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6.11.16(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97.96 전일대비 -1.98
동 향 : 농산물은 전일 갑자기 날씨가 추워진데다 일부 지방에서는 눈까지 내려 기상여건 악화로 출하작업이 부진함. 그러나 김장철이 다가왔음에도 핵가족화, 김치 냉장고의 대중적 보급 등으로 수요량이 예년만 못해 내린 품목이 많음. 특히 김장의 주 재료인 무, 배추가 전일의 약세를 이어갔고 부재료인 갓, 미나리, 부추 등도 내림세. 또한 생산량이 많아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배추, 시금치, 양상추 등도 김장철 수요 공백기로 소비량이 적어 내림세. 반면, 청경채, 셀러리, 쌈추, 상추 등 근교산 시설재배품은 기온하강에 따른 작물 관리의 어려움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7.69 전일대비 4.04
동 향 : 감자는 이번주 들어 소비가 부진하게 이루어지면서 반입량 감소에도 하락세 형성.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10%감소한 191톤이며 상품은 21,250원으로 보합세이나 기타 등급에서 소폭 오름세 거래됨. 이모작 감자가 출하되고 있으나 소비량이 적어 약세 거래되고 있음.. 그러나 금년 작황부진으로 시세가 매우 낮았던 지난해 10,000원, 표준가격 15,220원에 비해 오름세임.
◈ 잎채소류
가격지수 : 93.26 전일대비 -4.13
동 향 : 상추 금일 반입량은 49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대비 2%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수능한파로 인해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전반적인 매기도 감소하여 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였음. 그러나 품종별로는 최근 반입량 감소로 유통물량이 감소하면서 시장 재고가 소진된 적상추는 상승세를 보였고, 청상추는 강보합세를 보였음. 반면 적포기는 물량 감소에도 소비부진으로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품종별 반입량은 적포기가 36톤, 청상추가 8톤, 적상추가 3톤가량 반입되었고, 품종별 거래단가는 적포기가 전일대비 1,000원가량 하락한 8,458원, 적상추가 8,356원, 청상추가 6,749원에 거래되었음.
미나리 총반입량은 106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과 비슷한 양이 반입되었음. 물량 변화는 없었으나 수능으로 인해 김장소비가 감소하였고, 주중 소비부진으로 시세는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금일 하락세를 보였으나 최근 미나리는 4kg 상자 미나리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0kg 단 미나리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품종별 평균거래가격은 20kg 단미나리가 46,972원, 4kg 상자 미나리가 5,092원으로 전일대비 2,000원가량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4.72 전일대비 0.02
동 향 :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83.66 전일대비 -1.46
동 향 :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1.12 전일대비 -0.32
동 향 : 양파는 448톤으로 물량이 많았던 전일에 비해 19%적은 양이 반입되었으며 상품이 kg당 1,166원으로 2%상승하였음. 양파는 6-12kg망으로 재작업한 물량이 고가 거래되고 있으며 산지 시세가 높게 형성되어 반입량이 시세에 따라 조절되면서 일정시세에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음. 대파는 중부권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출하로 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전일 시세 상승으로 금일 반입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상품이 한 단에 990원으로 전일대비 20%상승하였음. 하지만 산지 출하대기량이 많아 시세상승으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내림세가 예상됨. 풋고추는 소비부진이 계속되어 반입량은 크지 않으나 상품이 15,500원으로 약보합세임. 꽈리고추는 지난주 후반 내림세에서 금주 오름세를 보였으나 시세상승으로 금일 반입량 53톤으로 증가하여 상품이 23,500원으로 8%하락하였음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88.33 전일대비 -1.62
동 향 : 피망류는 30톤(전자경매기준)으로 전일 보다 10%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음. 품종별로는 청피망이 22톤, 홍피망이 7톤, 파프리카류가 1.5톤 가량 반입되었음.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수능한파로 인해 매기가 부진하면서 시세 오름폭은 제한적이었음. 파프리카류는 큰폭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소비부진으로 내림세 거래되었음. 양상추는 50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2%가량 감소한 양이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중에서는 케일과 셀러리, 비타민 등이 물량 감소로 오름세 거래되었으나, 브로콜리, 치커리등은 내림세 거래되었음.
◈ 버섯류
가격지수 : 72.07 전일대비 -15.29
2. 수산물
가격지수 : 99.64 전일대비 -1.39
동 향 : 수산물은 건어류 반입량 감소로 전체 반입 물량이 줄어들었으나 연체류, 패류가 반입량 증가와 주중 매수세 저조로 약보합세. 품목별로는 반입량이 증가한 고등어, 굴, 수입낙지가 하락세를 보였고, 국내산 조기는 체장이 커 강세를 보임.
◈ 생선류
가격지수 : 79.99전일대비 -2.15
동 향 : 생물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 원활로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체장이 작아 중도매인 매수 심리가 저조하여 하락세를 나타냄. 냉동고등어는 부산산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가운데 가공업체 주문량 꾸준으로 보합세를 유지. 갈치는 제주 주변 해역 풍랑으로 조업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일본산 냉장 갈치 반입량이 늘어나 약보합세에 거래. 일본산 냉장 갈치는 국내산 생물 반입 저조로 채낚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상품성이 양호하고 요식업체 주문량이 꾸준하여 오름세를 보임. 일본산 망갈치는 소량 반입되었으나 체장이 커 강세에 거래.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기온하락에도 불구하고 최근 늘어난 물량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약보합세. 조기수입은 중국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최근 가격하락으로 소비량이 회복되어 오름세에 거래. 대구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동해안산 물량이 체장이 작아 하락세, 보령, 군산산 8kg짝 물량 역시 최근 가격상승 여파로 소비가 부진하여 약보합세에 거래. 활어류는 전일대비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자연산 넙치, 돔이 체장이 커 상승세 형성.
◈ 조개류
가격지수 : 113.53로 전일대비 -3.79
굴은 가격상승으로 충무 및 고흥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높은 가격에 따른 소비 수요 둔화로 하락세를 형성함. 바지락은 산지 추위로 작업이 저조하여 중국 및 북한산 위주로 거래되었고 상품성 저조로 봉지바지락, 수입 겉바지락 모두 약세에 거래. 새꼬막은 여수산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고 주중 매기 부진으로 상품이 하락세를 보임. 다만, 하품은 금일 물량이 전반적으로 상품성이 우수하여 오름세를 보임.
◈ 연체류
가격지수 : 115.65로 전일대비 +1.04
물오징어는 경상북도 연안 어황호조로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소형품 물량이 많아 하품은 하락세를 보임. 다만, 대형품은 물량 부족으로 전일대비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수입낙지는 중국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증가하였고 주중 식자재 업체 매수세 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수입쭈꾸미 역시 중국산 반입량 늘어나면서 하락세에 거래. 미더덕은 마산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기온하락에 따른 탕류 소비는 증가하면서 강세를 형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