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1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14(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1.12 전일대비 -9.02
《 강세 요인 》
○ 열매 채소류는 주말 유통업체 세일행사 주문 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늘면서 강세
- 쥬키니, 애호박은 전일 시세 하락으로 소매상 및 중소형 마트 주문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반입량 증가와 전일 재고로 매수세 약화
- 시금치, 상추, 깻잎, 무, 풋고추, 대파는 산지 출하량 증가로 물량 늘면서 시세하락
- 피망, 양상추, 파세리는 전일 고가 거래로 판매부진, 고구마는 전일 재고증가로 하락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2.41 전일대비 -10.7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141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1%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9%, 논산 20%, 익산 7%, 이천 4%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20,000원, 논산 2,500-17,5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 2,000-23,000원, 서산 2,000-18,000원
- 낮 기온 상승으로 판매부진하면서 재고증가.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13,783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360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7%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53%, 횡성 10%, 정선 7%, 강릉 7% 등 반입
- 평창 2,000-31,000원, 횡성 1,000-22,500원, 정선 1,000-20,000원.
- 주말 태풍영향 우려로 강원지역 출하작업 활발하면서 물량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894원으로 전일대비 5%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37.37 전일대비 -13.16
◇ 배추-내림세
- 연일 연중 최고치 물량이 반입되면서 추석 대목 수요에도 내림세가 이어짐
- 금일 반입량은 1,275원으로 전일대비 3.1% 증가하였으며 태백 40%, 강릉 18%, 정선 16%에서
출하됨
- 귀네미 출하량이 많아 태백의 물량이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강릉과 평창은 전일과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8,454원, 보통 5,60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4.3%, 9.9% 하락함
- 연일 많은 물량이 출하되고 있으나 추석대목 수요로 가격은 소폭 내린데 그쳐 수요가 활발한편임
- 매봉산 출하가 종료되면서 안반데기가 최상품 시세를 형성하였으며 정선과 평창은 끝물로 비교적
상품성이 좋지 않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45.77 전일대비 5.06
◇ 오이-내림세
- 반입량이 줄어든 데다 주말 수요로 가격이 소폭 반등함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91톤, 취청 93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3.6%, 5.3% 감소함
- 백다다기는 춘천 63%, 홍천 9%, 철원 5%에서 취청은 천안 40%, 여주 23%, 안성 8%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5,534원, 보통 19,275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3.3%, 7.2% 상승함
- 최고가는 41,000원으로 철원에서 출하되었고 철원, 홍천지역이 비교적 높은 시세를 형성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0.74 전일대비 -21.11
◇ 무-내림세
- 전이 가격 급등세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크게 증가해 전전일 수준으로 가격이 내려섬
- 금일 반입량은 874톤으로 전일대비 55.1% 증가하였으며 평창 40%, 강릉 18%, 정선 16%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최고가 13,6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9,880원, 보통 7,90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5.9%, 32.3% 하락함
- 전일 출하량이 적었음에도 가격 부담으로 재고가 일부 남아있는데다 금일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에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음
- 늦더위 잦은 비로 상품성 떨어져 일부는 경매 진행이 어려운 실정임으로 출하시 선별에 주의 필요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0.9 전일대비 -5.83
◇ 생고추 - 내림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한 208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59톤, 일반풋고추 45톤, 꽈리 33톤, 홍고추 60톤 반입
- 청양 고추는 인제(68%), 춘천(14%), 홍천(7%), 양구(2%), 횡성(2%)에서 출하됨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8,840원으로 전일 보다 13.1% 하락
- 일반 풋고추는 춘천(28%), 인제(27%), 홍천(21%), 양구(3%)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7,700원으로 전일보다 15.4% 하락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75%), 예산(14%), 횡성(2%) 등에서 출하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8,000원으로 전일 보다 26.4% 하락
- 익일 산지 우천으로 인한 반입물량 감소 예상되어 강세 전망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91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1% 증가.
- 무안 51%, 함평 9%, 해남 7%, 익산 4%, 신안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25-588원, 함평 317-500원, 해남 135-500원 거래.
- 주말 앞두고 추석 대목판매 기대로 전남 무안지역 출하량 증대
- 기온 상승과 주말 우천 예보로 중도매인 판매부진 우려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435원으로 전일대비 7%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대파 - 내림세
- 금일 23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증가.
- 강원 평창 36%, 정선 9%, 경기 이천 17%, 안성 5%, 여주 5% 등 반입
- 평창 620-1,600원, 이천 220-1,370원, 안성 1,000-1,25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 주말 태풍예보로 조기출하 증가
- 금일 중품 평균 1,084원으로 전일대비 12% 하락하면서 내림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82.18 전일대비 -65.08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24% 증가한 50톤 반입
- 청피망 37톤, 홍피망 13톤이며 인제(34%), 춘천(8%), 횡성(7%), 평창(6%)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34,600원, 홍피망 12,600원으로 각각 43.1%, 25.2%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20.1% 하락한 13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9톤, 노랑 3톤, 주황 1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김제(27%), 강릉(11%), 남해(8%), 함양(8%)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15,000원, 노랑 21,200원, 주황 18,900원으로 내림세 거래
- 최근 고단가에 대한 부담으로 내림세를 보임. 익일 주말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전망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 보다 23% 증가한 62톤가량 반입됨
- 강원 춘천 30%, 중국 28%, 횡성 24%, 미국 6%, 평창 5%, 여주 4%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29,780원으로 전일 보다 31.2% 상승
- 상품성이 균일하고, 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수입산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음
- 브로코리는 평창(41%), 횡성(40%), 제천(16%), 춘천(1%)에서 출하되며
- 브로코리 전체 평균은 29,200원으로 전일 보다 9.9% 상승
- 익일 주말장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강보합세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85.01 전일대비 -5.82
◇ 버섯류 - 하락세
- 산지 생산량 증가로 전일대비 7% 증가한 221톤 반입
- 버섯류는 본격적인 추석 장보기가 시작되는 내주에 구매를 계획하는 소비자가 많아 전반적으로 매기가 부진했음
- 급식업체 및 유통업체 납품 감소
- 양송이를 제외한 버섯류 모두 약세 형성
◇ 양송이- 강보합세
- 전일대비 21% 증가한 14톤 반입
- 충남 부여 52%, 보령 32%, 논산 6%, 평택에서 3% 반입
- 부여 미산지역의 출하물량이 증가하였으며 동부여 지역 출하물량은 감소함
- 주말 학교 급식 수여 감소로 급식업체 납품은 감소
- 상품성 좋은 양송이 반입 증가로 시세 강보합세 형성
- 상품 2kg 평균 12,108원으로 전일대비 1%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87.92 전일대비 +0.07
《 강세 요인 》
○ 산지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주말 소비수요 증가기대감으로 오름세
- 하락세를 보였던 삼치, 산지 소비량 증가로 반입량 감소한 물오징어 강세
- 반입량 줄어들고 주말대비 주문량 증가한 수입낙지, 쭈꾸미 오름세
《 약세 요인 》
○ 출하량 크게 증가한 생물고등어, 봉지바지락 내림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78.24 전일대비 -0.49
《 강세 요인 》
○ 냉동명태원양, 삼치, 대구, 숭어류 강세
- 냉동명태는 정부비축 물량 방출로 반입량이 4톤 증가하였으나 추석이 다가오면서 중도매인 매수량이 늘어 오름세에 거래
- 내림세를 보였던 삼치는 후포, 여수산 출하량 증가로 전일대비 6톤 증가함. 반입량 늘어났으나 최근 약세에 따른 소비량 증가로 시장내 재고 부족하여 오름세 형성함.
- 대구는 보령, 속초산 출하량 감소로 반입량이 6톤 감소하였음. 반입물량 줄어들고 주말을 앞두고 요식업체 주문량 늘어나면서 상승세에 거래.
- 숭어류는 여수, 서산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주말대비 횟감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매기가 활기를 띠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병어, 자연산 광어, 국내산 참조기 하락세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반입물량이 전일대비 22톤 증가하였음. 소비 증가 기대로 상품은 보합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중․소형어는 하락세 - 갈치는 일본산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전일에 비해 1톤 증가함. 제주산은 대형마트 출하비중이 높아지면서 가락시장 반입량이 줄어들었고 상품성도 떨어지는 물량 위주로 거래되어 약세를 나타냄. 일본산 낚시 갈치는 국내산 반입감소로 대체수요 늘어 오름세를 보임.
- 병어는 추석을 일주일 앞두고 산지 소비량 증가 기대감으로 시장 출하량이 크게 줄어들었음. 충무, 목포에서 출하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내림세에 거래
- 자연산 광어는 여수, 서산산이 소량 거래되었으나 양식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내림세에거래
- 국내산 참조기는 주말 소비 증가 기대감으로 제주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소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 조개류 72.92 전일대비 -8.71
《 약세 요인 》
○ 매기부진으로 전품목이 약세에 거래
- 굴은 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충무)산이나 주소비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바지락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1톤 증가.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인천, 군산, 서천,고흥산이었고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만 반입되었음. 겉바지락은 반입량 증가에도 거래 활발로 오름세였으나 안면도과 고흥산이 가격을 주도. 거래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반입량 증가에도 거래가 증가하였으나 전일대비 약보합세. 깐바지락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새꼬막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순천산이며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량 변동은 크게 없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주소비처는 요식업체에서 가정수요로 점차 확산 추세
- 홍합은 1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마산, 여수산이며.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전일에 이어 높은 가격을 형성, 일반물량도 선도와 씨알은 좋은 편이나 전일대비 약보합세에 거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체였음.
- 서천(장항)산 소라는 소량 반입에도 상품성이 낮아져 등급간 가격차이는 컸고 수요처도 한정되어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으로 대체품인 깐바지락의 내림세로 대체수요 감소로 내림세
- 겉동죽은 서산산으로 소량 반입되었으나 대체수요가 많은 바지락 가격의 하락에 따른 거래부진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이 반입되었고 전일대비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연체류 96.29 전일대비 +9.23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주꾸미 강세
- 생물오징어는 16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5톤 감소. 태안(안흥)산이 주반입되었고 동해안산은 울진산이 소량 반입되었음. 물량 반입이 적어 전일대비 오름세였고 선도와 상품성이 양호하여 대형유통업체의 세일행사 품목으로 대량 거래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매기부진에도 반입이 줄어오름세였고 마리수, 크기 별로 고르게 반입되어 상품성은 양호
- 주꾸미는 국내산 냉장 물량은 소량 반입으로 가격이 높음에도 전일대비오름세였고, 중국산 냉동 물량은 가격 변동 없이 약보합세
《 약세 요인 》
○ 미더덕, 오만둥이.산낙지,냉동오징어 약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이며 산지 출하조절로 반입 물량은 소량,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형성
- 산낙지는 수입산으로 매기부진으로 약세였고 가격이 높아 수요는 부진
- 급식 수요가 많은 냉동 오징어는 8kg 포장품의 거래가 증가하였으나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