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8.10(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8.10(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87.93 전일대비 -3.45
《 강세 요인 》
○ 양념 채소류, 버섯류는 반입량 감소와 주말 앞둔 소매상 구매활발로 오름세
- 청양고추, 풋고추는 우천 영향으로 작업 부진하여 반입량 감소로 시세 상승
-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은 주말 요식업소 및 지방소매상 주문 증가로 상승세 거래
《 약세 요인 》
○ 서류, 잎, 열매, 서양 채소류는 소비지 우천으로 판매부진, 재고증가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는 전일 시세영향으로 출하량 증가하여 시세 하락. 얼갈이, 시금치는 재고증가
- 쥬키니호박, 양상추, 셀러리, 치커리는 전일 재고증가, 상품성 하락으로 판매부진.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7.78 전일대비 -21.13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67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9%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41%, 고창 17%, 익산 13%, 이천 9%, 해남 9%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2,000-24,000원, 고창 1,000-22,000원,
- 익산 5,000-24,000원, 이천 2,000-24,500원, 해남 2,500-22,00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고창, 해남 등 전라지역 출하량 증가로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1,213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261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7% 감소.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0%, 강릉 9%, 홍천 8%, 횡성 6% 등 반입
- 평창 2,000-25,000원, 강릉 3,000-19,000원, 홍천 2,000-26,000원 거래.
- 중부지방 우천으로 산지 작업 부진 출하량 감소. 소비시장 우천으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7,964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83.17 전일대비 -2.28
◇ 배추-내림세
- 반입량이 증가한데다 상품성 하락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577톤으로 전일대비 36% 증가하였으며 태백 31%, 정선 25%,
삼척 19%에서 출하됨
- 목요일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음에도 산지에서 작업량을 늘렸는데 잦은 비로 상품성 하락
속도가 빠르고 고랭지 출하시 출하량이 증가할 것을 우려하기 때문으로 보임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523원, 보통 3,353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0.3%, 3.9% 하락함
- 상품성 하락으로 상품화될 수 있는 물량이 적으며 출하된 물량도 꿀통, 짓무름 등 하자 물량이 많음
◇ 상추 - 오름세
- 전자경매 기준 56톤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충남 논산 등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33톤, 청상추 13톤, 적상추 8톤가량임.
- 적포기는 이천 29%, 논산 12%, 성남 10%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 적포기 평균가는 11,370원이며, 이천 10,150원, 논산 17,500원, 성남 12,150원
- 청상추는 이천 30%, 광주 23%, 용인 14%에서 출하되며
- 청상추 평균가는 5,340원이며, 이천 6,170원, 광주 5,600원, 용인 4,83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02.17 전일대비 -1.32
◇ 오이-오름세
- 잦은 비로 산지 수확량이 급감하면서 오름세가 이어짐. 특히 금일은 반입량이 적은데다 주말 수요까지
겹쳐 오름폭이 크게 나타남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146톤, 취청 49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4.9%, 9.3% 감소함
- 백다다기는 홍천 39%, 춘천 16%, 상주 8%에서 취청은 천안 41%, 화천 15%, 진천 12%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8,460원, 보통 19,439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8.2%, 17.5% 상승하였고
취청은 10kg상자 상품 12,613원, 보통 8,84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8.8%, 3.4% 상승함
- 백다다기는 홍천, 취청은 천안지역 물량이 상품성이 좋아 비교적 높게 거래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9.48 전일대비 -1.87
◇ 무-내림세
- 목요일 많은 비로 출하량이 적어 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346톤으로 전일대비 13.3% 감소하였으며 평창 48%, 정선 36%, 횡성 6%에서
출하됨
- 전일까지 3-4대가량 출하되던 양구물량을 금일 소량만(3톤)만 거래되어 거의 출하되지 않음
- 가격은 18kg상자 기준 상품 11,418원으로 1.7% 상승하였으나 보통은 9,335원으로 0.7% 하락함
- 반입량 감소에도 가격은 전반적으로 보합세였는데 주말임에도 가격부담이 높아 소비가 주춤함.
- 또한 우중에 작업된 물량이 많아 짓무르거나 크기가 비대한 물량 출하로 상품성이 떨어진 저가품
출하가 많아 가격 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77.78 전일대비 -7.86
◇ 생고추 - 오름세
- 강원도 지역의 연일 계속되는 비로 반입량 감소하여 큰 폭 상승함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 보다 13% 감소한 146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33톤, 일반풋고추 50톤, 꽈리 26톤, 홍고추 27톤 반입
- 청양 고추는 강원 인제, 춘천, 홍천, 경북 예천에서 출하되고 있음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6,610원이며,
-인제 17,080원, 춘천 13,990원, 홍천 6,270원, 예천 25,000원을 형성함
- 일반 풋고추는 춘천(28%), 홍천(23%), 인제(17%), 양구(3%) 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9,740원이며,
-춘천 11,590원, 홍천 7,010원, 인제 12,500원 가량임
- 꽈리 고추는 충남 당진(53%), 예산(33%), 횡성(3%) 등에서 출하됨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7,680원이며, 당진 7,350원, 예산 8,830원을 형성함
◇ 양파 - 약보합세
- 금일 649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증가.
- 무안 69%, 함평 15%, 김천 4%, 함양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64-592원, 함평 205-538원, 김천 300-365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 및 남부지방 기상호전으로 작업 증가하면서 반입량 늘어남
- 금일 상품 평균 426원으로 전일대비 6%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대파 - 내림세
- 금일 15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2% 증가.
- 경기 이천 22%, 평창 13%, 강릉 8%, 포천 8%, 남양주 7% 등 반입
- 이천 200-910원, 평창 250-920원, 강릉 240-1,020원, 포천 100-950원 거래
- 전일 시세영향으로 강원 및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금일 상품 평균 828원으로 전일대비 5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78.12 전일대비 -4.52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전일 보다 49.5% 감소한 25톤가량 반입됨
- 청피망 19톤, 홍피망 6톤이며 강원 인제(32%), 춘천(28%), 평창(7%), 홍천(9%에서 출하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6,710원이며, 인제 5,970원, 춘천 7,180원, 홍천 4,370원에 거래.
- 파프리카는 전일 보다 9.6% 감소한 23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1톤, 노랑 9톤, 주황 2톤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강원 춘천(18%), 횡성(10%), 전북 김제(8%), 경남 함양(8%) 등임
- 빨강파프리카는 7,730원, 노랑 8,960원, 주황 14,800원임
◇ 양상추, 브로코리 - 내림세
- 금일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11% 감소한 46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44%, 평창 3%, 여주 3%, 중국 9%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7,080원이며,
- 횡성 8,430원, 원주 7,000원, 평창 4,270원, 중국 7,96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32%), 제천(6%), 중국(33%)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2,900원이며,
-횡성 7,000원, 제천 19,060원, 중국 11,88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1.12 전일대비 -1.16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국적인 우천으로 인해 작업 부진으로 전일대비 2% 감소한 162톤 반입
- 표고의 출하량만 전일대비 53% 증가하였고, 나머지 버섯류는 전반적으로 감소 반입
- 본격적인 휴가철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전주대비 버섯류 가격 오름세 형성
- 금주 반입량 감소로 중도매인 재고량도 감소
◇ 느타리 - 상승세
- 균상느타리 주기현상으로 산지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전일대비 10% 감소한 28톤 반입
- 반입량이 감소하고, 주말 요식업소 및 유통업체 납품량이 증가하면서 가격 오름세 형성
- 경기 여주지역에서 출하가 20%가량 이뤄지는 등 경기도의 출하량이 많음
- 2kg 상품 평균 6,984원으로 전일대비 10% 상승
2. 수산물
가격지수 : 97.25 전일대비 -0.14
《 강세 요인 》
○ 주말을 앞두고 주문량 증가한 활 낙지, 홍합 오름세
《 약세 요인 》
○ 상품성이 저조한 물량이 반입된 연체류가 지수 하락주도
- 수입낙지는 상품성 떨어져 약세, 미더덕은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소비부진으로 시장내 재고 증가한 삼치, 굴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2.83 전일대비 +0.81
《 강세 요인 》
○ 고등어, 갈치, 대구, 병어, 숭어류 강세
- 고등어는 가락시장 경락가 하락으로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소비는 가격하락으로 다소 회복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소폭 상승함. 한편 일본산 고등어는 국내산 반입감소와 상품성 양호로 강세
- 갈치는 제주산과 일본산 출하량 증가하여 전일대비 4톤 증가하였음. 제주산 갈치는 반입량 늘었으나 주말기간 판매량 증가 기대로 오름세에 거래
- 대구는 안흥, 죽변산 반입량 줄어들면서 상품이 오름세를 나타내었으나 중품은 최근 반입량 증가 영향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충분하여 내림세
- 병어는 8KG상자 출하량이 감소하여 상승세에 거래되었고, 숭어류는 최근 우천으로 반입량이 부족하였고 주말을 앞두고 횟감 수요가 늘어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삼치, 청어, 아귀, 약세
- 삼치는 부산, 삼천포산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주중 우천으로 판매부진이 지속되면서 재고량이 누적되어 내림세.
- 청어는 포항산 반입되었으나 전일에 비해 상품성이 떨어져 내림세를 보였고, 아귀는 목포, 군산지역 출하량 증가하고 체장이 작아 내림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6.39 전일대비 +0.17
《 강세 요인 》
○ 새꼬막, 겉바지락, 홍합, 가무락(모시조개) 강세
- 새꼬막은 순천산 출하량이 전일대비 1톤 감소하였고 주말대비 요식업체 주문량 증가로 강세에 거래
- 겉바지락은 안면도, 순천산 반입량이 늘어났으나 전문점 수요 증가하였고, 영광지역 및 안면도산이 씨알이 커 상승세 주도함
- 홍합은 주말을 앞두고 식자재 업체 구매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여수, 마산산 출하량은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강세
- 가무락은 목포산이 반입되었고 전일에 비해 반입량 줄어 상승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굴, 봉지바지락, 깐바지락 약세
- 굴은 통영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3톤 증가하였고 주중 소비부진으로 시장내 재고량이 충분하여 내림세 형성
- 전일 강세를 보였던 봉지바지락은 가격상승으로 판매량이 저조하였고 금일 출하물량 상품성이 다소 떨어지면서 약세
- 깐바지락은 삼천포, 여수산 출하량이 줄어들었으나 선도 부진으로 하락세
◈ 연체류
가격지수 : 131.67전일대비 -2.47
《 강세 요인 》
○ 물오징어, 오만둥이, 산낙지 강세
- 물오징어는 주말 산지소비량 증가기대로 안흥 및 완도산 출하량 감소하여 전일대비 4톤 줄어들었음. 냉동오징어 반입도 감소하고 식자재 업체 구매량은 늘어나면서 오름세
- 최근 약세를 보였던 오만둥이는 마산, 여수산 반입량 증가에도 가격하락에 따른 소비량 회복으로 오름세 형성함
- 산낙지는 중국산 수입낙지가 반입되지 않아 녹동산 활낙지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주중 최고가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수입낙지, 미더덕, 문어 약세
- 수입낙지는 중국산이 반입되지 않았으나 소량 거래된 일본산 물량이 선도가 떨어져 약세
- 미더덕은 상품이 주말대비 수요증가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중품은 오만둥이 가격 저조로 수요가 분산되어 내림세
- 포항산 문어는 전일대비 반입량 줄어들었으나 상품성이 우수한 물량은 산지로 출하되고, 선도가 떨어지는 물량은 시장에 주로 반입되면서 하락세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