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11.08(목)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25.75 전일대비 1.25
《 강세 요인 》
○ 열매, 뿌리 채소류와 버섯류는 반입량 감소와 요식업소 주문 증가로 강세
- 가시오이, 늙은호박은 강원산 출하종료기로 경남지역 햇오이 중심으로 시세상승
- 박스 출하된 무 반입량 감소와 요식업소 수요 증가한 팽이버섯은 오름세
《 약세 요인 》
○ 잎, 양념,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반입량 증가와 상품성 떨어져 판매부진하여 약세
- 배추는 산지 작업량 늘면서 물량 증가, 상품성 저하된 미결구 배추로 매수세 약화
- 풋고추, 대파, 피망, 셀러리, 치커리는 일반 소매상 및 중소형마트 주문 감소로 내림세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15.93 전일대비 -1.14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95톤 출하되면서 전일 대비 5% 반입량 증가.
- 고구마는 여주 36%, 논산 26%, 서산 12%, 익산 7%, 고흥 4% 등 반입.
- 밤고구마는 여주 1,000-12,500원, 익산 2,500-12,000원,
- 호박고구마는 서산 1,500-16,000원, 논산 1,500-23,000원
- 여주, 논산 밤고구마 출하량 증가, 보령, 부안 호박고구마 물량 감소
- 전일 재고증가와 낮기온 상승으로 호박고구마 상품성 저하되면서 판매부진
- 금일 상품 평균 11,408원으로 전일대비 15% 하락하면서 내림세
◇ 감자 - 약보합세
- 금일 320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5% 반입량 증가.
- 수미종 감자는 평창 36%, 정선 10%, 홍천 9%, 김제 7% 등 반입
- 평창 2,000-25,000원, 정선 3,000-22,000원, 홍천 3,000-21,000원.
- 강원지역 우수상품 출하 조절로 상품성 저하되면서 판매부진으로 재고증가
- 김제산 이모작 가을감자 상품성 우수로 재고확보 위한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20,280원으로 전일대비 1%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41.09 전일대비 -2.03
◇ 배추-오름세
- 김장철을 앞두고 중부지방의 가을배추가 본격 출하되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826톤으로 전일대비 2.6% 증가하였으며 문경 10%, 당진 8%, 영양 8%, 영월 7%
등지에서 출하됨
- 금주들어 영양, 문경 등 경북 북부지방 물량이 본격 출하되면서 거래를 주도함
- 가격은 최고가 8,900원으로 청원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5,280원으로 전일에 비해 1,060원
떨어져 내림 폭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음
- 11월 들어 출하지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물량 부족현상이 일부 해소 되고 있는 만큼 향후 가격
내림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51.73 전일대비 35.63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77.03 전일대비 3.06
◇ 무-오름세
- 다발무가 본격 출하되면서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81톤으로 전일대비 19% 증가하였으며 다발무와 외대무의 반입비중은 65%, 35%
정도로 다발무가 거래를 주도함
- 다발무는 당진, 부안, 고창에서 출하되어 부안의 반입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외대무는 평택, 당진,
제천에서 출하됨
- 가격은 다발무 5톤 최고가 710만원으로 부안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401만원으로 전일대비
15만원 하락함
- 외대무는 최고가 18,000원으로 홍천에서 출하되었고 평균가격은 13,000원으로 500원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9.99 전일대비 -4.65
◇ 양파 - 강보합세
- 금일 466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2% 반입량 감소.
- 무안 50%, 해남 13%, 함평 8%, 신안 6%, 창녕 5%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250-860원, 해남 239-500원, 함평 272-633원 거래.
- 전남지역 주말 앞둔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중소형 마트 주말
- 판매 재고물량 확보위한 주문 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545원으로 전일대비 9% 상승하면서 강보합세
◇ 대파 - 내림세
- 금일 243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5% 반입량 증가.
- 경기 고양 22%, 이천 10%, 남양주 8%, 안성 7%, 영광 7% 등 반입
- 고양 1,120-1,830원, 이천 1,130-1,750원, 남양주 1,100-1,600원
- 전남 영광, 신안, 해남 등에서 출하량 늘면서 경기지역 가격하락 우려한
- 출하량 증대로 반입량 증가, 전일 재고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1,513원으로 전일대비 15% 하락하면서 내림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75.6 전일대비 -13.59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은 전자경매 기준 40톤 반입되었으며, 청피망 35톤, 홍피망 5톤 가량임.
- 광주 지역 출하량 크게 증가해 반입량 증가한 가운데, 고단가로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 거래
- 홍피망은 강원도 출하 비중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역시 소비 부진하여 하락함
- 파프리카는 11톤 반입되었으며, 빨강 4톤, 노랑 4톤, 주황 1톤임.
- 홍피망의 고단가로 빨강 파프리카는 대체 소비 증가하여 상승함
- 반입량 많지 않아 좋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지만, 시장 소비 부진하여 약세 거래됨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법인 반입량 기준)는 전일보다 34% 감소한 32톤 반입됨
- 금일 충남 당진, 예산, 경남 하동, 전남 광양 출하물량 감소하였음
- 반입량 감소해 물량 부족으로 오름세 거래되었고, 익일 주말장 수요 증가로 강세 전망됨
- 브로코리는 전자경매 기준 15톤가량 반입되어 전일 보다 31.9% 감소
- 중국산 수입 물량 감소로 시장 반입량 크게 줄어 오름세 거래됨
- 태풍 피해로 제주 지역 출하가 늦어지고, 생산량도 많지 않아 시장 반입량 감소로 강세 거래 전망
◈ 버섯류
가격지수 : 93.13 전일대비 1.79
◇ 버섯류 - 강보합세
- 전일대비 16% 감소한 174톤 반입
- 산지 작황은 호전했으나, 산지 격일 작업으로 인해 출하량 감소
- 오늘 반입량 큰 폭 감소로 시장 내 재고량 감소
- 주후반이 되면서 야외활동 수요 증가로 소비 활발
- 금일은 상품성에 따른 버섯의 시세격차 커짐
◇ 양송이 - 보합세
- 산지 출하조절로 전일대비 14% 감소한 15톤 반입
- 충남 부여 47%, 보령 43%, 논산 7%, 경기 평택에서 3% 반입
- 주중 급식업체 납품도 원만히 이뤄지고, 고정 납품처 수요 꾸준
2. 수산물
가격지수 : 105.06 전일대비 +0.08
《 강세 요인 》
○ 수산물 소비 원활한 가운데 김장철이 다가오면서 굴 수요 증가하여 상승세 주도
- 생태, 갈치는 가격하락으로 소비가 늘어나면서 재고량 감소하여 오름세
- 김장철을 앞두고 수요 증가한 굴, 반입물량 감소한 바지락 상승세
《 약세 요인 》
○ 전일 강세를 보였던 삼치, 고등어 반입물량 증가하며 내림세에 거래
◈ 생선류
가격지수 : 76.84 전일대비 -1.41
《 강세 요인 》
○ 생태, 갈치, 일본산 꽁치, 참조기, 부세, 광어
- 전일 반입량 증가로 약세를 보였던 생태는 금일 일본산 반입량이 4톤 증가하였으나 가을철 소비량 꾸준으로 시장내 재고 부족하여 상승세에 거래
- 갈치는 제주 지역 기상여건 양호로 채낚기 조업 순조로움을 보여 제주산 출하량 증가하였고 중국산 반입량도 늘어 전일대비 7톤 늘어남. 반입량 늘어났으나 기온하락으로 수산물 소비량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함
- 일본산 꽁치는 반입량이 다소 감소하였고 주초부터 시세가 꾸준히 하락하면서 소비수요가 증가하여 오름세에 거래
- 국내산 냉장 참조기는 제주, 군산, 목포에서 출하되었으며 제주산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감소하였음. 반입량 감소와 제주산이 체장이 커 시세 상승 주도
- 거래부진과 상품성 저조로 하락세를 보였던 중국산 부세는 금일 반입량이 늘어났음. 반입량 늘었으나 시장내 재고량이 부족하고 금일 물량이 선도가 우수하여 강세에 거래
- 자연산 광어는 군산, 서산을 중심으로 출하되고 있으며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소폭 줄어들었고 상품성 양호와 꾸준한 소비로 횟감 수요 늘어 오름세
《 약세 요인 》
○ 고등어, 삼치, 대구, 병어, 아귀, 감숭어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 원활로 부산산 생물고등어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전일에 비해 5톤 증가하였음. 반입물량 늘어났고 타 수산물 반입증가로 수요가 분산되어 내림세
- 삼치는 전일 가격상승에 따른 여수, 마산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 반입량이 5톤 늘어 하락세에 거래. 다만 언론 홍보에 따른 수요는 꾸준하여 단체 급식 수요가 많은 냉동삼치는 소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 대구는 군산, 보령산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반입량이 전일대비 5톤 증가하였고 최근 꾸준히 늘어난 물량으로 시장내 재고 충분하여 하락세에 거래
- 반입물량이 감소한 병어는 주초 시세 상승에 따른 판매부진 지속으로 시장내 재고가 늘어 내림세에 거래
- 아귀는 중국산 위주로 거래되었으며 국내산은 군산산이 소량 출하되었음. 국내산 반입 감소로 중국산은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며, 국내산은 체장이 작아 상품은 내림세를 나타냄.
- 감숭어는 군산, 여수, 서산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어황호조로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두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내림세
◈ 조개류 91.72 전일대비 +5.00
《 강세 요인 》
○ 굴, 바지락, 새꼬막, 겉소라, 동죽, 가무락 강세
- 굴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중굴은 통영산이 전체 반입량의 97% 이상을 점유, 김장 수요 증가로 전일대비 오름세였고 급식 및 요식업소 수요도 증가. 자연산 잔굴은 사천,남해,고흥산으로 반입감소와 수요처 한정으로 오름세
- 바지락은 12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태안(안면도)산 만 반입되었고, 북한, 중국산의 반입은 증가. 겉바지락은 소량 반입으로 오름세였고, 수입산은 반입증가로 보합세, 거래 비중이 높은 봉지바지락은 안면도산과 북한, 중국산으로 국내산의 반입 비중이 많았으나 가격은 북한산이 국내산보다 2-3,000원 정도 낮은 가격에 거래되었고 전일대비 오름세
- 새꼬막은 17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순천산이며 소포장의 거래가 늘면서 소포장은 오름세, 대포장은 약보합세였음. 대형유통업체와 전문 요식업소와 급식업체 수요증가
- 겉소라는 순천, 군산, 서천산이 반입됨, 산지, 등급 별로 가격 차이가 컸고 반입 감소로 오름세
- 동죽은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
- 가무락(모시조개)은 목포, 인천산만 반입됨. 목포산은 20kg, 인천산은 10kg 포장품으로 주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와 선도와 상품성이 좋아 오름세
《 약세 요인 》
○ 홍합, 해락 약세
- 홍합은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감소하였고 마산, 여수산이었음. 다듬이 물량은 고정 가격을 형성하여 가격 변화가 없고, 일반물량은 햇 홍합과 묵은 홍합과의 가격차이는 다소 있으나 전일대비 내림세
- 해락은 반입도 소량이고 선도도 부진하여 약보합세
◈ 연체류 82.25 전일대비 -5.18
《 약세 요인 》
○ 전 품목이 반입량 증가와 김장 수요에 밀려 약세에 거래
- 생물오징어는 29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8톤 증가로 동해안산만 반입되었음. 채낙기 물량이 대부분으로 체장과 선도가 양호하나 반입 증가로 내림세. 대형 유통업체 및 일반 중도매상의 물량 구매량 증가
- 수입낙지는 1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4톤 증가, 크기별로 고르게 반입되었고 거래량은 증가하나 반입 증가로 약보합세 . 전문 요식업소와 급식수요가 증가 추세
- 주꾸미는 3톤 반입되었음. 국내산은 여수, 군산, 서천산이 소량 반입되었으나 상품성에 따른 가격차이가 커 3배 이상의 가격차이를 보임, 수입산은 반입 증가와 대체품목인 냉장낙지의 가격하락으로 내림세였으나 상품성이 양호하며 요식업소의 수요가 증가
- 미더덕은 마산산으로 최근 가격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요식업소의 구매량 감소로 내림세
- 문어는 서산,군산산 소문어가 반입됨. 전문 요식업소가 주소비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산낙지는 수입산이며 냉장낙지의 대체소비 증가로 반입은 소량 임에도 가격은 보합세, 낙지 전문 요식업체의 물량 확보가 많았음
- 오만둥이는 마산,여수산이 반입되었음. 최근 가격이 높자 산지 출하량 증가로 가격은약보합세였으나 가격이 비싼 미더덕의 대체수요가 증가
※ 활 꽃게 서산, 인천산이 15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김장철로 접어들면서 재래시장의 구색품목 수요 감소로 전문 요식업소가 주 소비처임. 대형유통업체의 세일 품목으로 거래 증가는 꾸준하나 매기는 전반적으로 부진하여 보합세. 그물망으로 반입된 물꽃게는 kg당 암꽃게는 15-17,000원. 숫꽃게는 10-12,000원. 톱밥게는 35-36,000원선에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