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8.9(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8.9(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7.15 전일대비 -5.51
동 향 : 최근 오름세를 보이던 채소류는 산지 조기출하 물량 증가와 함께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전일에 이어 하락세를 나타냄. 높은 가격대를 지속하고 있는 고추류가 전국적인 출하량 증가로 약세에 거래되며 양념채소류 지수하락을 주도한 가운데 대파, 양파도 주중 매기부진 영향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냄. 열매채소류 역시 호박류와 오이류가 재고증가로 동반 하락세를 나타내며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양채류도 근교산 출하량이 증가하며 약보합세를 보임. 한편, 뿌리채소류는 장마와 폭염피해를 입은 무가 강원도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강세를 보였으며, 열무도 제철 소비수요 및 대체수요 증가로 오름세를 보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0.27 전일대비 -9.89
동 향 :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20.94 전일대비 -8.54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71톤으로 전일대비 2%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고단가가 지속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되었고, 고단가로 인한 판매 부진으로 중도매인의 매기가 감소로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여름상추의 출하로 인해 상추 반입량이 60~70톤대로 물량 반입이 이루어지면서 유통물량이 풍부해졌고 고단가로 지방시장으로의 전송물량도 감소추세를 보이면서 매기가 둔화되면서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그러나 단기간 너무 큰폭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출하물량의 감소가 예상되며, 추가 하락보다는 현재의 시세가 가격하한선으로 작용하면서 주말경에는 소폭 상승할 가능성도 많아 보임. 금일 거래된 품종별 평균가격은 적포기 4kg 상자 상품이 14,531원으로 전일 대비 4,000원가량 하락하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9,092원으로 전일대비 3,000원가량 하락하였음. 청상추 4kg 상자 상품 평균가격은 10,389원으로 전일대비 2,000원가량 하락하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5,947원으로 전일대비 1,400원가량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미나리 총반입량은 49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음. 유통물량의 감소로 인해 시세는 고단가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시장의 수요 또한 꾸준히 형성되면서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 그러나 강세기간이 길어지고 있고 지방시장에서도 수도권 물량이 고단가를 보이면서 자체 조달 물량이 증가하고 있어 오름폭은 둔화되고 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8.96 전일대비 -12.27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71.36 전일대비 23.33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37.17 전일대비 -21.25
동 향 :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3.26 전일대비 -11.23
동 향 : 양상추 금일 반입량은 20톤으로 전일보다 5톤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물량이 증가했으나 전일보다 상품성이 좋은 물건이 다소 반입되면서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음. 피망류는49톤으로 전일보다 6%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물량 증가폭이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고단가에 따른 부담감으로 인해 시세는 내림세를 보였음. 반면 파프리카류는 전일보다 약 11%가량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최근 소비가 살아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셀러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내림세 거래되었음. 특히 케일이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칼리플라워도 물량 증가로 소폭 내림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83.14 전일대비 -3.09
동 향 : 금일 버섯류는 166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며 지속적인 무더위로 소비가 감소해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28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수준이나 무더위로 소비감소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물량 감소 추세를 보임. 선도 유지의 어려움으로 경기도 및 근교산 물량이 많은 편이며 유통업체의 소비는 꾸준해 특품 거래가격은 비교적 높은 편임. 양송이는 11톤이 반입되었으며 월초 상승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말복 소비 감소와 더위로 인한 비수기로 지속적인 하락세 형성. 금일 거래가격은 2kg 상품이 11,750원에 거래됨. 생표고는 고온성 표고의 반입으로 금일 16톤이 반입되었으며 주초 가격 상승으로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내림세 형성. 팽이는 53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됨.
2. 수산류
가격지수 : 99.35 전일대비 -1.73
동 향 : 수산류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87%수준인 330톤이 반입되었으나 말복과 무더위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지수 하락세 형성. 선어류 중 전일 오름세를 보인 고등어는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나 오름세를 보였음. 패류는 선도유지가 어려워 물량이 69%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소비 감소로 홍합, 새꼬막, 굴, 바지락 등이 하락세에 거래됨. 연체류는 수입낙지, 쭈꾸미가 판매가 부진해 하락세에 거래됨.
◈ 선어류
가격지수 : 81.97 전일대비 -0.54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전일 가격 상승으로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제주도 물량이 많이 거래되면서 재고를 비축하려는 중도매인의 매수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며 냉동 고등어는 하품 중심 상승세를 형성함. 갈치, 삼치, 아귀 등은 말복 비수기와 계속되는 무더위로 인한 수요 감소로 하락세에 거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