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8.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8.2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0.25 전일대비 3.8
동 향 : 농산물은 우천으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였고 주말 휴장으로 인한 물량 공백으로 주초 수요가 몰리면서 전반적으로 오름세 거래되었음. 주초 납품 업체 및 급식 업체, 지방시장등의 주문이 집중되면서 뿌리채소류, 양념채소류, 서양채소류 등을 중심으로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생육여건의 호조로 반입량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열매채소류는 하락세 거래되었음. 품목별로는 얼갈이 배추 중 알백이의 오름세가 두드러졌으며, 대파도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반면 미나리, 단 열무등 근교에서 주로 출하되면서 강세를 보였던 품목들은 물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되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9.29 전일대비 3.63
동 향 : 감자는 지난주초 보다 소폭 감소한 248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20kg 한 상자에 21,500원으로 지난주 대비 보합세 거래됨. 고구마는 우천 영향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연일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재고량이 많아 10kg 상자 상품이 15,000원으로 소폭 하락세 거래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1.86 전일대비 -1.77
동 향 : 배추는 주초 이틀물량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함. 77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53% 증가하였으며 태백 38%, 평창 18%, 정선 16%, 삼척 13% 순으로 출하됨. 평창이 횡계지역의 작업량 증가로 반입비중이 높아졌으나 삼척은 저지대 출하가 마무리 되면서 감소함. 월요일 주초장으로 구매량이 증가하였으나 늘어난 물량을 감당하기 어려워 가격은 상품성이 좋은 일부 물량을 제외하고는 내림세. 최고가는 12,300원으로 태백에서 출하되었으며 상품 8,910원, 하품 4,1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6.2%, 12.6% 하락함. 지난주부터 비 내리는 날이 많고 기온이 낮아져 상품성은 다소 호전됨.
양배추는 주초장임에도 반입량 증가가 소폭에 그쳐 가격은 오름세. 금일 반입량은 382톤으로 전일대비 11% 증가하였으며 평창 46%, 삼척 18%, 정선 17%, 서산 7% 순으로 출하됨. 평창이 출하후반기로 반입량 감소 추세이고 정선, 태백 등 고지대의 출하가 시작되면서 물량이 증가 추세임. 지난 주말 출하가 주춤하였던 서산지역 냉동 물량이 4대 반입됨. 가격은 최고가 8,8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으며 상품 5,700원, 하품 2,12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7.5%, 46.6% 상승함. 지역별로는 저장품인 서산지역이 최상품 시세를 형성하였고 초물출하로 상품성이 좋은 태백이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게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0.77 전일대비 -0.27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70.97 전일대비 12.89
동 향 : 무는 주초임에도 반입량이 지난 주말보다 감소하여 가격은 오름세. 전일 주산지에 비가 내린데다 지난주 가격 약세로 산지에서 출하를 서두르지 않음. 금일반입량은 543톤으로 전일대비 5% 감소하였으며 평창 38%, 정선 23%, 강릉 21%, 양구 12% 순으로 출하됨. 가격은 최고가 14,2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으며 상품 12,400원, 하품 5,1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5.9%, 5.2%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44 전일대비 21.7
동 향 : 양파는 지난 주말보다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지난주초보다는 크게 감소한 566톤 반입되었으며 상품이 kg당 831원으로 강보합세 거래됨. 대파는 산지 우천으로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141톤으로 크게 감소하여 상품이 한 단에 1,420원으로 주말 890원, 지난주초 1,140원에 비해 오름세 거래됨. 풋고추는 54톤으로 주초 물량으로는 반입량이 적어 상품이 37,500원으로, 하락세를 보였던 주말 28,250원에 비해 33%상승하였음. 청양고추도 54톤으로 지난주초 74톤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상품이 한 상자에 29,250원으로 주말대비 50%이상 오름세 거래됨. 주말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내림세가 컸던 홍고추는 우천으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거래됨. 양념채소류는 전일 내린 비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주초 수요량이 많아 오름세 거래되었으나 금일 날씨가 개이면서 오늘밤 출하지연된 물량이 일시에 반입될 것으로 보여 내일 시세는 내림세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1.61 전일대비 12.44
동 향 :
◈ 버섯류
가격지수 : 78.46 전일대비 -4.21
동 향 : 주초 버섯류는 주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193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14%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수요가 기대에 못미쳐 지수 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기온이 다소 하강하면서 기상여건 완화로 35톤이 반입되었으며 주초 유통업체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특품 중심 상승세 형성. 양송이는 18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며 학교 개학 등으로 급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상승세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됨. 생표고는 35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 형성. 지난 주초 오름세 이후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내림세를 형성하였으며 이번 주초 역시 물량이 절반 이상 급증하면서 하락세 형성. 팽이는 48톤으로 전일보다 물량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주초 유통업체 주문이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됨.
2. 수산물
가격지수 : 98.52 전일대비 +1.96
동 향 : 수산물은 산지 기상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반입물량은 수입 및 냉동, 건어류 물량이 늘어나면서 증가하였고 지수는 우천으로 반입량이 평소 주초 수준에 못 미친 연체류, 조개류가 상승세에 거래되며 소폭 상승. 생선류는 고등어가 체장이 작아 약세를 보였고 조개류는 반입량이 감소한 새꼬막이 연체류는 수요가 증가한 수입낙지가 강보합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78.37 전일대비 -1.95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주말 기상여건 악화로 저장 물량 출하 비중이 높았고 대체적으로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져 물량 감소에도 하락세에 거래. 냉동고등어는 생물 반입량 감소로 부산지역 민간 비축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품 반입증가와 주초 가공업체 주문량이 늘어나면서 강보합세를 형성함. 갈치는 제주지역 우천으로 채낚기 조업이 다소 부진하였으나 일본산 냉장물량 반입이 증가하면서 전체 반입량은 늘어났고 제주산 갈치는 선도가 뛰어나고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가 강하게 형성되어 상승세를 나타냄. 반면에 일본산 냉장갈치는 국내산 물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하자 채산성이 맞는 중소형품 위주로 출하되면서 하락세에 거래.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높은 가격으로 인해 판매가 다소 부진하면서 재고량이 누적되어 하락세를 형성. 조기는 중국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하락세 지속으로 판매가 원활하여 보합세 유지. 부세냉장수입은 중국산 조기 가격 하락으로 매수세가 소외되면서 소폭의 하락세를 나타냄. 병어는 목포 및 여수산 저장 물량 출하되었으나 선도가 떨어지고 최근 반입량이 꾸준함을 보이면서 재고량이 충분하여 약보합세를 형성함. 삼치는 여수 및 통영산 물량이 증가하였고 최근 가격상승으로 중도매인 판매부담이 가중되어 내림세에 거래. 활어류는 토요일 대비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숭어류가 주초 수요 증가로 오름세를, 양식우럭은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보임.
◈ 조개류
가격지수 : 96.27로 전일대비 +8.29
굴은 통영산 반입량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주초 대형유통업체 주문량이 꾸준함을 보이면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임. 바지락은 서산, 군산, 태안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평소 주초 물량에 비해 적은 수준이고 상품성이 양호하여 상품 중심으로 재고량이 감소한 전문 요식업체 주문량이 증가하며 강세. 새꼬막은 여수, 보성, 순천산 물량이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소라는 우천으로 부안, 서천, 군산산 반입량이 평소 주초 수준에 못 미쳤고 요식업체 주문량은 증가하여 강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10.04로 전일대비 +10.56
수입낙지는 주말 세관업무 휴업으로 신규 수입 물량이 없었고 지난주 재고량 출하가 최근 가격부진으로 줄어들면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물오징어는 주말동안 전국적으로 내린 비로 채낚기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11톤 가량 감소하였고 주말 소비량 증가로 재고량이 감소한 식자재 업체 매수세는 꾸준하여 강세에 거래. 우렁쉥이는 속초, 통영산이 반입되었으며 지난 토요일 시세상승으로 매기가 다소 부진하여 소폭의 하락세를 보임. 미더덕은 마산, 통영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성이 양호하고 요식업체 주문량이 다소 늘어나면서 강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