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2.1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8.2.18(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8-02-18 11:45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1.16 전일대비 3.59

《 강세 요인 》
○ 주초장인데다, 대보름을 앞두고 나물류 등 소비 활발하여 전부류 오름세 거래
- 대보름 주요 성수품인 (봄)나물류와 건채류 등 반입량 증가하였고, 거래도 활발함
- 최근 늦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열매 및 엽채소류의 생산량 줄어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신학기 교육비 관련 소비 지출 증가와 봄방학 등에 따른 유통업체 및 가계의 농산물 소비 감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43.59 전일대비 6.47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08.92 전일대비 0.67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87.51 전일대비 3.59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21.13 전일대비 6.15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3.04 전일대비 10.59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64.98 전일대비 3.1


◈ 버섯류
가격지수 : 98.92 전일대비 2.25

◇ 버섯류 - 오름세
- 전일대비 16% 증가한 186톤 반입
- 주말 작업물량이 증가하여 버섯류 물량 증가
- 그러나 설 이후 버섯 재배면적과 작업량이 감소하여, 설 전 보다 반입량 감소
- 학교 봄방학 등으로 급식업체 구매 감소
- 졸업시즌으로 대형음식점 위주로 구매 활발
◇ 새송이 - 오름세
- 이틀 분 출하량 반입으로 전일대비 28% 증가한 55톤 반입
- 경북 김천 33%, 충남 천안 29%, 경북 상주 22%, 경남 함양에서 8.4% 반입
- 본격적인 졸업시즌으로 고기류 소비 상승세로,
- 고깃집 위주로 새송이버섯 구매 증가
- 상품 2kg 평균 6,283원으로 전일대비 2% 상승

2.
수산물







□ 패류(조개류 및 연체류) : 반입량 142톤 전일대비 31톤 증가

◈ 조개류 표준가격지수 : 105.61 전일대비 +0.72

○ 강세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동죽과 해락(동죽살), 홍합, 새꼬막(중), 굴
《 강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중등품 남해산과 상등품 군산산, 순천산이 주 반입. 중품 가격은 오름세, 상품 가격은 약보합세.
- 동죽과 해락(동죽살)은 서산산이 주 반입. 고정수요처 수요증가로 오름세.
- 홍합은 2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증가.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전문음식점의 수요 증가로 하품가격은 오름세, 중상품은 보합세
- 새꼬막(중)은 19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새꼬막(중, 7㎏) 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새꼬막(대, 17㎏) 가격은 약보합세
- 굴은 15톤 반입 전일과 같음. 고흥, 충무, 남해, 마산산이 주 반입. 고정수요처의 수요가 늘어 중품은 강보합세, 기타는 보합세

○ 약세품목 : 가무락(모시조개),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 겉바지락(17kg, 그물망), 봉지바지락(5㎏), 소라(피뿔고동), 깐홍합, 새꼬막(대)
《 약세 요인 》
- 가무락(모시조개)은 상등품은 남해산과 군산산이 주 반입. 상품 가격은 약보합세, 중하품은 순천산이 주 반입. 중하품 가격은 내림세.
- 바지락수입(20kg 그물망)은 22톤 반입 전일대비 8톤 증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겉바지락(17kg그물망)은 순천산이 주반입. 반입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봉지바지락(5㎏)은 전량 북한산으로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약보합세.
- 소라(피뿔고동)는 상품은 순천산이 주반입 중품은 고흥산이 주반입. 산지작업물량 감소 및 고정수요처의 수요 한정으로 중품은 내림세, 상품은 약보합세.
- 홍합은 2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마산·여수산이 주 반입됨. 설날 이후 전문음식점의 수요 감소로 가격은 보합세
- 깐홍합도 마산산과 여수산이 주 반입됨. 가격은 약보합세
- 새꼬막(대)은 19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전량 순천산이 주 반입.
새꼬막(대, 17㎏) 가격은 약보합세, 새꼬막(중, 7㎏) 상품 가격은 강보합세

◈ 연체류 가격지수 : 95.26 전일대비 +6.59

○ 강세품목 : 물오징어(중,하품), 쭈꾸미(중품), 문어, 오만둥이, 냉동낙지(10㎏상자), 쭈꾸미수입, 낙지수입, 활(산)낙지수입
《 강세 요인 》
- 물오징어는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상품은 삼천포산, 중품은 거제도산, 하품은 부산산이 주반입, 중하품 가격은 오름세, 상품은 약보합세
- 쭈꾸미(중품)는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국내산은 장항산이 주 반입, 반입량 감소 및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중품 가격은 오름세
- 문어는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도 오름세, 포항산 소문어 가격은 내림세,
- 오만둥이는 마산산,여수산이 주 반입되었음. 고정수요처 수요가 늘어 상품가격은 오름세, 중품은 강보합세
- 냉동낙지(10㎏상자) 설 이후 수입부진으로 반입물량 감소로 전량 중국산으로 10㎏상자 상품 가격은 오름세, 7㎏상자 상품 가격은 내림세
- 쭈꾸미수입은 2톤 반입 전일대비 1톤 감소, 중국산이 주 반입 반입물량 감소로 가격은 상품은 강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 낙지수입은 2톤 반입으로 전일과 같음. 전량 중국산으로 고정 수요처의 수요가 증가로 가격은 강보합세
- (활)산낙지수입는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대,중품은 보합세이나 소품은 강보합세

○ 약세품목 : 미덕덕, (활)산낙지수입, 문어, 쭈구미(상품),
《 약세 요인 》
- 미덕덕은 6톤 반입대비 5톤 증가. 마산산이 주반입 반입물량 증가로 가격은 내림세
- (활)산낙지수입는 중국산이 주 반입, 가격은 내림세
- 문어는 포항산 소문어 가격은 내림세, 포항산 대문어 및 포항산 중문어 가격도 약보합세
- 8㎏팬 냉동오징어 6톤 반입 전일대비 6톤감소. 일반 가격은 전일과 같으나, 8㎏ 팬 부산산 연안 선동 냉동오징어는 약보합세
- 쭈꾸미(상품)는 국내산은 군산산이 주 반입, 전문요식업소의 수요 한정으로 가격은 상품은 약보합세, 중품은 오름세

□ 건어류 : 물량은 57톤 반입 전일대비 34톤 증가
◈ 건어류 가격지수 : 138.04 전일대비 +1.82

○ 강세품목 : 참굴비(20마리 중,상품), 코다리명태, 건오징어 원양(중품)
《 강세 요인 》
- 참굴비는 20마리 중,상품 가격은 오름세, 10마리 상,중,하품은 보합세
- 코다리명태는 중품은 강보합세
- 건멸치는 23톤 반입 전일보다 1톤 증가, 반입물량 증가에도 학교 급식 대비 물량확보로 전문음식점 등의 수요증가로 건멸치 가격은 전반적 강보합세,
- 건오징어는 5톤 반입 전일대비 4톤 증가, 건오징어 원양 중품은 오름세
《 보합세 요인 》
- 건명태는 5톤 반입 전일과 같음 가격은 보합세
- 김은 16톤 반입 전일대비 8톤 증가 가격은 보합세
- 미역은 2톤 반입 전일보다 1톤 감소 가격음 보합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