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26(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26(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0.36 전일대비 1.8
《강세 요인》
○ 주초를 맞아 유통업체, 급식업체 등 대량 수요처 위주로 소비 활발
- 가격 강세에도 저장물량 출하가 지연된 배추가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지속
- 햇김치 소비 증가로 양념채소류 오름세
《약세 요인》
○ 주초로 이틀치 물량인데다 기상호조로 산지 작업량 증가
- 고단가로 소비가 주춤한 감자, 고구마 내림세
- 맑은 날씨로 일조량이 좋아 열매채소류, 버섯류의 생육 호조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3.8 전일대비 -5.06
◇ 고구마- 약보합세
- 금일 4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감소. 지난주말 거래부진 재고 증가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24톤, 화성 6톤, 논산 5톤 등 반입
- 지난 주말 출하량 증가와 우천영향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늘면서 매수세 약화
- 호박고구마는 8톤 반입. 익산 3톤, 태안 2톤, 여주 2톤 등 반입
-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감모율 증가로 상품성 떨어져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21,250원으로 전일대비 3% 상승한 약보합세 거래
◇ 감자- 내림세
- 금일 28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증가. 강원 수미종과 제주 대지종 출하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49% 증가한 169톤 반입. 평창 57톤, 남원 23톤, 인제 17톤 등
- 지난 주 토요일 전국적 강수로 거래부진. 재고량 증가. 하우스 햇감자가 특상품 시세
- 상승을 주도하는 가운데 강원지역 저장 감자와 가격 차별 심화
- 상품 평균 22,500원으로 전일대비 23%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10톤 반입(전일대비 50% 감소)
- 지난 주말 우천영향으로 산지 작업 부진. 출하량 급감하면서 주초 재고 소진
- 중하품 위주 거래 활발. 중품 14,250원으로 전일대비 18%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3.66 전일대비 7.15
◇배추 - 오름세
-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저조해 오름세
- 노지가 끝물로 작업량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저장품이 원활이 연계되지 못해 반입량 저조
- 금일 반입량은 43대로 지난 토요일 대비 1대가 감소하였음
- 가격은 최고가 4,500원이었으며 상품 4,000원, 보통 3,0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2.1%,
31.1% 상승함
◇ 상추 - 내림세
- 따뜻한 날씨로 반입량 증가 추세이며, 외식 수요 증가로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음.
- 금일은 주초 수요 부진으로 내림세를 보였음.
- 반입량은 107톤(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10.6%가량 감소 하였으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90톤, 청상추 11톤, 적상추 4톤 가량임.
- 적포기(4kg,상)는 전일보다 8.6% 하락한 8,000원, 적포기는 6.7% 하락한 7,000원,
-청상추는 10.5% 상승한 10,500원에 거래됨.
◇ 시금치 - 내림세
- 남부지방의 물량은 감소하고 있으며, 경기 일원의 근교산 시금치가 주종을 이루고 있음
- 주초를 맞아 유통업체, 급식업체 등 대량 수요처 위주로 소비가 활발하여 오름세를 보임.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105톤이며, 상자시금치 23톤, 단시금치 53톤, 육지초가 7톤, 포항초 22톤임.
- 상자시금치(4kg,상) 21% 상승한 5,700원, 단 시금치(400g단,상)는 7.1% 하락한 52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6.54 전일대비 -1.65
◇오이 - 내림세
- 주초를 이틀치 물량인데다 일요일 비가 그치고 작업여건이 호전되면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 전자경매 기준 539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에 비해 200톤 가량 증가함
- 품종별로는 백다다기 359톤, 취청 180톤이 반입되어 백다다기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 주초로 소비량이 증가하였으나 늘어난 물량을 따라잡지 못해 내림세
-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27,500원으로 5.2% 하락하였고 취청은 20kg상자 31,000원으로
8.8%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7.97 전일대비 -0.61
◇무 - 보합세
-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지난 주말에 비해 크게 증가함
- 물량 증가에도 재고가 소진되어 보합세
- 전자경매 기준 금일 거래량은 587톤이었으며 서귀포 79%, 제주시 9%, 고창 5%에서 출하됨
- 월동무 출하가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제주지역 출하집중도가 높아지는 추세임
- 가격은 18kg그물망 기준 상품 4,900원으로 2% 하락하였으나 하품 2,550원으로 2%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8.78 전일대비 5.01
◇ 생고추 - 강보합세
- 겨울철 기온이 높아 전남 지역의 출하가 지속되고 있으며,
-지난해 청양계고추 가격이 높아 밀양등지에서 재배면적이 증가한것으로 전망되어 반입량 증가추세임.
- 금일은 주초를 맞아 유통업체, 급식업체 등 대량 수요처 위주로 소비가 활발하여 강보합를 보임.
- 반입량은 전일보다 18% 증가한 164톤(전자경매기준)이며,
- 품종별로는 청양고추 53톤, 일반풋고추 64톤, 꽈리고추 24톤, 홍고추 10톤 가량임.
- 청양고추(10kg,상)는 전일대비 1.1% 상승한 45,000원,
-꽈리고추(4kg,상)는 4% 떨어진 23,700원에 거래되었음.
◇ 양파 - 오름세
- 전일대비 2% 증가한 474톤 반입. 산지 저장양파 출하량 소진. 주초 매수세 증가
- 전남 무안 225톤, 함평 45톤, 신안 35톤, 완주 31톤, 군위 22톤 등 반입
- 조생양파는 제주산 18톤 출하. 상품성 떨어져 1kg 75-411원에 거래
- 금일 상품 평균 772원으로 20% 시세 상승한 오름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19톤 반입, 중국산 16kg 6,200-10,000원 거래
◇ 대파 - 내림세
- 전일대비 28% 증가한 296톤 반입. 주말 재고 늘어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전남 진도산 206톤, 신안산 97톤, 영광 5톤, 김해 2톤 등 반입
- 우천으로 출하 지연된 작업물량 출하로 반입량 증가
- 상품 평균 450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쪽파 - 오름세
- 금일 42톤 반입(전일대비 12% 감소). 반입량 감소. 주초 거래 활발
- 흙쪽파는 예산 6톤, 당진 2톤, 서천 1톤 반입.
- 주말 재고 소진. 금일 반입량 감소로 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상품 평균 900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깐쪽파는 제주 21톤, 당진 5톤, 보령 1톤 반입
- 제주산 5,000-23,000원, 당진산 2,000-14,000원. 제주산 주말 재고 소진
- 상품 평균 16,500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9.55 전일대비 2.48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따뜻한 날씨로 작물 생육이 좋아져, 지난 주말부터 반입량이 증가추세임..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진도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1% 감소한 36톤, 파프리카는 25% 증가한 17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1,000원 하락한 47,500원,
-홍피망은54,000원에 거래되었으나,전주에 비해서는 10,000원 가량 하락한 수준임.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500원 떨어진 23,000원, 오렌지파프리카는 1,500원 오른 31,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3% 감소한 58톤이 반입되었으며, 수요는 많지 않아 보합세를 보임.
- 8kg 상품 기준으로 평균 7,500원에 거래되었고,
- 브로코리는 국내산 물량이 적어, 고급품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음.
- 대부분 서양채소류가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브로코리는 7.1% 상승하여 22,500원,
-셀러리가 20% 상승하여 7,500원, 케일은 24% 상승하여 7,5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5.93 전일대비 -4.67
◇버섯 - 내림세
- 주초를 맞아 이틀치 물량이 출하된데다 주말 기상여건이 회복되면서 생육이 활발해 반입량 증가
- 반면, 지난 주말 비로 나들이 인파가 감소하여 재고누적으로 다량 구매처인 요식업소 등의
주초 수요가 적어 내림세
- 품목별로는 양송이, 생표고 등은 내림세였으나 느타리, 팽이는 강보합세, 새송이는 보합
2. 수산물
가격지수 : 96.82전일대비 +1.16
《 강세 요인 》
○ 봄나들이 행락객 증가로 소비 양호
- 물오징어, 굴 식자재 업체 재고량 감소로 수요증가
- 수입바지락, 수입쭈꾸미 반입량 감소 오름세
《 약세 요인 》
○ 산지 조업 활발로 반입물량 증가
- 고등어, 갈치 반입물량 증가로 중,소형어 내림세
- 수입낙지, 수입생태 저장시간이 길어지면서 선도부진
◈ 생선류
가격지수 : 81.79 전일대비 +1.71
《 강세 요인 》
○ 일본산 갈치, 삼치 강보합세
- 일본산 갈치는 망 갈치 비중이 높은 가운데 최근 반입량 부진 여파로 중도매인 매수심리가 강해 강세를 나타냄.
- 삼치는 부산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제철 수요증가에 따른 재고량 감소로 식자재 업체 주문량이 늘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국내산 갈치 중소형어 하락세
- 고등어는 2일간 조업 물량 거래로 반입량이 10톤이상 증가하면서 중,소형어가 하락세를 나타냄. 다만, 대형어는 상품성 양호와 수요에 비해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갈치는 제주산 연승조업 물량이 소량 거래되었으나 일본산 망갈치 및 채낚기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하지만 상품은 체장과 선도 양호로 오름세
◈ 조개류
가격지수 : 115.28 전일대비 +6.93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류 오름세
- 굴은 충무 및 고흥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주말 소비량 증가로 외식업체 구매량이 늘어나면서 오름세
- 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와 주초 식자재 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강세형성
《 약세 요인 》
○ 홍합 약보합세
- 홍합은 15kg그물망 여수산은 선도 양호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30kg망 마산산은 반입량증가와 기온상승에 따른 재고관리 어려움으로 하락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5.60 전일대비 -1.10
《 강세 요인 》
○ 물오징어 강세
- 물오징어는 남해, 후포, 부산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냉동오징어 반입 감소와 남해,후포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국내산 쭈꾸미 내림세
- 수입낙지는 중국산 상품성 저조와 봄철 쭈꾸미 수요증가로 식자재 업체 주문량이 평소 주초보다 감소하여 하락세
- 쭈꾸미는 주말 산지 소비량 증가로 반입량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중국산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져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