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4.30(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4.30(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4.04 전일대비 1.4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채소류와 버섯류 주초 소비수요 증가로 매수세 증가
- 충청서산, 예산, 부여에서 하우스 햇배추 출하 증가. 시금치, 적상추, 미나리 납품업체 주문 증가
- 무, 깐마늘, 깐쪽파, 느타리, 새송이버섯은 월요일 특수로 매기활발해 오름세 주도
《 약세 요인 》
○ 서양채소류, 열매채소류 출하량 증가와 고단가로 인한 소비부진 영향에 약세 거래
- 브로코리, 신선초, 케일, 비타민 등 이틀 작업분 출하로 시세 하락 주도
- 오이, 애호박은 주말 재고분 증가, 금일 반입량 증가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5.38 전일대비 -1.04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24톤 반입. 주말 이틀분 작업 출하로 반입량 증가
- 밤고구마는 여주산 12톤, 호박고구마 여주 4톤, 당진 4톤, 서산 1톤 등 반입
- 주말 재고 소진으로 주초 물량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여주산 밤고구마 최고 26,000원, 당진산 호박고구마 최고 40,000원 거래
- 상품 평균 25,602원으로 전일대비 22%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45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4% 증가. 전북 김제 출하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김제 58%, 남원 7%, 부안 6%, 평창 6%, 춘천 2% 차지
- 월초 유통업체 세일 행사 겨냥한 산지 출하량 증대. 김제산 2,000-24,500원 거래
- 남원산 7,000-22,000원, 부안산 2,000-23,000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21,059원에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민간업체 수입 감자(미국산) 18톤 출하. 20kg 12,000-16,000원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8.91 전일대비 2.74
◇ 시금치 - 오름세
- 전자경매 기준 금일 9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반입량 감소.
- 주 출하지역은 경기 포천 41%, 남양주 38%, 포항 2% 등지임.
- 경기 인근지역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주초 납품업체 수요 증가
- 단 시금치(400g단,상)는 전일대비 21% 시세 상승한 500원,
- 단 시금치(500g단,상)은 44% 시세 상승한 567원에 거래됨.
◇배추- 내림세
- 지난 주말의 가격 약세에도 불구하고 주초장을 맞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804톤으로 전일대비 95.5% 증가하였으며 차량대수로는 100여대가 넘는 물량이
출하됨
- 출하지는 해남 48%, 예산 24%, 나주 6%, 서산 6%에서 출하되어 봄배추 출하비중이 30%를 넘어섬
- 주초장으로 평일보다 소비량이 많았음에도 반입량이 워낙 많아 가격은 내림세
- 저장배추는 최고가 4,500원, 최저가 1,100원 평균가격 2,670원이었고 봄배추는 최고가 2,200원,
최처가 1,150원 평균가격 1,900원선이었음
- 전일에 비해 등급별로 100~500원 가량 하락하였으며 저가품보다는 고가품의 내림 폭이 컷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2.21 전일대비 0.87
◇오이- 내림세
- 지난주 월요일보다는 적었으나 주초 물량으로는 다소 많은 양이 출하됨.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674톤으로 지난 주말 대비 84% 증가함.
- 품종별로는 백다다기 513톤, 취청 141톤이 출하됨. 백다다기는 65.8% 증가하고 취청은 204%
증가함
- 백다다기는 천안 25%, 상주 12%, 고흥 8%에서 취청은 구례 39%, 순천 23%, 강진 11%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100개) 상품 26,914원, 보통 23,87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9%, 3% 하락함
- 취청(20kg상자)은 상품 24,402원, 보통 19,61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2%, 6.6% 상승함
- 백다다기는 천안지역이 취청은 강진지역의 가격이 비교적 높게 형성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6.72 전일대비 3.13
◇무- 내림세
- 주초장임에도 반입량이 크게 감소함
- 금일 반입량은 405톤으로 전일대비 18.7% 감소함
- 제주지역의 노지 출하가 끝물로 작업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나 저장물량이 원활이 연계되지
못했음
- 금일 저장물량을 12대(5톤), 봄무는 1대가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6,443원, 보통 5,11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4.7%, 5.4% 상승함
- 물량 부족으로 전반적으로 오름세인 가운데 고가품이 저가품보다 오름 폭이 크게 나타남.
- 저장물량 출하가 늘면서 상품성 차이로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해 최고가(7,800원)가
최저가(1,800)원의 4.3배에 달했음
- 한편, 봄무는 5,200원에 거래되어 중품 시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4.33 전일대비 3.44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94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증가. 제주산 및 무안산 출하량 증가
- 제주 50%, 무안 42%, 신안 3%, 장흥 2%, 정선 2% 등 반입
- 제주산 kg당 107-396원, 무안산 111-392원, 신안 170-300원 거래.
- 하우스 조생양파 상품성 떨어진 중하품 출하량 증가. 특상품은 위주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92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보합세
- 금일 25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 감소.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
- 경기 고양산 22%, 전남 영광 20%, 진도 20%, 신안 10% 등 반입
- 영광산 상품성 우수로 최고 620원, 경기지역 상품성 떨어져 고양산 460원에 거래
- 상품 평균 468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2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감소. 중부지방 흙쪽파 출하 증가
- 흙쪽파는 예산 7톤, 아산 4톤, 포천 1톤 등 반입. 주초 판매부진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1,350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깐쪽파는 서천 4톤, 당진 3톤, 예산 1톤, 서산 1톤 등 반입
- 납품업체 주문 증가, 유통업체 세일행사 대비 물량 확보로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25,773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4.34 전일대비 -11.63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26톤, 파프리카는 18톤 반입
- 주초 수요 증가로 청피망 재고 소진에 따른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 파프리카는 빨강색이 진주와 화순지역 출하 증가로 반입량 많아 구매력 저하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3% 시세 상승한 23,992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한 24,968원에 거래.
◇ 양상추 - 보합세, 브로코리 - 내림세
- 양상추는 전일보다 21% 증가한 79톤 반입. 주초 수요 증가로 거래 활발
- 주출하지는 광양, 하동, 의령, 경기광주 등임, 광양산 2,500-6,000원,
- 하동산 3,000-9,000원, 경기 광주산 1,500-7,500원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9,000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기준 금일 11톤 반입. 제주산 5톤, 하동산 1톤, 중국산 5톤 반입
- 제주산은 5,000-29,000원, 하동산은 22,000-29,000원, 중국산은 8,500-10,000원
- 경남 하동, 경기 이천지역에서 햇품 출하량 증가. 주초 소비부진으로
- 금일 상품 평균 12,500원으로 전일대비 55% 시세 하락한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86.35 전일대비 4.57
◇ 버섯류 - 강보합세
- 기온이 상승하면서 생산량이 증가했고, 주초가 되면서 반입량도 증가해 전일대비 8% 증가한 205톤 반입
- 때 이른 더위로 생육조건이 좋아지면서, 버섯 출하량은 증가
- 더운 날씨로 인해 상품성이 좋지 않은 버섯의 출하도 늘어남
- 중도매인의 재고물량이 소진되었고 주초 소비수요 증가
- 금일 반입량이 증가하지 않은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오름세 뚜렷함
◇ 새송이 - 상승세
- 새송이의 현지 수확이 꾸준해, 전주와 비슷한 62톤이 반입
- 경북 김천이 22.2%, 천안 17.4%, 경북 상주 9.1%에서 출하되는 등 경북과 충남지역의 출하량이 많았음
- 내일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직장의 휴무가 많아 외식수요가 높아져 육류업체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육류소비와 더불어 새송이의 소비수요도 높아져 가격 오름세 형성
- 새송이 상품 2kg 평균가 6,128원으로 전일대비 15% 가격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3.16 전일대비 -0.33
《 강세 요인 》
○ 익일 근로자의 날 연휴로 외식업체 주문량 증가
- 주꾸미, 봉지바지락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온현상 지속에 따른 수산물 소비 둔화와 수입물량 상품성 저조
- 일본산 생태, 중국산 낙지 선도 저하로 약보합세
- 홍합, 새꼬막 반입량 증가와 고온현상으로 소비수요 감소
◈ 생선류
가격지수 : 79.92 전일대비 +1.07
《 강세 요인 》
○ 갈치, 삼치, 아귀, 가자미 오름세
- 갈치는 제주 연승조업 활발과 일본산 수입량이 늘어 반입물량이 3톤 증가하였으나 주말 재고 소진 원활과 익일 근로자의 날 연휴를 맞아 외식업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오름세
- 일본산 냉장갈치는 대형어 비중이 높고 선도가 양호하여 상승세
- 삼치는 충무, 부산산이 체장이 커 상품이 오름세를 보였고, 주초 식자재 업체 주문량 증가로 냉동삼치도 상승세에 거래
- 아귀, 가자미는 선도가 양호한 물량이 출하되어 오름세를 형성
《 약세 요인 》
○ 고등어, 부세, 참숭어 하락세
- 고등어는 어군 형성 회복이 더디어 반입량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일본산 수입물량이 꾸준히 반입되고 대형어가 반입되지 않아 내림세
- 부세는 중국산 반입량이 줄어들었어나 타 어류 반입 증가와 체장이 작아 하락세
- 참숭어는 군산, 여수, 서산산 반입량이 늘어났고 대체제인 감숭어 시세도 하락하여 약세를 나타냄
◈ 조개류 86.98 전일대비 -1.52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동죽,해락 강세
- 굴은 6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감소. 통영(충무), 사천산으로 주초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패독 발생지역의 반입품은 없었음
- 바지락은 8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감소. 겉망바지락은 남해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가격이 낮았고 수입산도 상품성 하락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1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증가. 반입량이 감소한 소포장품은 상품성이 다소 낮아 약세에 거래되었고 대포장은 고정 수요처의 수요 증가로 강세 형성
- 동죽과 해락은 반입량 감소로 강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홍합, 모시조개, 키조개 약세
- 홍합은 12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15kg 소포장품의 반입은 없었고 30kg들이 상품 다듬이 물량 만 반입되었으나 수요 감소로 내림세
- 모시조개는 목포, 서산산과 중국 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흑모시는 높은 가격을 유지하나 백모시와 유사품종은 가격이 낮게 형성, 상품성과 선도가 좋은 국내산은 소포장으로 반입하는 량이 증가
- 장흥산 키조개는 반입은 꾸준하나 매기부진으로 씨알이 큰 상품만 반입되고 있으나 가격은 약세 지속
◈ 연체류 84.96 전일대비 -2.45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주꾸미,미더덕,오만둥이 오름세
- 생물오징어는 10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증가. 제주산은 체낙기 물량의 반입이 늘면서 상품성이 좋아 가격도 높게 형성되었고 선호도도 높았음, 부산산은 대부분이 체장과 선도가 낮은 트롤 어획품으로 가격 형성은 낮았으나 주말대비 오름세
- 주꾸미는 5톤 반입되어 주말과 같음. 국내산은 반입량이 소량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고, 수입산도 주초 고정수요처의 물량 구매량 증가로 오름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으로 반입량 감소에 따른 고정수요처의 수요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문어 내림세
- 수입낙지는 9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5톤 감소. 주말 재고량 누적으로 당일 반입량 감소에도 거래 가격은 내림세에 거래, 상품성에 비해 가격이 낮았으나 거래량은 증가
- 문어는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포항, 부산산 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어 내림세, 수요처 한정으로 일반 가정 수요는 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