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9.2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9.21(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6.22 전일대비 -2.6
《 강세 요인 》
○ 뿌리 채소류와 서류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강세
- 알타리무는 요식업소 주문 및 가정용 수요 증가로 판매활발하면서 시세상승
- 고구마, 감자는 산지 기상악화로 출하작업 부진하여 특,상품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열매, 양념, 서양 채소류는 추석연휴기간 재고회피 위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로 약세
- 얼갈이배추, 취청오이, 늙은호박은 주중 우천으로 상품성 저하물량 늘면서 시세하락
- 풋고추, 붉은고추, 파프리카, 양상추는 반입량 증가, 소매상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92.38 전일대비 2.54
◇ 고구마 - 보합세
- 금일 6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35%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7%, 논산 20%, 영주 14%, 익산 11%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20,000원, 논산 1,000-14,000원,
- 호박고구마는 영주 1,000-13,000원, 서산 1,000-11,000원
- 추석 연휴 전 경북 영주, 충남 논산지역 출하량 증가. 판매부진 지속
- 금일 상품 평균 11,919원으로 전일대비 2% 상승하면서 보합세
◇ 감자 - 오름세
- 금일 138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45% 반입량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66%, 강릉 12%, 밀양 7%, 정선 6% 등 반입
- 평창 1,500-28,000원, 강릉 3,000-19,000원, 밀양 3,500-21,500원.
- 전일 강원지역 우천으로 출하작업 부진. 전일 시세영향으로 출하량 감소
- 금일 상품 평균 19,690원으로 전일대비 10%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4.21 전일대비 -8.36
◇ 배추-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추석 대목이 끝나면서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1,019톤으로 전일대비 7.1% 감소하였으며 태백 32%, 평창 24%, 정선 12%에서
출하됨
- 대부분의 지역에서 반입량이 감소한 가운데 안반데기의 출하가 마무리 되면서 강릉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7,904원, 보통 4,85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7.1%, 17.5% 하락함
-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잦은 비로 상품성이 떨어져 저가품의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2.14 전일대비 -2.18
◇ 호박-보합세
-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가운데 가격은 보합세
- 금일 반입량은 애호박 140톤, 쥬키니 20톤으로 애호박은 6.2% 증가하였으나 쥬키니는 0.1%
감소함
- 애호박은 화천, 춘천, 홍천에서 쥬키니는 횡성, 홍천, 봉화에서 출하됨
- 가격은 애호박 20개 상품 22,017원으로 2.1% 상승하였으나 보통 15,598원으로 6.1% 하락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13.81 전일대비 7.73
◇ 무-오름세
- 지난 이틀간 가격이 비교적 많이 떨어진데다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로 돌아섬
- 금일 반입량은 781톤으로 전일대비 10% 감소하였으며 평창 33%, 홍천 26%, 강릉 18%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최고가 15,800원으로 평창에서 출하되었고 상품 12,479원, 보통 9,51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 4% 상승함
- 지역별 평균 가격은 평창 10,662원, 홍천 10,336원, 강릉 10,979원이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6.64 전일대비 -1.14
◇ 양파 - 보합세
- 금일 81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 반입량 증가.
- 무안 60%, 함평 12%, 해남 10%, 신안 4%, 영천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80-800원, 함평 350-558원, 해남 206-475원 거래.
- 추석 연휴 앞두고 판매 기대심리로 산지 출하 작업 증가.
- 급식업체 및 납품업체 주문 감소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455원으로 전일대비 2% 하락하면서 보합세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24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반입량 증가.
- 강원 평창 38%, 정선 5%, 경기 이천 18%, 고양 5% 등 반입
- 평창 900-1,750원, 이천 800-1,500원, 정선 600-1,650원
- 전일 시세영향으로 경기 및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
- 산지 기상악화로 출하작업 부진하여 상품성 떨어지면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488원으로 전일대비 4%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91.21 전일대비 -7.25
◇ 피망 - 오름세
- 전자경매 기준 청피망은 32톤, 홍피망 8톤, 노랑파프리카는 8톤 반입
- 청피망은 강원지역 94%, 전라지역 6% 등 차지. 강원 인제, 정선, 양구 등 출하
- 전일 우천영향으로 출하작업 부진. 연휴기간 재고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6,235원으로 전일대비 13%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홍피망은 강원 88%, 전라 12% 등 차지. 강원 고성, 횡성, 인제 등 출하
- 전일 시세 영향으로 강원지역 출하량 감소. 중소형마트 주문 증가
- 금일 10kg 상품 평균 31,100원으로 전일대비 17%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양상추 - 내림세
- 전자경매기준 양상추는 전일보다 26% 증가한 66톤 반입.
- 주출하지는 강원 71%, 경기 6%, 경남 1%, 충청 1%, 수입 21% 등 반입됨
- 강원지역 중 횡성산 2,000-13,000원, 춘천산 2,000-8,000원 거래
- 수입산은 중국산 79%, 미국산 21% 반입됨. 중국산은 13,000-20,000원 거래
- 전일 우천 영향으로 국내산은 상품성 저하, 수입산은 전일 재고증가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2,000원으로 전일대비 14%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버섯류
가격지수 : 75.06 전일대비 -0.32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 일 산지 작업 활발하여 전일대비 10% 상승한 261톤 반입
- 계속되는 우천으로 인한 매기부진으로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추석 성수품인 느타리와 표고의 시세가 높게 형성되어 있음
- 상품성에 따라 시세 편차가 크게 거래됨
◇ 느타리 - 오름세
- 전일대비 11% 증가한 65톤으로 시장 반입량 꾸준한 증가세
- 경기 여주 22%, 전남 보성 21%, 경기 양평 20%, 충남 청양에서 19% 반입
- 경기도와 전라도의 물량 반입이 크게 증가하였음
- 추석 성수품인 느타리는 백화점 납품 및 일반 소비자의 구매 증가
- 상품성 특, 상품 위주로 납품이 활발하여 오름세 주도
- 상품 2kg 평균 13,005원으로 전일대비 30%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3.93 전일대비 +0.34
《 강세 요인 》
○ 산지 소비량 증가하면서 반입량 감소하였고 추석 연휴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오름세
- 제수용품 수요 증가와 상품성 양호로 수입부세, 병어, 생태 강세
- 반입물량 감소한 쭈꾸미, 갈치, 수입낙지 오름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상품성 저조한 삼치, 출하량 증가한 새꼬막, 굴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79.73 전일대비 +3.56
《 강세 요인 》
○ 고등어, 생태, 갈치, 수입부세, 병어, 아귀, 숭어류 오름세
- 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감소하였고 대형어 반입이 증가하고 선도도 양호하여 오름세에 거래
- 갈치는 일본산 반입량 늘어났으나 제주산 갈치가 산지 소비량 증가로 출하량 크게 줄어들어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감소함. 제주산 갈치는 소량 거래되고 전반적으로 상품성 양호하여 소폭의 오름세 나타냄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4톤 증가하였으나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어났고 기온하락으로 선도도 우수하여 강세
- 수입부세는 추석을 앞두고 선도가 우수한 일본산이 거래되었고 제수용품 수요도 꾸준하여 강세
- 병어는 수도권 소비량 증가 기대로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였음. 10kg 상자는 통영, 마산산 물량이 체장이 커 상승세 주도하였고, 5kg상자는 방어진, 목포산이 상품성 우수로 오름세에 거래됨
- 아귀는 부산, 목포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나타냈으며, 전일 반입되지 않았던 숭어류는 시장내 재고량 부족으로 상승세 형성함
《 약세 요인 》
○ 일본산 갈치, 삼치, 가자미 내림세
- 일본산 갈치는 반입량 늘어났으나 최근 가격상승 지속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시장내 재고가 늘어 하락세
- 삼치는 냉동물량 출하감소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6톤 감소하였음. 반입량 줄어들었으나 여수, 삼천포산이 체장이 작아 하락세에 거래
- 가자미는 산지 소비량 증가로 반입량이 줄었으며 안흥, 속촉, 구룡포에서 백가자미와 물가자미가 거래되었음. 반입량 줄었으나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면서 내림세를 나타냄
◈ 조개류 99.06 전일대비 -11.22
《 강세 요인 》
○ 바지락(겉바지락, 봉지바지락), 가무락(모시)조개 오름세
- 바지락은 1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겉바지락은 태안(안면도), 군산산.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이었음. 겉바지락은 반입량 감소와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봉지바지락은 반입량 증가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였고 등급간 가격차이는 큰 편이었음. 깐바지락(바지락살)은 추석 성수품으로 반입량 증가에도 전일높은 가격 형성에 따른 부담으로 거래감소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산 흑모시가 소량 반입되어 고정 수요처의 물량확보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굴,새고막,겉동죽, 해락, 깐바지락 약세
- 굴은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통영산으로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선도부진으로 인한 거래 감소로 약보합세. 주소비처는 가정수요 보다는 전문 요식업소 및 급식 납품업체였음
- 새꼬막은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순천산이며 추석 성수품이나 전문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매기부진하였고 가격도 내림세
- 홍합은 11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이며.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고정수요처의 물량확보 가격 변동이 없었고, 일반물량은 선도부진으로 거래가 줄면서 약보합세
- 겉동죽과 해락(깐동죽)은 서산산이며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
◈ 연체류 114.03 전일대비 +6.02
《 강세 요인 》
○ 생물오징어, 수입냉장낙지 오름세
- 생물오징어는 28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4톤 증가. 태풍으로 인한 기상 특보발효로 서해안의 태안(안흥)산의 반입은 없었고, 동해안의 속초,동해,울진산 채낚기 물량이 주반입되었음. 부산산은 그물오징어가 소량 반입되었으나 선도부진으로 낮은 가격에 거래. 체낙기 물량인 동해안산은 대형유통업체의 구매량도 증가와 추석 수요는 증가로 오름세였고, 냉동오징어의 대체수요가 증가 추세이나 내림세
- 수입냉장낙지는 중국산으로 2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반입량 감소에도 등급간 가격차이가 컷으나 오름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약세 요인 》
○ 주꾸미,미더덕,오만둥이,산낙지 약세
- 주꾸미는 국내산과 중국산이 반입되었으나 등급간 가격차이가 심했고 국내산은 상품성이 하락으로 낮은 가격에 거래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마산산으로 반입량은 전일 수준이나 전문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산낙지는 중국 수입산으로 소량 반입되어 가격은 높았으나 매기부진으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