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1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17(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9-17 08:3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3.74 전일대비 1.65
《 강세 요인 》
○ 열매, 뿌리, 양념 채소류와 서류는 주초 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강세
- 취청오이, 쥬키니호박, 무는 주말 우천으로 작업 부진, 전일 재고소진으로 시세상승
- 양파, 고구마, 느타리버섯은 주초 재고물량 확보 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약세 요인 》
○ 잎, 서양 채소류는 반입량 증가와 지난 주 고가거래로 인한 거래부진 지속으로 약세
- 얼갈이배추, 시금치, 상추, 양상추는 태풍피해 전 조기 출하량 증가로 시세하락
- 아욱, 치커리, 참나물은 지난 주말 고가거래로 거래부진하면서 재고늘어 매수세 약화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8.15 전일대비 1.34
◇ 고구마 - 오름세
- 금일 15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4%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9%, 논산 18%, 익산 10%, 당진 6%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8,500원, 논산 2,000-17,500원,
- 호박고구마는 해남 4,000-13,000원, 서산 1,000-13,000원
- 지난 주말 우천으로 반입량 적어 재고소진. 주초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4,615원으로 전일대비 11% 상승하면서 오름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41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0%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4%, 창녕 9%, 인제 9%, 창원 9% 등 반입
- 평창 2,000-28,000원, 창녕 4,500-18,000원, 인제 2,000-28,000원.
- 주말 우천피해 방지위해 남부지방 저장감자 출하량 증가. 주초 거래활발.
- 금일 상품 평균 17,422원으로 전일대비 6%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8.19 전일대비 0.86
◇ 배추-오름세
- 주초를 맞아 반입량이 증가했음에도 가격이 많이 오름
- 금일 반입량은 1,221톤으로 전일대비 16.5% 증가하였으며 태백 34%, 강릉 23%, 정선 19%에서


출하됨
- 일요일 태풍 나리의 영향으로 강원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음에도 추석 이전에 작업을 마무리 하려는


출하자가 많아 우중에도 작업이 활발했음
- 물량 증가에도 주초 이틀치 수요인데다 일부지역이 비 피해로 공급량이 줄 것을 예상해 물량 확보에


치중하는 모습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11,011원, 보통 7,711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9.6%, 15.2% 상승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7.72 전일대비 14.64
◇ 무-오름세
- 주산지인 강원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출하작업 부진으로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766톤으로 전일대비 11.6% 감소하였으며 평창 35%, 홍천 21%, 강릉 19%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2,956원, 보통 10,96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5%, 9.9% 상승함
- 전일 태풍 나리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려 농산물도 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임
- 그러나 무의 경우 주산지인 강원지역이 당초 예상과 달리 피해정도가 적어 향후 물량 공급차질은


적을 듯
- 따라서 금일의 오름세를 일시적인 물량부족에 따른 오름세로 보이며 추석 대목이 익일부터는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0.04 전일대비 1.76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6.73 전일대비 5.64
◇ 생고추 -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주말 보다 2.3% 감소한 183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주초임에도 산지 작업 부진하여 반입물량 감소한 반면 수요는 크게 증가하여 큰 폭 상승함
- 품종별로는 청양 61톤, 일반풋고추 55톤, 꽈리 35톤, 홍고추 21톤 반입
- 청양 고추는 인제(58%), 춘천(17%), 홍천(7%), 양구(2%), 광주(2%)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39,330원으로 전일 보다 57.5% 상승
- 일반 풋고추는 홍천(25%), 춘천(24%), 인제(19%), 양구(5%), 영암(3%)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36,700원으로 전일보다 26.2% 상승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62%), 예산(24%), 횡성(3%)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1,000원으로 전일 보다 7.4% 상승
- 익일에도 반입물량은 많지 않은 반면, 소비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어 강세 전망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4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7% 증가.
- 무안 50%, 함평 14%, 해남 8%, 함양 5%, 익산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335-525원, 함평 306-521원, 해남 111-483원 거래.
- 무안, 함평지역 출하량 증가. 주초 재고확보용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451원으로 전일대비 4%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보합세
- 금일 24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증가.
- 강원 평창 41%, 철원 8%, 정선 7%, 경기 이천 10%, 여주 6% 등 반입
- 평창 600-1,900원, 이천 780-1,530원, 철원 820-1,470원
- 주말 이틀분 작업으로 경기지역 반입량 증가. 주초를 맞아 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72원으로 전일수준의 보합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59.82 전일대비 -10.82

◇ 피망,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주말 보다 22.7% 증가한 48톤 반입
- 청피망 36톤, 홍피망 12톤이며 인제(36%), 춘천(10%), 횡성(7%), 평창(6%)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53,420원, 홍피망 17,110원으로 각각 35.6%, 52.6% 상승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19.7% 증가한 16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7톤, 노랑 8톤, 주황 1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김제(23%), 강릉(13%), 평창(5%), 인제(3%)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17,200원, 노랑 24,100원, 주황 22,700원으로 오름세 거래
- 추석 명절 연휴를 대비한 납품업자의 물량 확보 노력 등으로 강세 지속

◈ 버섯류
가격지수 : 71.87 전일대비 1.59

◇ 버섯류 - 약보합세
- 추석을 앞두고 산지 재배량 및 작업량 증가 전일대비 44% 증가한 257톤 반입
- 가을철 재배면적 증가
- 주말장 우천으로 인해 매기가 부진했고 장세 약세 형성
- 주초 급식업체위주로 중도매인 납품 이뤄짐
◇ 표고 - 상승세
- 전일대비 64% 증가한 55톤 반입
- 생육에 원만한 일교차이로 인해 물량이 증가하였고 상품성 좋은 물량도 증가
- 충북 영동 45%, 충남 천안 22%, 경기 용인 19%, 충남 청양에서 15% 반입
- 추석 선물용 수요가 증가하면서 특, 상품 위주로 수요 상승
- 특, 상품은 백화점 납품 증가하여 가격 오름세, 중하품은 수요가 부진하여 내림세 형성
- 특품 4kg 평균 43,004원으로 전일대비 21% 상승
- 중품 4kg 평균 9,309원으로 전일대비 5%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3.38 전일대비 +2.15
《 강세 요인 》
○ 산지 재고량 및 수입물량 증가하였으나 추석을 앞두고 중도매인 매수량 증가하여 강세
- 상품성 양호한 삼치, 국내산 반입 감소로 수요 증가한 일본산 갈치 오름세
-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한 쭈꾸미, 봉지바지락, 미더덕 강세
《 약세 요인 》
○ 산지 재고량 출하 증가한 고등어, 굴, 상품성 저조한 수입부세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0.28 전일대비 +1.41
《 강세 요인 》
○ 갈치, 일본산 갈치, 삼치, 가자미 강세
- 태풍 나리의 영향으로 제주지역 채낚기 조업이 중단되면서 재고량만 가락시장에 출하되었고 출하량 감소하였음.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와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일본산 반입물량이 증가하면서 상승폭은 크지 않았음.
- 일본산 갈치는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제주산 반입량 감소로 강세에 거래. 추석을 앞두고 선물용 가공 수요도 증가세를 나타내며 가격 상승에 기인함.
- 삼치는 삼천포, 여수, 통영산이 출하량이 늘어 반입물량이 3톤 증가하였음. 태풍 나리 영향으로 산지조업여건 악화되면서 출하량이 감소할 것을 우려한 중도매인 매수심리로 오름세
- 가자미는 기상여건 악화로 주초 출하량이 평소에 비해 부진하였고 구령포, 보령산 참가자미가 선도가 우수하여 오름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국내산 참조기, 수입 부세, 냉동삼치, 대구 하락세
- 고등어는 태풍 나리 영향으로 대형선망이 회항하여 일시적으로 산지 재고량이 늘어났음. 반입물량 증가로 중․소형어가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대형어는 꾸준한 수요와 반입비중이 적어 오름세
- 일본산 생태는 반입물량이 4톤 증가하였고 주말 우천으로 요식업체 판매량이 줄어들어 하락세에 거래.
- 국내산 참조기는 제주산 재고량 출하가 늘어났으며 상품성이 우수한 중국산 수입조기가 반입되면서 내림세에 거래
- 중국산 수입부세는 출하량 증가하였고 판매가 수월한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를 나타냈고, 냉동삼치는 지난주 생물삼치 가격하락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약세
- 대구는 보령, 죽변, 군산산 출하량이 늘어났고 주말 우천으로 소비는 부진하여 내림세

◈ 조개류 97.40 전일대비 +8.60
《 강세 요인 》
○ 봉지바지락, 바지락살, 새꼬막, 소라, 가무락, 겉동죽,
깐동죽 강세

- 바지락은 15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 서천,산이,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만 반입되었고 수입산의 반입은 없었음. 겉바지락은 반입량 증가로 주말에 비해 내림세였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작았고, 거래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은 겉바지락 가격 형성이 높아 대체수요 증가로 오름세. 깐바지락(바지락살)은 반입량 격감으로 큰폭의 오름세
- 새꼬막은 7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순천산이며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으나 주초 물량확보로 오름세. 주소비처는 요식업소이나 가정소비도 증가 추세
- 서천(장항)산 소라는 소량 반입으로 상품성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는 컸으나 수요처가 전문 요식업소로 한정되어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이 반입되었고 흑모시의 주반입으로 가격은 오름세
- 겉동죽과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이며 산지 비로 인한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이 줄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굴, 겉바지락, 홍합 약세
- 굴은 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1톤 증가, 통영(충무)산으로 비로 인한 작업부진으로 반입이 순조롭지 못했고 주초장세 임에도 주소비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홍합은 1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3톤 감소. 마산, 여수산이며.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30kg그물망 당 상품기준 18.000원에 고정가격을 형성, 일반물량도 선도와 씨알은 좋은 편이나 주말대비 약보합세에 거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였음.

◈ 연체류 109.09 전일대비 +4.75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미더덕, 오만둥이, 산낙지 강세
- 생물오징어는 43톤 반입으로 주말대비 4톤 증가. 태안(안흥)산이 주반입되었고 울진, 속초산과 부산산 그물오징어가 소량 반입되었음. 전국적인 비에도 주반입지인 태안은 강수량이 적어 반입물량 증가에도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 증가로 가격은 강세 형성.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3톤 반입되어 주말대비 2톤 감소, 반입이 줄어 강세였고
마리수, 크기 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상품성은 양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이며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물량은 소량이었고 주초 장세를 맞아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형성
- 산낙지는 고흥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가격은 높았으나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강세
《 약세 요인 》
○ 냉동오징어, 주꾸미 약세
- 급식 수요가 많은 냉동 오징어는 8kg 포장품의 거래가 증가하였으나 약보합세
- 주꾸미는 국내산 냉장 물량은 소량 반입으로 가격이 높아 주말대비 약세였고, 중국산 냉동 물량은 가격 변동 없이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