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2.1(수)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2.1(수) 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2-01 13:23

1. 농산물

가격지수 : 113.89 전일대비 6.83
동 향 : 설 명절 연휴후 첫 거래로 우천등으로 인해 산지 출하작업이 아직 정상화 되지 않은 가운데 품목별로 반입량에 차이를 보이였지만 전반적으로 휴장전 마지막 거래에 비해서 오른 품목이 많아 전체적인 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음, 품목별로 오이나 애호박등 출하시기 조절이 어려운 품목들을 중심으로 반입량은 증가하면서 하락세 거래되었고, 출하조절이 쉬운 고추류와 대파 양파등은 물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80.89 전일대비 14.55
동 향 : 감자는 산지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금일 반입량은 대지종과 수미종 각각 20여톤 반입되었으며 대지종은 상승하였고 수미종은 보합세 거래되었음. 수미종은 평창, 당진, 정선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경락가격은 11,000-1,500원까지 거래됨. 대지종 경락가격은 20,000-4,000원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1.93 전일대비 8.07
동 향 : 배추는 설 연휴가 끝난 뒤 첫 거래가 시작되었으나 반입량이 저조하여 정상적인 거래 성립되지 못함. 막바지 귀경인파로 고속도로 사정이 여의치 못한데다 주산지인 남부지방에 비가오고 연휴 뒤라 쉬는 농가가 많아 출하작업도 부진하였음. 저장 물량 위주로 작업되었으며 반입량은 설 연휴 이전의 절반 수준인 363톤이었음. 지역별로는 해남산이 70% 점유하여 출하량이 가장 많았고 고창 지역이 2대 반입되었으나 냉해 피해로 상품성이 낮아 최저가에 거래됨. 가격은 등급별로 등락있었으나 설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음. 10kg 마대 기준 상품 5,925원, 하품 2,700원이었음. 금일부터 출하량이 늘어 정상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1.07 전일대비 -6.12
동 향 : 오이는 연휴동안 출하되지 못한 물량이 일시에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크게 늘어남. 금일 반입량은 406톤으로 설 연휴 이전보다 2배 이상 물량이 증가함. 품종별로는 백다다기, 취청이 각각 50% 정도로 최근 취청의 가격 강세 영향으로 취청 반입량이 증가함. 지역별로는 백다다기는 상주 56%, 고흥 34%, 취청은 구례 27%, 순천 21%, 보성 19%으로 설 이전과 변화가 없었음. 물량 증가로 가격은 등급별로 30~50% 정도 내려 가격 변동이 컷음. 상품 기준 백다다기 100개 39,500원, 취청 37,500원이었음.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7.02 전일대비 -8.41
동 향 : 무는 설 연휴 뒤 제주지역 물량이 평일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여 전체 출하량도 크게 감소함. 전일 제주 지역에 비가 내린데다 연휴 뒤여서 쉬는 농가가 많았음. 금일 반입량은 294톤이었으며 남제주 36.7%, 북제주 24.4%, 고창 16.3% 순이었음. 물량 감소에도 중도매인 참여가 저조하고 설 이전 재고가 일부 있어 가격은 보합세에 거래됨. 가격은 제주산은 최고 9,700원 주 거래가격 7,000~8,000원이었음 육지산은 최고 6,600원 주 거래가격 5,000~5,700원 선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8.46 전일대비 19.95
동 향 : 양파는 430톤으로 비교적 적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명절전 대비 강보합세 거래됨. 대파도 144톤 반입되어 반입량이 적었으며 지역별 경락가격은 진도 2,130-1,480원, 신안 2,200-1,620원으로 명절전대비 오름세 거래됨. 풋고추와 청양고추도 산지 작업 부진으로 반입량이 각각 34톤이었으며 풋고추 10kg상자 상품이 84,000원, 청양고추는 85,000원으로 고가 형성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3.55 전일대비 9.12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65.94 전일대비 -6.87
동 향 : 설 휴장 이후 산지 대기 물량 출하 증가로 금일 반입량은 200톤으로 전일대비 138%수준으로 증가하였음. 그러나 설 이후, 느타리 버섯 등의 매기가 감소하면서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63톤이 반입되어 물량이 여전히 많은 편이며 매기 감소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2kg 상품이 7,250원에 거래되어 전일보다 1,500원 하락함. 양송이는 반입량 증가로 소폭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며 새송이는 물량은 전일과 비슷하나 주초 매기가 부진해 약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산지 대기 물량이 대량 출하되면서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소비지 수요가 부진해 약세 형성. 4kg 상품이 21,500원에 거래됨. 팽이는 상품성이 우수한 특상품 중심의 오름세를 형성하였으며 주초 유통업체 등의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로 물량은 전일대비 131%수준으로 증가한 47톤이 반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