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05(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2.05(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12-05 03:36


















1. 농산물

가격지수 : 117.27 전일대비 0.04
동 향 : 농산물은 계속되는 한파의 영향으로 산지작업이 부진하여 전체 반입량은 감소하였고 가격지수는 전일대비 소폭 상승. 부류별로는 뿌리, 양념, 서양채소류는 내림세였으나 그외 부류는 오름세에 거래. 품목별로는 쌈채소인 상추류와 양채류의 셀러리, 칼리플라워, 머위잎과 열매채소류의 애호박과 풋고추가 오름세였고, 김장부속재료인 갓과 미나리와 근교산 단채소인 열무, 아욱, 근대, 시금치 등과 비타민, 케일, 신선초 등 쌈채소는 내림세 거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33.37 전일대비 0.93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0.49 전일대비 2.36
동 향 :
- 상추 금일 반입량은 45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51톤) 보다 11% 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기온하락으로 전일 급등세에도 불구하고 산지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금일도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금주들어 가격이 큰폭으로 오르면서 시장 평균 거래가격이 전주에 비해 70%~100%정도 상승하여 거래되고 있음. 기온하락에 따른 물량 공백이 발생하면서 큰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주말부터 금일까지 5일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주산지에서 출하를 서두르면서 주중 반입량은 증가세를 보일가능성이 많아 보이며, 물량 증가로 오름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많아 보임. 금일 품종별 평균 거래가격은 적포기가 전일대비 1,363원가량 오른 8,739원에 청상추는 1,193원가량 오른 8,118원에 거래되었음. 지역별 반입량은 경기이천에서 14톤, 용인에서 6톤, 충남 논산에서 2톤가량이 반입되었으며, 상품선별상태가 양호하고 중량이 많아나가 선호도가 높은 충북 충주지역의 반입량은 1.5톤 가량 반입되었음.


- 시금치 반입량은 125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대비 7%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전주 물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던 시금치는 전주말을 기점으로 반입량이 급증하면서 오름폭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섬초의 물량비중이 46%로 가장 높고, 근교산 400g 단시금치의 물량비중은 21%정도를 보이고 있으며, 포항초는 15%, 4kg 상자 시금치는 11%의 물량 비중을 보이고 있음. 김장이 마무리단계로 접어들면서 시금치 소비는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물량이 증가로 오름폭이 둔화되고 있는 모습임. 전년과 비교했을때 시장 반입량은 전년의 80%~90%정도이며 가격으로 볼때 전년보다는 다소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음, 기온하락으로 수도권인근지역의 출하량은 감소세를 보일가능성이 많아 보이나 섬초는 현재 시세가 좋게 형성되고 있어 물량은 다소 증가세를 보일 가능성이 많아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23.07 전일대비 2.82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78.86 전일대비 -11.4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3.8 전일대비 -0.48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7.22 전일대비 -5.05
동 향 : -피망류 금일 반입량은 60톤으로 전일대비 17%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전일 큰폭의 오름세에도 불구하고 주초 수요로 시장 반입량이 대부분 소화되면서 시장 재고가 감소하면서 반입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보합세를 보였음. 품종별 반입량은 청피망이 31톤, 홍피망이 11톤, 파프리카류가 17톤가량 반입되었음. 양상추 금일 반입량은 47톤으로 전일대비 14%가량 감소하였으나 시세는 전일과 같았음. 양상추 주반입지역은 경남 하동과 의령, 전남 광양등지에서 주로 반입되고 있음, 전일 강세를 보였던 기타 서양채소류는 전일 오름세를 보였던 치커리와 비타민이 내림세 거래된 반면 전일 보합세를 보였던 칼리플라워나 셀러리등은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105.56 전일대비 1.99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72 전일대비 -0.62
동 향 : 수산물은 월명기로 어류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일 반입량 증가로 중도매인 물량 확보가 원활하여 금일은 약보합세에 거래. 고등어, 굴은 반입량이 감소하며 오름세를 보였고, 갈치, 수입쭈꾸미, 물오징어, 바지락은 출하량이 증가하고 전일 재고누적으로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4.23전일대비 -1.11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월명기로 생물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산지 저장 물량 출하분이 체장이 커 강보합세에 거래. 다만, 하품은 상품성 부진으로 매수세가 감소하며 약보합세. 갈치는 제주 채낚기 조업 원활로 반입량이 늘어났고 일본산 채낚기 물량도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나타냄. 일본산 생태는 전일 가격 상승으로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성이 양호하고 최근 추운 날씨로 탕류소비량이 원만하여 보합세를 유지함. 대구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주중 매기 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보였음. 조기수입은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전일 가격상승으로 매기가 다소 부진하고 소형어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를 나타냄. 삼치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일에 비해 상품성이 양호한 물량이 줄어들어 하락세를 형성하였고, 아귀는 보령과 목포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 활어류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횟감 수요가 줄어들고 산지 출하물량치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아 하락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27.94로 전일대비 +3.98
굴은 통영 및 고흥산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상품은 가격상승 여파로 가격 오름폭이 제한적이었으며 중품은 반입량 감소와 제철 수요가 꾸준하여 강보합세를 나타냄. 겉바지락은 국내산 물량이 출하되었으나 안면도 산이 상품성이 떨어져 약보합세를 보였음. 수입겉바지락 역시 주중 매기 부진과 씨알이 작아 하락세를 나타내었고, 홍합은 30kg 망이 물량 증가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형성함. 새꼬막은 순천산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전일 물량이 판매부진을 보이면서 재고량이 누적되어 내림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12.54로 전일대비 -5.90
물오징어는 월명기로 채낚기 조업이 다소 부진하여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체장이 작고 주중에 접어들면서 중도매인 매수세도 줄어들어 하락세에 거래. 다만, 상품은 물량 감소영향과 거제도산이 체장이 커 가격이 상승함.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전일 물량이 충분하여 요식업체 주문량이 감소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쭈꾸미는 인천산 물량이 거래되었으며 상품성이 중국산에 비해 양호하여 10,000원 정도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음. 중국산 냉장 쭈꾸미는 반입량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미더덕은 마산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씨알이 작아 오름세를 보임.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72 전일대비 -0.62
동 향 : 수산물은 월명기로 어류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일 반입량 증가로 중도매인 물량 확보가 원활하여 금일은 약보합세에 거래. 고등어, 굴은 반입량이 감소하며 오름세를 보였고, 갈치, 수입쭈꾸미, 물오징어, 바지락은 출하량이 증가하고 전일 재고누적으로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