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2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23(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4-23 09:0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5.26 전일대비 0.52
《 강세 요인 》
○ 주초 잎채소류와 양념채소류가 매기 활발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잎채소류중 쑥갓, 시금치, 아욱 등은 재고소진으로 물량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양념채소류중 대파, 깐쪽파는 주초 납품업체 수요 증가로 상승세 거래
《 약세 요인 》
○ 열매채소류 출하량 증가, 상품성 저하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9.26 전일대비 -2.08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3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7% 증가. 호박고구마 상품성 우수
- 밤고구마는 여주 15톤, 이천 5톤, 당진 5톤 등 반입. 여주산 2,000-23,000원,
- 이천산 3,500-18,500원, 당진산 3,000-23,500원. 주초 재고 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상품 21,285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호박고구마는 여주 6톤, 당진 1톤, 서산 1톤 등 반입. 당진산 11,000-39,000원 거래
◇ 감자 - 내림세
- 금일 33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8% 증가. 출하량 증가로 구매력 저하
- 수미종 감자는 290톤 반입. 김제 140톤, 남원 47톤, 평창 31톤, 김천 12톤 등
- 김제산 3,000-27,000원, 남원산 6,000-27,500원, 김천산 5,000-25,500원 거래
- 상품성 떨어진 하우스 감자 출하량 증가. 중하품 위주로 거래 부진
- 금일 중품 평균 18,149원에 전일대비 17%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민간업체 수입 감자(미국산) 14톤 출하. 20kg 13,500-14,500원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2톤 반입. 출하종료기로 상품성 하락
- 상품은 평균 22,543원에 전일수준 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1.29 전일대비 7.46
◇배추-오름세
- 주초장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가격은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642톤으로 지난 주말 대비 103% 증가하였으며 해남 76%, 진도 11%, 나주 4%에서


출하됨
- 대부분 해남, 진도 지역의 저장배추인 가운데 나주, 예산, 창녕에서 봄배추가 5대 반입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2,983원, 보통 2,28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6%, 12.5% 상승함
- 반입량 증가에도 재고량이 적었고 주초로 소비도 다소 활발하였음
- 봄배추는 저장배추에 비해 소비자 선호도가 떨어져 중, 하품 시세를 형성함. 1,260~2,750원까지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4.47 전일대비 -10.86
◇오이-내림세
- 주초 반입량이 크게 증가해 내림세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749톤으로 전일대비 98.4% 증가하였으며 올해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었음
- 품종별로는 백다다기 577톤, 취청 161톤으로 백다다기는 85%, 취청은 165% 증가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100개) 23,054원, 취청(20kg상자) 20,19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7.2%,


6.6% 하락함
- 백다다기는 천안 30%, 상주 17%, 고흥 8%에서, 취청은 구례 41%, 순천 22%, 강진 11% 에서 출하됨
- 백다다기는 천안이, 취청은 강진의 가격이 비교적 높게 형성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7.61 전일대비 -0.23
◇무-등급별 등락이 엇갈림
- 일부 중도매인의 단체의 야유회로 작업량을 조절하여 주초장임에도 반입량이 오히려 감소함
- 육지산 4대 포함 380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대비 35% 감소함
- 가격은 육지산 1,600~2,400원, 제주산 3,500~7,800원이었음
- 주 거래가격은 4,700~6,300원 선으로 등급별로 등락이 엇갈림
- 제주산 노지작업이 마무리 단계로 질 좋은 물량이 적어 특, 상품은 오름세였으나 중, 하품은 내림세
- 노지작업은 금주 중으로 어느정도 마무리 될 것으로 보여 내주부터 저장물량이 본격 출하될 것이며


봄무는 5월 상순에나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7.25 전일대비 3.06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95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6% 증가. 제주, 무안 지역 조생양파 출하 증가
- 제주 508톤, 무안 178톤, 고창 11톤, 여수 11톤 등 반입
- 제주산 kg당 111-429원, 무안산 107-458원 거래.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 무안, 고창 등 육지산 하우스 조생양파 위주로 거래 활발
- 금일 상품 평균 365원으로 전일대비 4% 시세 상승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전일대비 28% 증가한 242톤 반입. 겨울대파 주산지인 진도, 신안 출하량 감소
- 진도산 87톤, 신안 77톤, 영광 27톤, 고양 23톤, 부안 9톤 등 반입
- 지역별 상품성 차이가 심화되면서 상품성 우수한 신안산 위주로 거래 활발
- 상품 평균 701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24톤 반입(전일대비 7% 감소). 흙쪽파, 깐쪽파 출하량 감소
- 흙쪽파는 예산 3톤, 아산 3톤, 서천 1톤, 당진 1톤 등 반입.
- 충청지역 산지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주초 재고물량 확보위한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1,600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깐쪽파는 당진 4톤, 서천 3톤, 제주 2톤, 보령 1톤, 예산 1톤 등 반입
- 제주산 출하량 크게 감소하면서 육지산 위주로 거래 활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상품 평균 22,386원으로 전일대비 25%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6.98 전일대비 -0.13


◈ 버섯류
가격지수 : 78.62 전일대비 -0.13

◇ 버섯류 보합세
- 날씨가 점차 따뜻해지면서 산지의 봄 출하량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
- 금일 반입량은 233톤으로 전일대비 10% 증가함
- 봄나물 소비로 인해 버섯류의 소비수요가 감소
- 중도매인의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가격은 하락세 형성

◇ 양송이 약보합세
- 금일 20톤이 출하되어 전일대비 반입량이 23% 증가하는 등 산지 출하량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임
- 부여 59%, 보령에서 32%가 출하되었고, 전일대비 부여 양송이의 출하량의 증가세가 두드러짐
- 특 2kg 평균 9,584원으로 전일대비 5%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약세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94.09 전일대비 -0.05
《 강세 요인 》
○ 주말 소비호조에 따른 재고량 감소로 식자재 업체 매수세 호조
- 생태, 바지락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 저조한 연체류 하락세 형성
- 물오징어, 수입주꾸미 선도 하락으로 내림세
- 국내산 주꾸미는 중국산 대비 가격차이 심화로 매수부진

◈ 생선류
가격지수 : 78.47 전일대비 +1.41
《 강세 요인 》
○ 생태, 고등어, 갈치, 삼치 오름세
- 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1톤 정도 증가하였으나 주초 평균에 비해 감소한 수준으로 오름세를 나타냄. 상품은 체장이 커 상승폭이 컸으나 중고등어는 물량증가로 내림세에 거래
- 갈치는 제주지역 연승조업 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중․하품이 강세에 거래. 다만 상품은 일본산에 비해 상품성이 저조하여 내림세
- 삼치는 충무, 부산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고등어 공급량 부족에 따른 대체수요가 꾸준하고 선도도 양호하여 오름세를 나타냄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토요일대비 2톤 증가하였으나 외식업체 주초 구매력활발로 강보합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병어, 참숭어, 감숭어 하락세
- 병어는 부산 및 목포산 반입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
- 참숭어와 감숭어는 여수, 서산, 충무산 반입량이 증가하고 소형어 비중이 늘어나면서 내림세

◈ 조개류 103.28전일대비 +0.39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 모시조개, 키조개,동죽과 해락 오름세
- 굴은 7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통영(충무), 사천산으로 주초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증가로 강세. 등급간 가격차이도 컸고 상품의 오름폭이 컸음.
- 바지락은 6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겉망바지락은서산산이 소량 출하되었으나 상품성이 좋아 높은 가격을 형성, 수입산도 반입량 감소로 강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주거래는 수입품이었고 주초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량 증가로 오름세
- 모시조개는 목포, 군산산과 중국 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등급, 산지에 따른 가격 차이가 컸고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거래는 한산하나 소량 반입으로 가격은 오름세
- 키조개는 상등품 만 반입되어 강세를 지속하였으나 요식업소 외에 일반 소비는 한산
- 동죽과 해락은 주초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새꼬막,홍합,대합은 약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15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4톤 증가. 가정수요 보다는 급식및 요식업소의 소비가 많은 대포장 가격은 강세에 거래되었으나
소포장은 상품성 저하와 매기부진으로 약세에 거래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6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반입량이 적고 상품성이 낮은 소포장품은 내림세, 대포장품은 가격이 소폭의 오름세였고 고정 수요처의 소비는 꾸준함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였고 수요처 한정으로 매기는 부진

◈ 연체류 86.53 전일대비 -2.84
《 강세 요인 》

수입낙지, 미더덕,오만둥이,우렁쉥이 강세
- 수입낙지는 5톤 반입되어 주말대비2톤 감소. 반입량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재고량 누적으로 당일 반입품을 중심으로 소폭 오름세였으나 가격은 평년대비 낮고
상품성이 좋아
거래량은 증가
- 미더덕은 마산,여수산 생물이 반입되어 주말 낮은 가격에서 오름세로 반전되었고 상품성이 좋은 편이나 수요처 한정으로 일반 거래는 한산
- 오만둥이는 냉동물 반입에도 재고물량 소진으로 오름세
- 우렁쉥이는 씨알이 굵고 선도는 좋은 편이나 반입 감소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주꾸미,문어 약세
- 생물오징어는 11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울진,영덕,부산산이 주반입되었음. 어획 부진으로 체낙기 물량은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나, 반입비중이 많은 그물 어획품은 반입 증가와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4톤 감소. 국내산은 수입산 반입이 증가하여 가격이 낮게 형성되자 가격은 내림세였고,
수입산도 재고량 누적으로 약세였으나 거래량은 증가
- 문어는 어획부진으로 반입이 없었고 상품성도 낮아 거래는 없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