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7.19(수)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2006.7.19(수) 지수 및 가격동향 2차
◆ 나무과일류
가격지수 : 97.44 -0.52P
동 향 : 나무과일류는 458톤 반입되어 전일 329톤 대비 반입량 39% 반입량 증가하였음. 과일류는 장마비가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작업량이 늘어 복숭아와 자두 포도를 중심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시세는 장마가 잠시 주춤하면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평소보다 적은 물량으로 수요가 줄지 않으면서 시세는 약보합세에 거래됨. 과일장은 물량도 늘었으나 전일보다는 전반적으로 내림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으며 자두를 비롯해 복숭아 중 끝물출하에 접어든 월봉이 하락세에 거래되었고 백도계열과 천홍이 오름세에 거래됨.
자두는 이번 장마로 주 산지인 경북지역에 큰 피해는 없었으나 낙과피해가 일부 있었고, 생육부진으로 인해 생산량이 늘지 않아 전주말부터 가파른 오름세를 형성하고 있음. 6월하순부터 출하되기 시작했던 대석조생은 김천지역 출하마무리에 이어 이번주까지 의성지역도 출하가 종결될 것으로 예상되며 후무사 출하가 한창인 김천지역은 7월말 또는 8월초순까지 후무사와 홍자두 출하가 유지되다, 8월초순부터는 피자두와 수박자두의 출하가 중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다음주부터 출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는 의성지역 후무사는 8월중순까지 출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현재 출하되고 있는 자두는 장마로 인해 당도가 하락한 상태로 대략 10도 정도의 당도가 나오고 있어 12~13도 이상의 당도보다는 낮은 상태여서 첫맛은 단맛이 나나 씹을수록 싱거운 맛이 나는 등 상품성은 떨어진 상태임. 하지만, 개화기 저온피해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한데다, 장마로 인해 생산량이 늘지 않으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형성하고 있음. 자두는 장마가 끝나면서 기온이 상승하고 일조량이 늘어나면 정상적인 당도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물량이 전년보다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세는 강보합 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
복숭아는 사자와 암킹은 출하가 종료되었고, 털복숭아 중에서는 한물 출하중인 창방과 호기도가 7월말까지 출하되다 8월초순부터는 백도계열 기도백도, 산정백도 등의 출하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 천도계열은 현제 중물출하를 넘어서 다음주초까지 출하가 예상되는 선프레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뒤를 어어 천홍이 보름정도 출하되다, 8월초순부터는 레드골드와 환타지아의 출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복숭아는 이번 비로 당도하락이 가장 주된 이유가 되면서 경쟁품목인 자두가 오름세에 거래된 것과는 상반되게 털복숭아 주종 품종인 창방의 경우 소폭 오름세에 그쳤고, 비교적 비 피해가 적었던 음성, 장호원 등지 출하가 유지된데다 10도 내외 당도가 나온 것이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였음. 반면, 천도계열은 선프레가 큰 폭의 오름세를 형성하였는데 털복숭아에 비해서 당도하락이 크지 않았고 근본적으로 폐원과 저온피해로 출하량과 출하시기가 전년보다 감소하거나 지연되었기 때문에 상품성이 다소 떨어진 상황에서도 공급량 부족과 비 피해로 인한 시세상승의 기대심리로 인해 오름세를 형성한 것으로 예상됨.
◆ 채소과일류
가격지수 : 130.88 +4.18P
동 향 : 채소과일류는 820톤 반입되어 전일 804톤 대비 반입량 2% 반입량 증가하였음. 좋지 못한 기상탓으로 중도매인들의 매기가 약하게 나타난 지난 며칠에 비해 거래는 활발히 이루어지며 채소과일류는 전체적으로 강보합세 거래됨. 초복을 앞두고 물량이 많이 늘 것으로 예상되었던 수박의 반입량 증가는 미진한 편임. 좋지 않은 기상 탓으로 수요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크게는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일대비 소폭 가격 상승하여 거래됨. 복숭아, 자두, 포도 등 대체 과일의 당도가 아직은 크지 않으나 현재 수박의 수요가 분산되기 시작하면 가격은 약보합세를 띄며 거래가 이어질 것으로 보임. 토마토 일반종은 춘천지역의 물량이 큰 피해 없이 반입되고 있으나 정선, 평창, 인제 등 물량이 이어질 7월말에서 8월 사이의 물량에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임. 춘천 물량이 마무리 단계에 있음. 금일은 물량 증가로 약보합세 거래되었으며 방울종은 물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고단가로 인해 부담으로 시세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메론은 담양지역에서 주출하되고 있으며 물량 감소로 인해 비교적 큰 폭으로 가격 상승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