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1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12(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7-12 08:2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7.75 전일대비 -2.99
《 강세 요인 》
○ 뿌리, 양념 채소류와 서류는 장마에 따른 우천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 알타리무, 열무는 경기지역 집중호우로 산지작업 부진, 출하량 감소로 시세상승
- 풋고추, 청양고추, 대파는 전일 재고소진,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시세상승

《 약세 요인 》
○ 잎, 열매,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하여 내림세
- 얼갈이, 양배추, 취청오이, 애호박은 전일 재고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양상추, 파프리카, 느타리, 생표고버섯은 우천 피해 대비한 출하량 증가로 시세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8.39 전일대비 0.32
◇ 고구마 - 강보합세
- 금일 1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1%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3%, 김제 29%, 완주 25%, 영주 4%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산 2,000-30,000원, 김제 2,000-31,000원
- 완주 7,000-33,000원, 호박고구마는 영주산 5,000-20,000원 거래
- 김제, 완주 등 햇고구마 출하로 간식용 소비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7,800원으로 전일대비 7% 시세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거래
◇ 감자 - 오름세
- 금일 18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3%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22%, 당진 13%, 강릉 11%, 홍천 11%, 횡성 6% 등 반입
- 평창 2,000-23,000원, 당진 1,500-33,000원, 강릉 2,500-28,000원 거래.
- 강원지역 54%, 충청 20%, 경상 9%, 경기 8%로 주출하지가 점차 이동
- 우천영향으로 충청지역 출하량 감소. 주중 재고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4,836원으로 전일대비 8%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1.65 전일대비 -4.78
◇ 배추-내림세
- 수요일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음에도 반입량은 오히려 증가함
- 이는 주초부터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자 우(雨)중에도 작업을 강행한 출하주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임
- 따라서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우중 작업으로 상품성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아 가격은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20톤으로 전일대비 13.5% 증가하였으며 정선 39%, 평창 26%, 횡성 14%에서


출하됨
- 전일 출하량이 가장 많았던 평창은 금일 출하가 주춤하여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정선지방의 물량이


거래를 주도한 가운데 삼척(하장)에서 올해 첫 출하됨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5,232원, 보통 4,097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6%, 7.6% 하락함
- 구가 잘아 45, 43싸이즈 출하가 대부분이었으며 정선(임계), 삼척(하장)에서 47싸이즈 물량이


출하되어 최고가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0.31 전일대비 -6.46
◇ 오이-내림세
- 강원지역 물량이 본격 출하되면서 반입량이 증가하는데다 장마철 수요부진까지 겹쳐 내림세 지속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269톤, 취청 62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25.7%, 18.8% 감소함. 그러나 지난주


일평균 반입량에 비해 각각 34%, 15% 많은 물량임
- 반면 장마철을 맞아 흐리고 비오는 날이 많고 기온이 낮아 냉면, 냉채 등 찬음식을 찾는 사람이 적어


수요량은 감소함
- 금일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19,251원, 보통 14,98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5%, 6.7% 하락하여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짐
- 취청은 20kg상자 기준 상품 22,244원, 보통 14,746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3.9%, 27.5% 하락함
- 백다다기는 춘천 19%, 서산 12%, 제천 10%에서, 취청은 화천 40%, 춘천 15%, 횡성 14%에서 출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3.95 전일대비 -0.44
◇ 무-내림세
- 남부지방에 오후에 비가 그치면서 일시에 출하작업이 진행되어 반입량이 증가함
- 금일 반입량은 515톤으로 전일대비 20.7% 증가하였으며 당진 35%, 무안 17%, 평택 12%,


태안 7%에서 출하됨
- 전일에 비해 무안, 당진 등 남부지방 물량 증가가 두드러짐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1,736원, 보통 12,87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8%, 2.4% 하락함.
- 최고가는 1,2700원으로 무안에서 출하되었고 평균단가는 10,130원이었음
-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경매시간대에 비가 내려 수요가 전반적으로 저조했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97.6 전일대비 -1.34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50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감소.
- 무안 53%, 함평 9%, 김천 9%, 해남 7%, 영광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80-500원, 함평 215-423원, 김천 160-310원 거래.
- 호남지역은 전일 우천으로 출하량 감소한 반면, 경상지역은 기상호조로 증가
-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재고증가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331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15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7% 감소.
- 경기 구리 20%, 고양 17%, 강동 9%, 포천 8%, 남양주 7%, 여주 7% 반입
- 구리 600-1,020원, 고양 530-1,200원, 포천 360-950원, 남양주 400-1,000원
- 경기지역 89%, 충청 8%, 전북 4% 차지함. 주말 초복 앞두고 수요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885원으로 전일대비 16%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15.2 전일대비 -26.73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18.5% 증가한 4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36톤, 홍피망 11톤이며,
- 출하지역은 강원 홍천(12%), 춘천(11%), 평창(11%), 전남 광주(18%), 나주(10%) 등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3,590원이며,
-
홍천 15,280원, 평창 15,520원, 춘천 15,590원, 광주 9,88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35.9% 증가한 31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7톤, 노랑 9톤, 주황 3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전북 김제(16%), 경남 김해(14%), 남해(12%), 강진(12%) 등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9,180원이며, 김제 11,930원, 김해 6,410원, 남해 7,27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8,490원, 노랑 9,690원, 주황 11,700원임
◇ 양상추, 브로코리 - 내림세
- 양상추 금일 법인 반입량 기준으로 전일보다 7.0% 증가한 70톤가량 반입됨
- 강원 춘천 19%, 횡성 26%, 평창 29%, 하동 2%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8,710원이며, 춘천 8,490원, 횡성 7,770원, 평창 10,19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59%), 충북 제천(20%), 중국(14%)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4,450원이며,
-
횡성 14,870원, 제천 15,890원, 괴산 23,000원, 중국 13,31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2.79 전일대비 -3.77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 우천으로 전일대비 10% 감소하여 180톤 반입
- 하지만 산지 작황 호전으로 전주대비 출하량 증가추세
- 장 형성시간 대에 우천으로 매기 약화
- 일반소비자의 구매력이 약화되면서 약보합세 형성
◇ 표고 - 하락세
- 표고 생산량 증가로 전일대비 53% 증가한 22톤 반입
- 충남 공주 12%, 경북 문경 11.9%, 경북 청도 7.2%, 경기 용인 6.3%, 충남 천안에서 5.8% 반입
- 영동 및 청남 지역 표고의 출하량 증가, 충남 부여 표고 감소 출하
- 급식업체 납품 및 군납 위주로 소비 이뤄짐
- 우천으로 상품성이 저하된 중, 하품의 가격 하락폭이 컸음
- 상품 4kg 평균 37,921원으로 전일대비 12%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7.42 전일대비 -1.51
《 강세 요인 》
○ 약세를 보였던 굴, 새꼬막 소비량 증가로 오름세
《 약세 요인 》
○ 최근 가격상승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재고량 증가하고 잦은 우천으로 소비량 감소
- 고등어, 갈치 가격상승으로 시장내 재고 증가하여 내림세
- 우천으로 소비량 감소한 수입낙지, 수입바지락 하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6.44 전일대비 -2.73
《 강세 요인 》
○ 삼치, 아귀, 숭어류, 생태 강세
- 삼치는 나라도, 여수산 생물 출하량 증가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2톤 증가하였음.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최근 반입량 부진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부족하고 금일 물량 상품성 양호로 오름세
- 아귀는 부산산 출하량 크게 늘어났으나 선도가 양호하고 체장이 커 강세
- 참숭어는 서산산 출하량 감소로 오름세를 보였고, 감숭어는 상품성 양호와 장마전선 약화로 횟감 수요가 소폭 늘어 오름세
- 생태는 출하량이 2톤가량 감소하였으나 금주 가격상승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하락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대구, 병어 하락세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났고 냉동물과 일본산 고등어 반입은 소폭 감소하였음. 생물고등어 시세는 최근 가격상승으로 재고량이 증가하고 금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를 보였음
- 갈치는 제주산 출하량 소폭 증가하고 일본산 냉장갈치 반입은 줄어들어 전체 반입량은 전일수준을 나타냄. 주중 잦은 우천으로 소비가 부진하여 재고량이 증가하면서 제주산은 하락세 형성. 일본산은 거래처의 고정 주문량 지속과 금일 반입감소로 보합세 유지
- 대구는 전일과 비슷한 반입량을 보였으나 저가의 중국산 반입비중이 늘어나면서 국내산도 내림세에 거래 - 병어는 산지 기상여건 악화와 조금철로 서남해안 어획량이 감소하여 반입량이 줄었으나 우천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충분하고 금일 물량이 체장이 작아 하락세

◈ 조개류 98.91
전일대비
-0.17
《 강세 요인 》
○ 산지 기상여건 호조로 거래 비중이 높은 대부분 품목의 반입량 증가,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 증가로 굴, 바지락, 새꼬막, 홍합 등은 강세

- 굴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통영(충무)산으로 산지 기상여건이 좋아지면서
반입량도 증가. 선도가 좋아 고정 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 증가로 오름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태안(안면도),서산산으로 선도는 양호하여 등급간 가격차이는 작았으나 전일대비 약세였고 수입산도 소량 반입되었으나 내림세. 반입비중이 많은 봉지바지락도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반입되었으나 선도가 좋아 지고 요식업소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새꼬막은 5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산지 기상여건 호조로 선도가 좋은 물량의 반입으로 거래량 증가, 전일대비 오름세
- 홍합은 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2톤 감소. 마산, 여수산으로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반입이 줄어 오름세, 일반 물량도 반입 감소로 오름세였으나 하품은 씨알이 잘고 폐사 및 파손품이 많았으나 중,상품의 대체수요로 오름세였으나, 요식업소의 수요 외에 일반 수요는 한산
《 약세 요인 》
○ 동죽, 해락, 가무락, 겉소라 등 약세
- 동죽, 해락은 서산, 인천산으로 상품성 하락과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서산,목포,인천산으로 흑모시의 반입이 줄면서 대부분이 중모시가 거래 되었고 수요처 한정으로 내림세
- 겉소라는 군산, 서천산으로 씨알이 큰 것은 반입이 적어 가격이 높았고, 씨알이 작은 것은 낮은 가격에 거래되었으나 전일대비 약보합세. 주수요처는 조개구이 및 해물탕 등 전문 요식업소였음

◈ 연체류 119.50 전일대비
-4.83
《 강세 요인 》
○ 대부분 품목이 국내산은 기상여건 악화로 반입량이 감소하여 수입 및 냉동물이 대체소비 량이 증가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였고 주 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약세 요인 》
○ 생물오징어, 낙지(산낙지,수입냉장낙지), 문어, 냉동주꾸미 약세
- 생물오징어는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동해안의 비로 인한 조업부진으로 서남해산이 주반입 되었음. 체낙기 물량은 반입이 줄었음에도 체장이 작아 약세였고 그 외의 물량은 반입량 감소에도 매기부진으로 보합세 형성
- 산낙지는 중국산 반입으로 내림세에 거래,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일본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중국산과 같은 가격대에 거래되었음. 상품성이 좋고 씨알도 골고루 반입되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어획부진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매기도 부진하여 내림세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