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2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2.2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12-27 04:1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거 래 동 향
1. 농산물
가격지수 : 110.35 전일대비 ▼ -1.69
농산물은 주중반을 지나면서 연휴 이후 산지 작업이 활발하여 반입량 소폭 증가와 매기부진으로 지수는 일부 부류(서양채소류)를 제외한 전 부류에 걸쳐 내림세에 거래됨. 특히 할인점 행사가 끝나고 학교 방학이 시작되면서 주문량 감소한 오이, 호박류인 열매채소류와 포근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출하량 증가한 봄동배추, 얼갈이배추인 잎채소류가 하락폭이 큰 품목으로 거래된 반면, 꾸준한 소비와 매기 활발한 파프리카, 파세리, 양상추인 서양채소류와 시금치, 청상추인 일부 잎채소류가 상승폭이 큰 품목으로 거래되었으며, 그밖에 고구마.감자류와 뿌리채소류는 강보합세 유지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6.08 전일대비 -0.47
○ 배추
배추는 전일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음. 404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41% 증가하였으며 해남 67%, 영암 13%, 영광 6%에서 출하됨. 월동기가 시작되면서 해남 인근 지역으로 출하지가 제한됨. 물량 증가에도 가격은 등급별로 등락이 엇갈림. 전일 재고가 소진되어 소비가 원활히 이루어짐. 10kg그물망 기준 상품은 3,625원으로 4%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2,525원으로 6% 하락하여 고가품은 오름세이나 저가품은 내림세 |
○ 상추
상추류 금일 반입량은 64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대비 46%가량이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생육여건의 호조와 늦게 월동준비에 들어간 물량들의 출하가 증가하면서 시장 반입량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요식업소 등의 연말 수요 증가로 외부시장과 지방시장등의 소비도 원활하게 이어지고 있어, 시세는 강세를 보이고 있음. 금일 품종별 반입량은 청상추가 10톤, 적포기가 51톤 가량 반입되었음. 전일 물량 감소로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품종이 오름세 거래되었음. 특히 전일 반입량이 적었던 청상추의 오름폭이 컸으며, 적포기도 오름세 거래되었음. 금일 품종별 평균 거래가격은 청상추 상품이 18,900원, 적포기 상품이 18,546원이었음. |
○ 시금치
시금치 금일 반입량은 126톤(전자경매기준)이었음. 품종별로는 섬초가 62톤, 포항초가 24톤, 육지초가 9톤, 근교산 400g 단시금치가 22톤, 상자 시금치가 8톤 가량 반입되었음. 시금치 전체 반입량은 전일대비 4%가량 감소하였으나, 시세는 전반적으로 근교산 시금치는 오름세, 남부지방의 섬초와 포항초는 약보합세를 보였음. 근교산 4kg 상자 시금치는 물량 감소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각급 학교의 방학등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근교산 단시금치는 약세를 보였음. 섬초는 최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재고 소진으로 소폭 오름세 거래되었음. 섬초 15kg 상자 평균거래가격은 상품 평균 거래가격이 42,389원이었고 전체 평균거래가격은 24,801원이었음. |
◈ 열매 채소류
○ 오이
오이는 최근 약세에도 반입량이 줄지 않아 내림세가 지속되었음. 특히 예년보다 고단가를 유지하던 취청의 물량 증가가 두드러져 내림폭이 크게 나타남. 금일 오이 전체 반입량은 172톤으로 전일대비 5.9% 증가하였으며 백다다기 94톤, 취청 76톤이 반입됨. 백다다기는 전일대비 10% 감소하였으나 취청은 36% 증가함. 백다다기는 상주 39%, 고흥 22%, 대전 9%에서 취청은 순천 55.2%, 구례 14.6%, 강진 11%에서 출하됨. 가격은 상품기준 백다다기 100개 34,750원으로 전일대비 0.7% 상승하였고 취청은 31,500원으로 18.2% 하락함. 최근 포근한 기온이 이어지면서 생산량이 많았으나 익일부터 다시 기온이 떨어질 것이라는 기상예보로 가격 내림세는 다소 진정될 것으로 보임.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2.76 전일대비 0.79
○ 무
무는 전일 시세 상승으로 산지 작업량이 늘어 전일대비 45% 증가한 520톤이 반입됨. 특히 제주산 콘테이너가 20여대 반입되어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마대무는 고창 24%, 부안 15%, 영암 15%에서 출하되었으며 마대무와 다발무 출하비중은 87%, 13% 정도였음. 물량 증가로 가격은 소폭 내림세로 거래됨. 18kg마대 기준 상품 3,400원, 보통 2,35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9%, 6% 하락함. 전체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하품은 1,700원으로 9.7% 오름세였는데 육지산 흙무가 출하량이 적어 희소성으로 소비가 활발하였기 때문임.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1.02 전일대비 2.61
○ 피망
피망류 금일 반입량은 35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대비 18%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품종별로는 청피망이 19톤으로 전일대비 15%가량 감소하였고, 홍피망은 10톤으로 14%감소, 파프리카류는 6톤으로 30%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최근 약세 거래로 인해 시장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으나, 각급 학교의 방학이 시작되면서 급식수요등이 감소하면서 오름폭은 제한적이었음. |
○ 기타 서양채소류
양상추는 61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6%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전일 물량 감소로 시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시세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주중거래로 접어들면서 대부분 내림세를 보였으나, 케일과 파세리는 물량 감소로 오름세 거래되었음. |
◈ 버섯류
가격지수 : 85.14 전일대비 -2.32
버섯류는 금일 201톤으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증가분에 대한 소비 저조로 지수 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겨울철 생산량 증가로 44톤이 반입되었으나 재고 누적과 유통업체 주문량 감소로 특상품 중심 하락세 형성. 양송이는 13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주초 가격 하락으로 요식업소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상승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주초 오름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저장 표고의 출하량 증가로 반입량이 29톤으로 증가하면서 하락세 형성. 특상품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팽이는 51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최근 물량이 많은 편임에도 수요가 꾸준해 보합세에 거래됨 |
2. 수산물
가격지수 : 95.05 전일대비 0.00
동 향 : 수산물은 겨울철 소비가 늘어나는 건어류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반입물량은 증가하였고 시세는 연말 요식업체 매수세 꾸준으로 보합세 유지. 고등어, 삼치가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보였으나 굴, 수입쭈꾸미, 물오징어가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0.45전일대비 -2.97 생물고등어는 어군 형성 부진으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대형어 출하 물량이 없고 냉동고등어 상품성 호조로 매수세 유입도 둔화되어 약세에 거래. 냉동고등어는 체장이 큰 삼천포산 반입으로 매기가 활기를 띠었으나 주중 수요가 크게 증가하지 못해 보합세 유지. 갈치는 가락시장 대형어 가격부진으로 산지 출하 물량이 대형유통업체로 대체되어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하락세를 나타냄. 일본산 냉장갈치는 채낚기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국내산 반입 저조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고, 망 갈치는 전일 가격하락에 따른 매수세 유입으로 오름세를 형성함. 수입냉동조기는 중국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감소하였으나 소형어 위주 거래로 약보합세에 거래. 삼치는 충무, 삼천포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하락세를 나타냈고 특히 여수산은 선도 부진으로 하품 시세대를 형성함. 대구는 전체 반입량이 금일과 비슷하였으나 국내산은 중국산 반입량 증가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시세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산 물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활어류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송년회에 따른 수요 증가로 참숭어, 자연산 농어, 양식 우럭이 오름세를 나타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