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7. 10(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7. 10(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6-07-10 02:5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8.48 전일대비 10.68
동 향 : 태풍 에위니아가 제주에 이어 남부지방까지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주산지에 많은 비가 내려 출하작업이 부진하자 주초 이틀치 작업량임에도 평일수준에 불과한 물량이 반입됨. 반면 지난 주말 반입량이 적어 재고가 소진된데다 태풍의 영향으로 농수산물 수급차질을 우려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품목이 오름세에 거래됨. 특히 남부지방 출하품목, 요식업소 소비가 많은 품목 위주로 오름세가 두르러져 열매채소류, 서류, 잎채소류, 서양 채소류가 전일보다 가격이 많이 오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66.09 전일대비 25.7
동 향 : 감자는 연이틀 작업량이 출하된데다 지난주 시세상승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상품이 한 상자에 평균 8,500원으로 주말대비 13%하락하였음. 그러나 지난주초 8,000원에 비해 소폭 오름세임. 반입물량 456톤 중 지역별 출하비율은 당진 31%, 홍천 16%, 서산, 횡성 6%임. 고구마는 제주지역에서 햇고구마가 출하되었으며 경락가는 40,000원이며 금일 거래가는 지난주 이래 가장 높은 36,500원(상품기준)으로 강세 형성됨.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4.46 전일대비 15.81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59톤으로 전일대비 25%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태풍 에오니아의 영향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면서 시장 반입량도 이틀치 작업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입량이 감소하여 반입되면서 시세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그러나 아직까지 물량 감소가 본격화되지 않고 있어 시세는 표준가격에 비해 품종별로 상이하지만 20~50%까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현재 시장 반입량 수준은 전년도에 비해 30~40%이상 많은 양이 반입되고 있어, 시기적으로 물량이 감소하는 시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물량 감소가 예상보다 적게 이루어지면서, 시세 또한 예년에 비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그러나 금일 반입량이 예상보다 적었고, 태풍의 영향으로 산지 작업량 또한 감소할것으로 예상되어 금주 주중이후 시세는 다소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많아 보임. 열무 금일 반입량은 93톤으로 전일대비 9%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휴일로 인한 작업 중단으로 2일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태풍 및 장마의 영향으로 주초 물량임을 감안할 때 물량 증가폭은 적은편이었으며, 주초 수요로 시세는 오름세를 보였으나, 전주말 물량증가로 시장 재고가 아직까지 남아있어 오름폭은 제한적이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15.35 전일대비 32.78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4.45 전일대비 19.05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1.37 전일대비 13.51
동 향 : 양파는 704톤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태풍 에위니아의 북상으로 물량확보 차원의 매기가 활발하여 주말대비 보합세 거래됨. 상품 경락가는 579원으로 지난주 평균가 566원에 비해 강보합세임. 지역별 경락가는 무안 12kg망 10,600원, 정읍 12.5kg망 10,500원, 신안 12kg망 9,200원, 함평 13kg망 9,700원, 해남 14kg망 10,400원임. 대파는 구리, 고양, 포천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이 토요일에 이어 급감하면서 상품이 한단에 760원으로 상승세가 크게 나타남. 고추류는 풋고추가 반입량이 늘어나 소폭 오름세인 반면 꽈리고추는 주초 반입량으로는 적은 35톤 출하되어 주말대비 19%상승하였고, 청양고추는 지난주초에 비해서는 6,000원정도 하락한 30,500원이나 전주후반 22,000원에 비해서는 오름세 거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00.67 전일대비 20.29
동 향 : 피망류 금일 반입량은 31톤으로 전일대비 4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경남과 강원지역이 태풍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면서 작업이 어려움이 있어 물량이 큰폭으로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보였음. 품종별 반입량은 청핌아이 14톤으로 전일대비 60%가량 감소하였고, 홍피망은 4톤으로 전일대비 35%가량 감소하였음. 반면 파프리카류는 14톤으로 전일대비 5%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음. 양상추 금일 반입량은 53톤으로 전일대비 8%가량 증가한 양이 반입되었으며, 전주말 반입량이 대부분 소진되었고 주초 수요도 증가하면서 시세는 소폭 오름세를 보였으며, 치커리와 칼리플라워, 셀러리등도 물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기타 품목은 소비 부진으로 주초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보합세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4.96 전일대비 -2.34


2. 수산물
가격지수 : 108.16로 전일대비 +2.64
동 향 : 수산물은 수입물량 및 건어류 출하 증가로 반입물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주말 소비 원활과 금일부터 산지 태풍영향에 따른 출하 감소 예상으로 중도매인 매수세가 강하게 형성되어 오름세에 거래. 고등어, 병어가 판매 원활로 생선류 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낙지수입이 공급량 부족으로 강보합세, 홍합, 꼬막 역시 익일 반입량 감소 기대로 오름세를 나타내며 연체류, 조개류 지수상승 견인.

◈ 생선류
가격지수 : 88.30로 전일대비 +1.98
동 향 : 생물고등어는 월명기와 부산지역이 장마전선에 영향을 받아 반입량이 줄어들어 오름세를 보였고, 냉동고등어는 생물 조업 부진 여파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품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나타냄. 갈치는 제주지역이 장마전선 및 태풍영향으로 연승조업 물량 위주로 거래되었으나 수입물량 증가와 선도부진으로 하락세에 거래. 일본산 냉장 갈치는 반입물량이 증가하였고 조업부진으로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는 대품 거래가 없어 약보합세를 나타냄. 명태냉장수입은 일본산 반입량이 1톤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난 구시로산 거래가 활발하여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나 중품은 태풍영향에 따른 소비부진 기대로 약보합세. 꽁치냉장수입은 냉동꽁치 반입이 크게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고, 삼치 는 부산산 생물 반입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상품은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를 나타냈고, 하품은 물량 감소로 인해 오름세를 나타냄. 조기수입은 중국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지난주 토요일 반입물량이 충분하였고 주말 판매가 다소 부진하여 하락세를 나타내었고, 부세냉장수입은 중국산 물량이 대품위주로 거래되어 큰 폭의 오름세. 대구는 보령 및 동해안 조업부진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선도가 부진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병어는 목포 및 여수산 반입이 다소 저조하였고 주초 식자재 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세에 거래. 활어류는 반입량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숭어류가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활넙치 자연산이 대품 증가로 강보합세엑 거래.

◈ 조개류
가격지수 : 120.37로 전일대비 +3.62
굴은 통영산 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선도가 뛰어나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보합세 유지. 바지락은 수입물량 거래가 다소 부진하였으나 서,남해안 물량이 증가하였음. 국내산 선도가 뛰어났고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이 일정함을 나타내며 높은 가격대가 유지. 봉지바지락은 수입량 감소 영향과 매기호조로 오름세를 나타냄. 홍합은 마산, 통영 일대 장마전선 영향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상승세에 거래. 새꼬막은 평소 주초 반입량에 못 미쳤고 익일 태풍으로 조업이 어려워 2일간 물량을 확보하려는 중도매인들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 연체류
가격지수 : 128.52로 전일대비 +9.50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지난주 토요일 대비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장 수요에 비해 중국내 금어기로 공급량이 부족하여 큰 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물오징어는 죽변, 속초, 거진등에서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작아 상품은 하락세를 중, 상품은 주초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오름세를 나타냄. 문어는 동해안 물량이 선도가 다소 떨어지면서 소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우렁쉥이는 주말 재고가 소진된 중도매인 매수 참여 활발로 강보합세에 거래. 미더더과 오만둥이는 반입물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주초 고정 수요처의 주문량과 함께 우천에 따른 탕류 소비 증가 기대로 강보합세를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