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6. 20(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6. 20(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6-20 04:0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9.95 전일대비 -3.85
동 향 : 전일에 이어 금일도 기상여건이 좋았던데다
주 후반부터 장마전선이 북상할 것이라는 기상예보로 장마전 출하를 서두르는 지역이 많아 평소보다 많은 물량이 반입됨. 반면 전일 주초장으로 요식업소 등 대형 구매처에서 이미 물량이 확보된 상태로 수요는 부진하여 대부분의 품목이 내림세로 거래됨. 특히 대중수요품인 무, 배추가 약세에도 출하량이 꾸준하여 내림세가 지속되자 잎채소류와 뿌리채소류의 지수가 크게 하락하였고 성출하기를 맞은 감자도 반입량이 많아 서류도 내림세. 반면 버섯류와 양념채소류는 일기에 영향이 적어 내림폭이 상대적으로 적었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2.08 전일대비 -13.56
동 향 : 감자는 당진, 서산지역 노지감자가 본격 출하되면서 전일에 비해 많은 양이 출하되었음. 금일 반입량은 1150톤으로 전일에 비해 25%감소하였으나 홍수출하로 재고가 많아 상품 한 상자가 전일에 비해 11%하락한 8,250원에 거래됨. 이는 지난해 동기 9,000원보다 낮은 거래가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3.32 전일대비 -14.51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92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음.기상여건이 좋아 생육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으며, 주후반부터 비가 예보되면서 조기 출하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형성되면서 반입량 증가로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주 중반에 형성되었던 시세 까지 하락하였음. 전주 후반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재고 소진으로 오름세를 보였던 전주후반 이후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시장 필요 수량이 초과되었고, 주초 반입량 또한 연 이틀 100톤 가까운 물량이 반입되면서 수요에 비해 물량이 과다하게 유입되면서, 유통물량 증가로 시세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또한 주중반이 후 비가 예보되고 있어 매기는 주춤할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반입량도 감소할것으로 예상됨.

열무 반입량은 78톤으로 전일 반입량 보다 26%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1.5kg 단 열무가 67톤가량 반입되었고 4kg 상자 열무가 10톤 가량 반입되었음. 1.5kg 단 열무는 전일 시세 하락으로 전일보다 17톤 가량 적은 양이 반입되면서 큰폭의 오름세를 보인반면, 4kg 상자 열무는 전일 시세 상승이 판매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재고 누적으로 전일 대비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림세를 보였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4.18 전일대비 -5.31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65.64 전일대비 -8.29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0.61 전일대비 -0.62
동 향 : 대파는 전일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형성하자 금일 반입량은 230톤으로 지난주 이래 가장 많은 양이 반입되면서 상품이 한 단에 660원으로 전일에 비해 16%하락하였음. 청주에서 반입된 대파가 대가 굵어 고가에 거래됨. 양파는 전일보다는 15%감소한 896톤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이어 많은 양이 반입되어 상품이 440원으로 지난주 이래 가장 낮은 시세를 형성하였음. 풋고추는 55톤으로 주초인 전일 72톤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강보합세, 청양고추는 71톤으로 전일에 비해 11%감소하면서 상품 한 상자가 41,000원으로 4%상승하였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2.77 전일대비 -13.68
동 향 : 피망류는 48톤으로 전일 보다 10%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날씨가 더워지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 시세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강원도의 출하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경남 진주와 전남 나주 물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품종별 반입량은 청피망이 33톤, 홍피망이 6톤, 파프리카가가 9톤 반입되었음. 양상추 반입량은 51톤으로 전일대비 9%가량 증가한 물량이 반입되었음. 출하지역이 확대되면서 출하대기물량은 풍부하나, 기온상승과 요식업체의 영업부진으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시세는 저단가를 보이고 있음. 기타 서양 채소류도 기온 상승 및 외식업체의 수요 감소로 매기가 약화되면서 약보합세를 보였음.

◈ 버섯류
가격지수 : 74.12 전일대비 -1.29


향 : 금일 버섯류 반입량은 주초인 전일에 비해 84%수준으로 감소한 183톤이 반입되었으나 소비 부진과 전일 재고 누적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느타리는 40톤이 반입되어 이번주 들어 물량이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가정과 요식업소의 버섯류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양송이는 18톤으로 물량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전일과 보합세를 형성하고 있으나 월초 가격 상승에 따른 구매력 감소로 지난주대비 약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고온성 반입으로 주초 상승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전일 재고 누적과 거래 부진으로 하락세 형성. 팽이는 최근 산지 작업이 활발해 물량이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됨. 경북 청도군을 중심으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음.


2. 수산물
가격지수 : 103.37로 전일대비 -0.40
동 향 : 수산물은 산지 기상여건 호조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가 반입량 증가와 재고 누적으로 약세를 보였고,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이 꾸준한 수요로 강보합세를 나타냄. 연체류는 수입낙지, 물오징어가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를 형성함.

◈ 생선류
가격지수 : 82.27로 전일대비 -2.24
동 향 : 생물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 원활로 반입량이 급증한 가운데 대품 반입 저조로 중․상품 하락폭이 크게 나타남. 냉동고등어는 민간비축 물량 출하가 꾸준함을 보이고 있으며 가공업체 및 가정용 수요 꾸준으로 보합세 유지. 갈치는 제주지역 수온상승으로 채낚기 조업이 원활함을 보이면서 평소 평일 반입물량에 비해 증가한 수준을 나타내며 약세에 거래. 일본산 냉장갈치는 5kg 상자가 거래되었으며 경락가격은 40,000원~60,000원대를 형성하였고 물량분산은 원활한 편이었음. 꽁치냉동은 부산지역 원양 물량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보였고, 일본산 냉장 꽁치는 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선도가 뛰어난 물량증가로 오름세를 나타냄. 일본산 냉장 명태는 무더운 날씨로 인한 소비부진과 선도가 다소 떨어지는 중․하품 위주로 거래되어 약세에 거래. 조기수입은 반입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주중 매기부진으로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상품은 대품 반입으로 10kg 상자에 80,000원대를 형성하였음. 부세냉장수입은 중국산 반입량이 줄어들어 소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삼치는 전일 시세상승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에 거래되었고, 대구는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으나 고성, 보령, 속초산 물량이 체장이 커 오름세를 나타냄. 활어류는 전일대비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양식물량을 중심으로 자연산 숭어, 넙치도 상승세에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03.84로 전일대비 +5.47
굴은 통영산 물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주초 고정 수요처 주문량이 마감되면서 하락세에 거래. 바지락은 고흥, 태안산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품이 하락세를 나타내었으나 중․하품 은 상품성이 수준 이상을 나타내며 요식업체 주문량이 증가하여 오름세를 형성. 전일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던 홍합은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을 나타내었으나 시세하락에 따른 물량 분산 원활과 여수산 물량이 선도가 좋아 오름세에 거래. 새꼬막은 반입물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일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유지로 보합세에 거래.

◈ 연체류
가격지수 : 120.06로 전일대비 -2.63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주중에 접어들면서 매기가 다소 부진해 소폭의 하락세를 보임. 물오징어는 동해안 기상여건 호조로 고성, 속초, 울진산 물량 반입이 증가하였으나 대품 반입은 저조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수입쭈꾸미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나 강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전일 상승세를 보였던 미더덕, 오만둥이는 주초 매기 마무리와 함께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를 나타냄. 미더덕, 오만둥이는 마산, 통영에서 주로 출하되었고 미더덕은 마산산이 오만둥이는 통영산이 선도가 뛰어나 타 지역에 비해 가격이 높게 형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