격이 형성되었음
◇ 상추 - 내림세
- 주중장에 접어들어 판매부진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를 보임.
- 주출하지는 경기 이천(34.2%), 용인(15.5%), 성남(6.2%) 등이며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00톤으로 전일보다 2.2%가량 감소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79톤(78.4%), 청상추 12톤(12.5%), 적상추 4톤(4.3%) 가량임.
- 적포기(4kg,상)는 전일보다 10.5% 하락한 6,100원, 청상추는 16.4% 떨어진 5,5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내림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14톤으로 전일보다 7.1% 증가한 수준이며
- 주 출하지역은 경기 포천(49.4%), 남양주(19.5%) 등지임.
- 품종별로는 단시금치 81톤, 상자시금치 30톤, 포항초 2톤가량임.
- 상자시금치(4kg,상) 6.7% 하락한 6,350원, 단 시금치(400g단,상)는 13.7% 하락한 41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6.22 전일대비 2.42
◇오이-오름세
- 이달 하순부터 지속된 내림세가 진정되고 오름세로 돌아섬
- 특히, 격일제 작업으로 일별 반입량 증감이 심한 취청이 금일 출하량이 적어 오름세가 크게 나타남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352톤으로 전일대비 14% 감소하였으며 품종별로 백다다기 277톤,


취청 56톤이 반입됨
- 백다다기는 11%, 취청은 40% 감소함
- 백다다기는 천안 32%, 상주 15%, 고흥 12%에서 출하되어 천안은 반입량이 증가한 반면 끝물 출하인


상주, 고흥은 감소함
- 취청은 구례 72%, 순천 23%, 안성 4%에서 출하되어 순천의 물량이 감소하였고 전일 11톤이


출하되었던

강진은 금일 출하되지 않음.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5,418원, 보통 21,62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5%, 3% 상승함
- 지역별로는 천안지역 오이가 브랜드명(아우내)에 힘입어 타 지역에 비해 20% 가량 높게 형성됨
- 취청은 20kg상자 기준 상품 24,399원, 보통 21,13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3.1%. 21.4%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6.98 전일대비 3.18
◇무-내림세
- 제주 노지무가 거래를 주도하는 가운데 육지저장무, 제주저장무, 봄무가 소량씩 출하됨
- 금일 반입량은 488톤으로 전일과 비슷하였으며 육지 저장무 3대, 햇무 2대, 제주 저장무 4대가 출하됨
- 전일에 이어 금일도 출하량이 적어 물량부족으로 가격은 오름세
- 18kg마대 기준 상품 5,993원, 보통 4,89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9%, 2.5% 상승함
- 햇무는 각각 4,700원, 5,600원에 제주저장무는 6,600~5,800원에 거래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6.69 전일대비 -4.94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98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1% 증가. 무안산 노지 조생양파 출하 증가
- 무안 453톤, 제주 391톤, 군위 24톤, 고흥 20톤, 신안 16톤 등 반입
- 무안산 kg당 150-436원, 제주산 157-420원, 군위 200-339원 거래.
- 전남 무안지역 노지 조생양파 출하가 늘면서 반입량 증가. 제주산은 감소 추세
- 금일 상품 평균 338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4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증가. 경기고양, 구리 등 출하량 증가
- 진도산 61톤, 신안 46톤, 영광 44톤, 고양 43톤, 부안 8톤 등 반입
- 경기도 지역 대파 출하량 증가. 전남 진도산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 상품 평균 625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쪽파 - 내림세
- 금일 2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5% 증가. 육지산 깐쪽파 출하량 증가
- 흙쪽파는 예산 6톤, 아산 3톤 등 반입. 충청지역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상품 평균 1,250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서천 4톤, 당진 3톤, 보령 2톤, 예산 1톤, 아산 1톤 등 반입
- 육지산 위주로 출하량 증가하면서 재고가 늘어 매수세 약화
- 상품 평균 24,792원으로 전일대비 2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생고추 - 강보합세
- 전일 재고 소진 및 반입 물량이 감소된 반면, 소비는 활발하여 소폭 상승함.
- 주출하지역은 경남 밀양(50.2%), 진주(20.6%), 창녕(12.7%) 등이며,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과 예산 지역의 상품성이 좋아 상대적으로 높은 시세에 거래됨.
- 금일 반입량은 119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보다 19.9% 감소한 수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52톤, 일반풋고추 36톤, 꽈리고추 21톤, 홍고추 8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전일보다 3.6% 상승한 30,200원,
-
꽈리고추(4kg,상)는 전일과 비슷한 19,900원에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7.02 전일대비 -2.23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청피망은 물량 감소와 그동안 하락세에 대한 반등으로 상승하였고
- 파프리카는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하락하였음. 홍피망은 강세가 지속됨.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8.1% 감소한 25톤, 파프리카는 49.2% 증가한 24톤가량 반입됨.
- 피망은 경남 진주, 파프리카는 경남 남해, 전북 김제 지역에서 주 출하되고 있음.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0.8% 상승한 22,300원, 홍피망은 4.6% 상승한 157,5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8.2% 하락한 31,900원, 노랑파프리카는 19.2% 하락한 16,700원 에 거래됨.
◇ 양상추 - 약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16.9% 증가한 74톤이며, 주중 소비 둔화로 하락함.
- 주 출하지역은 경남 의령(29.8%),하동(20.2%),전남 광양(16.6%),충남 당진(12.4%) 지역임.
- 브로코리는 제주와 중국 수입품이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산 상품성이 좋아 높은 시세에 거래됨.
- 양상추는 10.0% 하락한 9,000원, 브로코리는2.2% 상승한 23,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5.76 전일대비 2.68
◇ 버섯류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177톤으로 전일대비 12% 감소
- 금주의 반입량은 계속 감소하였으나, 낮 기온이 상승하면서 중도매인 재고량 부담이 더 커지면서 가격은 보합세 형성
- 전반적으로 매기는 부진한 가운데, 급식업체를 중심으로 납품 수요 유지


◇ 팽이 보합세
- 현지 직납소비가 증가하면서 금일은 전일대비 11% 감소한 42톤이 반입
- 경상도 청도의 출하량이 64%로 영남지역의 출하량이 많았음
- 금주 들어 반입량은 계속 감소 추세이나, 대형유통업체 세일 행사 종료로 행사용 납품수요 또한 감소하면서 가격은 보합세 형성
- 100g 상품 평균가가 170원으로 전일과 비슷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93.55 전일대비 +1.00
《 강세 요인 》
○ 수입 물량 감소와 상품성 양호로 생선류 상승세
- 냉동고등어, 갈치는 대형어 위주 거래로 오름세
- 일본산 갈치, 임연수어 선도 양호와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마비성 패류독 발생으로 굴, 미더덕 약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63 전일대비 +3.14
《 강세 요인 》
○ 냉동고등어, 갈치, 아귀 오름세
- 고등어는 어군형성 부진으로 생물 반입량이 부진하여 냉동고등어 반입 비중이 증가함. 생물고등어는 하품이 반입부족으로 오름세를 보였고, 냉동고등어는 가공용 자반 수요로 대형어가 출하되면서 강세에 거래
- 갈치는 일본산 출하량 줄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감소하면서 제주산 갈치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일본산 망 갈치도 체장이 커 오름세 지속
- 아귀는 제주, 목포, 여수에서 출하되었으며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는 원활하고 산지 출하량은 감소추세임. 금일 시장내 재고 부족과 선도 양호로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삼치, 일본산 생태 하락세
- 삼치는 부산, 충무산 반입량이 4톤 감소하였으나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중도매인 판매 어려움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늘어나면서 약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물량이 1톤 증가하였고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은 부진하여 내림세 형성


◈ 조개류 84.09 전일대비 -1.41
《 강세 요인 》
○ 새꼬막, 홍합 오름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증가. 패독과 관련이 적은 품목으로 반입량과
거래량 증가로 대포장 보다는 소포장 위주로 거래되면서 오름세
- 홍합은 여수산이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패독 발생 보도 이후 산지 작업 부진으로 중도매인이 주문한 상등품의 물량만 반입, 전일대비 다소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굴,바지락,모시조개, 키조개,동죽,해락은 매기부진으로 약세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감소. 통영(충무), 사천산으로 전일에 이은 가격 하락 지속으로 반입량이 격감하면서 거래도 부진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겉망바지락은 서산산이 소량 출하되었으나 반입이 적어 정상 거래부진, 수입산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수입물량으로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 증가로 거래량은 증가하나 가격은 약세

- 모시조개는 목포, 군산산과 중국 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국내산 흑모시는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수입산 및 백모시는 내림세에 거래
- 키조개는 상등품 만 반입되었으나
요식업소 외에 일반 소비는 한산하여 약세
- 동죽과 해락도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연체류 85.78 전일대비 -1.86
《 강세 요인 》

생물오징어,오만둥이.문어 오름세
- 생물오징어는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울진,부산산이 주반입되었음. 어획 부진으로 체낙기 물량이 소량 반입되어 오름세, 대부분이 체장과 선도가 낮은 트롤 어획품은 가격 형성이 낮아 내림세. 대체 수요로 냉동 물량의 거래는 증가
- 오만둥이는 냉동물 반입에도 반입이 적어 오름세
- 문어는 반입량 감소로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주꾸미,미더덕,우렁쉥이 약세
- 수입낙지는 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조개류 거래부진에 따른
급식업체의
대체 수요 증가로 거래가 활발하였으나 가격은 약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전일 미판매분과 수입산의 거래 증가로
내림세, 수입산은 조개류의 대체 수요로 거래량은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약세
- 미더덕은 마산,여수산 생물이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약세
- 우렁쉥이는 씨알이 굵고 선도는 좋은 편이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