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3.30(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3.30(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3-30 04:42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농산물

가격지수 : 93.83 전일대비 -4.98
《약세 요인》
○ 날씨가 좋지 않아 소비 부진 및 재고 증가함
- 흐린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 소비 활동 부진으로 대부분 하락세 거래
- 양파는 제주산 출하가 본격화되면서 반입량 증가로 약세
《강세 요인》
○ 서류 반입량 감소와
외식업체 수요 증가

- 저장 감자(수미)의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요식업체의 중품위주 수요 증가로 상승
- 맑은 날씨 회복에 대한 기대 수요 증대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1.15 전일대비 2.43
◇ 고구마 - 약보합세
- 금일 45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5% 증가. 여주산 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 밤고구마는 경기 여주 19톤, 논산 4톤, 당진 2톤, 영주 1톤 등 반입
- 호박고구마는 9톤 반입. 영주 3톤, 논산 2톤, 김제 2톤, 당진 1톤 등 반입
- 반입량 증가, 호박고구마 상품성 저하, 우천영향 거래부진으로
- 상품 평균 20,250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감자 - 오름세
- 금일 260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증가. 제주산 대지종 감자 출하 증가
- 수미종 감자는 전일대비 34% 감소한 147톤 반입. 평창 34톤, 남원 30톤, 밀양 22톤 등
- 전국적 우천으로 산지 작업 부진. 강원지역 및 남부지방 출하량 감소. 주말 재고확보를
- 위한 매수세 증가. 중품 평균 13,250원으로 전일대비 26%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제주산 대지종 감자는 금일 102톤 반입. 전일 시세 상승 영향으로 출하량 증가
- 산지 출하 마무리로 상품성이 떨어져 중하품은 약보합세이고
- 특품은 평균 26,500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3.81 전일대비 -9.78
◇배추 - 내림세
-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음에도 저장배추가 주 출하되어 반입량은 소폭 감소에 그쳤음
- 금일 반입량은 486톤으로 전일대비 8.3% 감소하였으며 해남 82%, 무안 11%, 진도 5%에서 출하됨
- 물량감소에도 주초부터 반입량이 많아 재고가 남아있었던 데다 하루 종일 비가 소비량도 적어


내림세를 이어감
- 최고가는 3,800원이었고 상품 3,000원, 보통 2,000원으로 전일대비 9.1%, 10.1% 하락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8.74 전일대비 -5.17
◇오이 - 내림세
- 주말을 앞두고 격일제로 작업하는 보성, 순천 등지에서 취청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321톤이었으며 백다다기 212톤, 취청 107톤이 반입됨.
- 백다다기는 5.3% 증가에 그친 반면 취청은 127% 증가함
- 백다다기는 상주 19%, 부여 18%, 고흥 14%에서 출하되어 겨울철 반입량이 많았던 상주, 고흥의


물량이 급감하고 부여, 천안 등 충청지역의 물량이 증가함
- 취청은 구례 25%, 보성 18%, 순천 17%에서 출하됨
-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100개)는 32,000원으로 보합세였고 취청(20kg상자) 25,500원으로 13.6%


하락함
- 백다다기는 공주, 천안지역이 상품성이 좋은 물량이 출하되어 높게 거래되었고 부여지역이 낮게


거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2.71 전일대비 -1
◇무 - 내림세
-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음에도 출하지가 제주지역으로 전일 작업된 물량이 출하되어 반입량은 오히려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521톤으로 전일대비 5.7% 증가하였으며 제주산이 90% 이상 출하되어 육지산의 출하


비중은 갈수록 감소하고 있음.
- 물량 증가한데다 지난 이틀간 가격이 올라 소비가 적어 가격은 내림세로 돌아섬.
- 또한 노지 작업이 후반기로 노화현상이 나타나면서 상품성도 하락하였음.
- 육지산은 1,300~1,700원으로 최저가에 거래되었고, 제주산은 3,300~6,200원으로 최고가는 변동이


없었으나 평균가격은 전일대비 200~300원 가량 하락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81.21 전일대비 -9.67
◇ 양파 - 내림세
- 금일 569톤 반입. 전남 무안 저장양파, 제주 조생양파 출하량 증가
- 무안 155톤, 함평 34톤, 완주 33톤, 신안 33톤, 군위 31톤,
- 제주산 182톤 반입. 제주산은 쌍구가 많아 상품성 저하로 1kg 192-690원 거래
- 무안에서도 조생양파 5톤 출하. 상품성이 저장양파보다 떨어져 1kg 301-652원 거래
- 금일 중품 평균 681원으로 13% 시세 하락한 내림세 거래
- 수입양파는 중국산 24톤 반입, 중국산 16kg 6,000-13,350원 거래. 상품성 차이 심화
◇ 대파 - 내림세
- 전일대비 3% 증가한 264톤 반입. 우천으로 작업 지연된 물량 출하 증가
- 전남 진도산 151톤, 신안산 107톤, 영광 8톤 등 반입
- 신안지역 출하량 증가, 우천영향 거래부진으로 재고 증가
- 상품 평균 490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쪽파 - 내림세
- 금일 43톤 반입(전일대비 13% 증가). 일기불순으로 출하 지연된 물량반입 증가
- 흙쪽파는 예산 7톤, 당진 1톤, 아산 1톤 반입. 상품성이 떨어져 거래부진
- 상품 평균 750원으로 전일대비 25%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깐쪽파는 제주 17톤, 당진 5톤, 서천 2톤, 예산 1톤, 보령 1톤 등 반입
- 제주산이 50% 차지한 가운데 육지산 출하량 증가 추세. 전일 재고 증가로
- 상품 평균 15,000원으로 전일대비 14%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5.28 전일대비 -6.26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흐린 날씨가 계속되어 소비가 부진하여 내림세가 지속됨.
- 주출하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광주, 충남 예산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피망은 전일보다 17.7% 감소한 24톤, 파프리카는 7.8% 증가한 13톤 반입됨.
- 청피망(10kg,상)은 전일보다 4,500원 하락한 34,000원, 홍피망은 4,000원 오른 63,500원,
- 빨강파프리카(5kg,상)는 보합세로 22,000원, 노랑파프리카는 1,000원 떨어진 23,000원에 거래됨.
◇ 양상추 - 보합세
- 반입량 소폭 감소한 가운데, 소비에는 큰 변동이 없어 보합세를 보임.
- 8kg 상품 기준으로 평균 10,500원에 거래되었고, 서양채소류 대부분은 보합세를 나타냄.
- 브로코리는 21,500원, 셀러리 10,500원, 케일은 6,600원, 파세리 8,500원선에서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63.95 전일대비 -8.22

◇버섯류 - 내림세
- 주중 흐리고 비 오는 날이 많아 생육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여 주말을 앞두고도 반입량이 감소함.
- 금일 버섯류 전체 반입량은 183톤으로 전일대비 2.9% 감소하였으며 새송이, 생표고, 팽이 등은


감소하고면 느타리, 양송이는 소폭 증가함
- 가격은 거의 모든 품목이 내림세
- 생육부진으로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하락한데다 기상여건이 좋지 않아 나들이 인파 감소로 소비도


부진했음.
- 상품기준 느타리(2kg상자) 6,500원으로 3.7%, 생표고(4kg상자) 21,000원으로 6.7%,


새송이(2kg상자)

5,000원으로 4.8% 하락함

2. 수산물
가격지수 : 95.10전일대비 -2.41
《 강세 요인 》
○ 주말대비 소비 수요 증가 기대
- 외식업체 주문량 증가한 수입바지락, 생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전일 우천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시장내 재고 누적
- 고등어, 갈치 수입 및 냉동물량 증가와 재고량 충분으로 하락세
- 수입주꾸미, 물오징어 선도 부진으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7.82 전일대비 -2.15
《 강세 요인 》
○ 생태, 아귀 강보합세
- 주말 수요가 많은 아귀는 제주지역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 늘어났으나 선도가 양호하여 강보합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냉동삼치 내림세
- 고등어는 우천에 따른 판매부진 기대로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며 대형어를 제외하고는 수요 감소폭이 크게 나타나며 하락세를 나타냄
- 갈치는 제주산이 대형마트 직거래 물량 증가로 시장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일본 및 중국산 반입 물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
- 냉동삼치는 주말을 앞두고 단체 급식 수요가 감소하였고 생물 반입 꾸준으로 가정용 소비도 부진하여 약세


◈ 조개류 101.56 전일대비 -5.49
《 강세 요인 》
○ 바지락과 모시조개 오름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았고 중국 및 북한 수입산만 거래되었음. 망바지락은 등급간 가격 차이가 컸고
반입비중이 높은 봉지 바지락은 주말 수요 증가로 소폭의 오름세
- 모시조개는 포항, 고흥, 인천산과
중국수입산이 반입되었으나 소량으로 주소비처는 해물 전문 요식업소로 한정되어 일반 가정 수요는 한산
《 약세 요인 》
○ 주말을 맞아 급식 납품 수요 감소로 약세
- 굴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통영, 남해, 고흥산이 주반입되었고 당일 반입품 중심으로 수요는 꾸준하나 재고물량은 매기부진으로 약세
- 홍합은 마산, 여수산이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 산지 출하조절로 가격 변동은 크지 않으나 주소비처인 요식업소의 물량 구매 감소로 재고량 증가로 약세
- 새꼬막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기온상승으로 씨알이 굵어져 상품성과 선도는 좋으나 주말을 맞아 급식 납품 수요 감소로 약세
- 키조개는 반입량은 증가하나 씨알이 작거나 폐사량의 증가로 매기부진하여 약세
- 대합은 국내산이 소량 반입되나 중국 수입산 반입 증가로 약세

◈ 연체류 101.78
전일대비 -6.58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주꾸미, 문어 오름세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반입량 감소로 전문 요식업소 및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 물량 확보로 강세
- 주꾸미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제철을 맞은 국내산은 서천,군산산이 소량 반입되어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으나 냉장품 보다는 산 주꾸미의 선호도가 높아 고가에도 거래 활발, 수입산은
반입은 꾸준하나 대형유통업체와 소매업자 및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울진산으로 소문어 임에도 주말 수요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우렁쉥이(멍게), 오만둥이 내림세
- 생물오징어는 9톤 반입되었으나 산지 기상 악화와 조업 부진으로 선도가 낮은 그물 오징어의 반입이 증가하여 내림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 추세, 선도와 상품성은 양호하나 반입량 증가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 미더덕은 생물, 오만둥이는 냉동물량 반입이 증가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재고물량이 증가
하여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