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5.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5.7(수)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5-07 09:27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4.9 전일대비 -2.57
《 약세 요인 》
○ 주중으로 접어들어 전반적인 소비 부진한 가운데, 반입량 증가한 부류 위주 내림세
- 연휴가 끝난 후 외식업체 소비 크게 감소한 잎, 서양채소류가 내림세를 주도했고
- 최근 크게 상승한 대파는 경기 지역 하우스 물량 증가로 하락세
《 강세 요인 》
○ 가정의 달 각종 기념일과 연휴 등으로 소비 기대 수요 증가
- 고구마, 호박, 미나리, 생고추류 등이 상승함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91.94 전일대비 2.17
◇감자-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가격부담으로 소폭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285톤으로 전일대비 14.9% 감소하였으며 수미 247톤, 대지 18톤이 반입됨
- 수미는 김제 53%, 서산 19%, 밀양 14%에서 출하되어 전일에 비해 김제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짐
- 가격은 20kg상자 기준 상품 36,126원, 보통 32,108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8%, 6.2% 하락함
- 금일 가격이 하락에도 여전히 평년대비 30-50% 높은 시세 유지
- 제주산 가을감자 출하가 종료되었으나 육지산 시설 재배 출하량이 적어 물량부족이 원인으로 보임
- 5월 중순에 보성지역을 중심으로 노지감자 출하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은 가격 강세기조가


유지될 듯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9.47 전일대비 -6.43
◇배추-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평일보다 많고 전일 재고와 유치물량으로 물량부담이 가중되면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11톤으로 전일대비 15% 감소하였으며 해남 40%, 예산 21%, 서산 16%에서 출하됨
- 봄배추가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전체물량의 60% 정도를 점유하여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3,295원으로 2.3% 하락하였으나 보통 2,224원으로 1.9% 상승함
- 전반적으로 내림세인 가운데 저가품은 소폭 오름세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2.49 전일대비 0.0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05.2 전일대비 -1.52
◇무-내림세
-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재고물량이 많아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480톤으로 전일대비 13.6% 감소하였으나 전일 유치물량이 많아 경매는 다소 많은


물량이 진행됨
- 대부분 제주에서 월동무가 출하되었으나 김포에서 봄무 2대가 출하됨
- 월동무는 냉동과 c/t가 각각 절반 정도 되었으나 노지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c/t물량은 감소하는 추세임
- 가격은 18kgpe대 기준 상품 7,405원, 보통 4,99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1%, 15.8% 하락
- 봄무는 평균가격이 9,300원으로 월동무에 비해 80% 정도 높은 시세를 형성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1.55 전일대비 -3.34
◇ 양파 - 내림세
- 금일 전자 경매 기준 921톤 반입되어 전일 보다 31%가량 증가함
- 제주산 조생양파는 출하 마무리 단계이며, 15일경 정도 출하 종료될 것으로 보임
- 무안 52%, 제주 33%, 함평 4%, 익산 3% 가량임
- 무안산 출하 성수기를 맞아 물량 증가로 내림세 거래됨
◇ 대파 - 내림세
- 금일 전자경매 기준 207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15.7% 증가
- 경기 일원 하우스 대파 출하량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주출하지는 고양 29%, 구리 11%, 진도 9%, 신안 5%임.
- 최근 높은 가격에 거래되어 경기 출하량 증가하여 내림세 거래
- 전북 부안과 정읍에서 봄대파 등이 소량 출하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7.08 전일대비 -5.5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는 법인 반입 기준 96톤으로 전일보다 25% 증가
- 하동 22%, 광양 20%, 화성 17%, 횡성 6%, 서산 5%에서 출하됨
- 연휴가 끝나고 주중으로 접어들어 외식업체 등 주문량 감소로 내림세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20톤 가량 반입되었고, 제주산 49%, 기타 양주, 중국산 등임
- 반입량 감소하여 중도매인 구매력 상승으로 오름세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9.42 전일대비 0.64



◇ 버섯류 : 보합세
- 반입물량이 205톤으로 전일 190톤의 108% 물량 반입. (전년 161톤의 127%)
- 5월 가정의 달 휴일과 연휴관계로 매기부진: 납품 감소 및 소비 부진으로 약세
- 상품과 하품의 상품성 차이가 많고, 우수상품 위주로 소폭 오름세를 보임.
- 금일은 출하 물량이 증가하여 시세는 보합세 형성.
. 느타리버섯은 물량이 증가하였고 시세는 소폭 오름세를 형성. 당분간 5월 석가탄신일

연휴로 소비량이 주춤하여 시세는 약보합세 전망.
. 표고는 물량이 증가하였지만 우수상품은 소폭 오름세, 하품은 내림세.
. 팽이는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며, 소비지 소비가 주춤. 약보합세를 형성.
. 양송이는 납품이 감소하고 소비가 주춤하여 약보합세,
. 새송이는 보합세를 형성.







2. 수산물

가격지수 : 108.49 대비 -2.24

《 강세 요인 》
○ 상품성 증가 및 체장 큰 물량 반입된 갈치, 쭈구미 수입, 해락 강세

《 약세 요인 》
○ 주중 반입량 및 재고량 증가에 따른 매수세 감소로 내림세
- 반입량 증가한 냉동 삼치, 가자미 하락세
- 반입량 감소 및 주중 요식업체 수요 감소로 바지락 수입20, 가무락20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4.30 전일대비 -0.91

○ 5월 23일까지 부산 대형선망조업의 휴어기로 생물 고등어 반입량이 거의 없어





냉동 및 수입산 위주로 거래되고 있음

《 강세 요인 》
○ 갈치
- 제주산 갈치의 체장이 큰 물량이 반입되었고 전반적인 상품성이 양호해 강세를 보임

《 약세 요인 》
○ 냉동 삼치, 가자미,
- 가자미는 반입량이 증가하였고 대부분 중소형어로 이루어져 약세
- 냉동 삼치는 주중 시장내 재고량 증가 및 반입량 증가로 매수세가 감소하여 내림세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금일 반입량 84톤 전일대비 13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14.35, 전일대비 -9.90

○ 조개류 상승 품목 : 해락(동죽살), 동죽, 소라(피뿔고동), 굴

○ 조개류 하락 품목 : 바지락수입, (겉)바지락, 봉지바지락, 깐바지락, 깐홍합


◈ 연체류 표준가격지수 : 118.06, 전일대비 -4.73

○ 연체류 오름세 품목 : 주꾸미수입, 소문어

○ 연체류 내림세 품목 : 물오징어, 중문어, 갑오징어

□ 건어류 : 반입물량 금일 56톤 반입 전일대비 8톤 증가

◈ 건어류 표준가격지수 : 122.92, 전일대비 +0.01

○ 건어류 보합세 품목 : 건오징어, 건멸치, 건명태, 김, 미역

《 건어류 보합세 요인 》
- 건오징어는 1톤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건멸치는 42톤반입 전일대비 12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건명태는 5톤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김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7톤 감소.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4톤 반입 전일대비 1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