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5(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1.15(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11-15 04:2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1.18 전일대비 2.87
동 향 : 농산물은 전일 가격 하락으로 일부 품목 출하량이 줄어들었고 김장철로 구매 수요는 꾸준하여 강보합세에 거래. 서류는 최근 가격부진으로 강원도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계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강세를 보였고, 열매채소류 역시 오이, 호박이 시세 하락으로 산지 하우스 난방 가동률이 떨어져 출하 물량이 감소하여 오름세. 지난여름 시세가 부진하였던 열무가 재배 면적 감소로 강보합세를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외대무가 다발무 수요 증가로 출하량이 감소하여 뿌리채소류 지수 상승 주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3.65 전일대비 12.17
동 향 : 감자는 이모작 감자가 시세 하락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며 평창, 횡성 등 강원지역 저장감자가 주로 반입되었음.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20%감소한 212톤임. 물량감소로 상품 한상자가 전일대비 13%상승한 21,250원이며 지역별 최고경락가는 평창 26,000원, 김제 26,500원, 횡성 22,000원, 인제 22,000원임. 고구마는 익산, 여주, 서산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반입량 감소로 상품이 전일대비 5%상승한 16,000원임. 지역별 경락가는 익산 22,000-3,000원, 여주 14,000-1,000원, 서산 19,500-2,000원, 홍성 11,000-2,000원, 진천 14,500-2,000원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7.39 전일대비 1.76
동 향 : 배추는 김장철을 앞둔 데다 전일 새벽부터 전국에 비가 내리고 추워진다는 기상예보로 서둘러 작업된 물량이 많아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1,246톤이 반입되어 전일 대비 39% 증가하였으며 최근 들어 가장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음. 출하지역은 영월 16%, 아산 11%, 고창 10%, 무안 8% 순으로 상대적으로 강원지역이 기온 하강에 따른 피해가 커 출하물량 증가가 두드러졌음. 가격은 최고가 3,600원으로 영양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2,550원, 보통 1,7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9%, 9.3% 하락하였음. 물량 증가로 내림세였으나 기온하강에 따른 김장수요도 늘어 가격은 소폭 내리는데 그침.


상추 금일 반입량은 50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대비 15%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주초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던 상추는 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김장으로 인해 쌈채류의 소비가 감소하였고, 고단가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금일 품종별 반입량은 적포기가 36톤, 적상추가 1.7톤, 청상추가 2톤가량 반입되었고, 품종별 평균거래단가는 적포기가 9,339원, 청상추가 6,821원, 적상추가 8,173원에 거래되었음. 김장시즌으로 접어들면서 쌈채류의 소비둔화로 당분간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많아 보임.

시금치 반입량은 119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대비 8%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품종별 반입량은 섬초가 32톤, 포항초가 27톤, 단 시금치가 44톤 가량 반입되었고, 상자시금치가 11톤 가량 반입되었음. 섬초와 4kg상자 시금치를 제외하고는 물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되었음, 품종별 평균거래단가는 섬초가 전일대비 1,400원가량 상승한 18,949원, 포항초는 전일대비 100원가량 하락한 708원, 4kg 상자 시금치는 전일대비 400원가량 상승한 6,115원, 근교산 400g단 시금치는 전일대비 40원가량 상승한 537원에 거래되었음.

미나리 총반입량은 106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대비 3%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주초 반입량 증가로 시장 재고가 누적되면서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미나리는 전일 시세 하락으로 판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시장 재고가 소진되었고, 전일 시세하락으로 산지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자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음, 미나리 지역별 출하량은 전주가 30톤, 부산이 30톤, 나주가 19톤 가량 반입되었음. 평균거래단가는 20kg 단 미나리가 전일대비 23,000원가량 상승한 55,341원, 4kg 상자 미나리가 전일대비 500원가량 상승한 7,059원에 거래되었음. 향후 미나리 시세는 주초와 주말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주중에는 하락하지만 전반적으로 김장시즌이 끝날때까지는 상승세를 이어갈것으로 보여짐.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4.7 전일대비 7
동 향 : 호박은 기온이 낮아지면서 생육지연으로 출하량이 적어 오름세였음. 애호박은 102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23.6% 감소하였으며 청원 24%, 진주 220%, 부여 12%에서 출하되었음. 가격은 20개 기준 상품 10,750원, 보통 9,2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0.3%, 12.1% 하락하였음. 쥬키니는 41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8.6% 증가하였으며 논산 81%, 의령 15%, 공주 3% 등지에서 출하됨. 가격은 10kg상자 기준 상품 6,250원, 보통 5,750원으로 전일대비 13.6%, 21.1%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5.12 전일대비 4.95
동 향 : 무는 다발무 반입량 증가로 전체 반입량이 늘어난 가운데 가격은 출하량이 많은 다발무는 등급별로 등락이 엇갈렸으나 박스무는 물량부족으로 강세. 금일 반입량은 881톤으로 전일대비 5%, 전년(일주일)대비 25% 정도 많았음. 금일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고 기온이 떨어져 출하작업이 부진할 것으로 판단 서둘러 작업된 물량이 많았음. 특히 다발무 물량 증가가 두드러져 전체 물량대비 83%를 점유하였음. 가격은 다발무 5톤트럭 상품 152만원으로 3.5% 하락하였고, 보통 121만원으로 6.6% 상승함. 박스무는 18kg상자 기준 상품 3,900원, 보통 2,90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2%, 32% 하락함. 박스무는 최근 지속적인 가격 약세로 전년대비 50% 정도에 불과한 낮은 가격이 지속되자 작업량이 많이 줄어들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1.44 전일대비 4.71
동 향 : 양파는 전일 시세하락으로 산지 작업 부진하여 반입량이 줄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555톤으로 크게 증가하였음. 무안, 해남, 함평, 영천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 재고 소진으로 상품이 1,139원으로 전일 보합세 유지. 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무안 6.5kg망이 8,500원, 해남 6kg망 9,000원, 함평 7kg망 8,500원, 영천 11kg망 12,850원임. 대파는 전국적으로 출하되는 가운데 약세 형성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은 전일대비 3%감소한 211톤이며 상품이 한단에 820원으로 14% 상승하였음. 풋고추는 40톤으로 전일대비 13%감소하였으나 주중 소비가 매우 부진하여 상품이 16,000원으로 14%하락하였음. 현재 풋고추는 영암, 공주, 부여, 밀양, 진주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지난해 동기 22,000원에 비해 하락세 거래되고 있음. 꽈리고추는 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이 13톤으로 매우 적었으며 상품이 16,250원으로 8%상승하였음. 출하지역별 경락가는 밀양 18,500-4,000원, 당진 11,000-2,500원, 예산 13,500-4,000원임.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9.95 전일대비 -0.97
동 향 : 피망류는 34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보다 28%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품종별로는 청피망이 21톤, 홍피망이 5톤, 파프리카류가 8톤 가량 반입되었음. 지역별로는 전남 나주에서 12톤, 광주광역시에서 4.5톤, 경남 함안에서 4.5톤 가량 반입되었음. 남부지방의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강원지역의 출하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음. 품종별 거래단가는 청피망이 전일대비 1,500원가량 상승한 9,748원, 홍피망이 전일대비 5,000원가량 상승한 21,023원, 빨강파프리카 10kg 상자 가 전일대비 5,000원가량 상승한 21,042원에 거래되었음. 양상추는 금일 반입량이 64톤으로 전일대비 9%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으며 유통물량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최근 하락폭이 컸던 품목을 중심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특히 칼리플라워와 비타민등의 오름폭이 컸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7.36 전일대비 -1.3


2. 수산물
가격지수 : 101.03 전일대비 +0.99
동 향 : 수산물은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조개류, 연체류가 소비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품목별로는 고등어, 수입갈치가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굴은 김장철 수요증가로 강보합세 지속. 수입쭈꾸미는 반입량 감소로 강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2.14전일대비 -2.16
동 향 : 생물고등어는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나타냄. 다만, 그동안 물량 증가로 소외를 받았던 하품은 출하량 감소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강보합세. 냉동고등어는 생물 반입량 감소로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체장이 커 상품 시세가 오름세를 형성함. 갈치는 제주 채낚기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상품성이 양호하고 일본산 냉장갈치 반입량이 줄어들어 상품이 오름세를 보임. 갈치 중․소형품은 중국산 반입량이 꾸준하고 주중 요식업체 주문량 감소로 보합세 유지. 일본산 냉장갈치는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체장이 작아 채낚기 및 망갈치 모두 하락세에 거래.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1톤 증가하였고 주중에 접어들면서 생태 전문점 수요가 다소 줄어들어 하락세를 보임. 조기수입은 중국산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선도가 떨어지고 체장이 작은 물량이 많아 약보합세 지속. 활어류는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을 나타내었으나 횟감수요 감소 및 양식물량이 소형품 위주로 반입되어 약보합세를 형성함.

◈ 조개류
가격지수 : 117.32로 전일대비 +5.90

◈ 연체류
가격지수 : 114.61로 전일대비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