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6.2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6.22(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6-22 08:24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31.52 전일대비 3.98
《 강세 요인 》
○ 잎, 뿌리, 서양 채소류와 서류는 장마로 인해 산지작업 부진, 반입량 감소로 시세상승
- 배추, 시금치, 무, 알타리는 출하량 감소와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양상추, 파세리, 감자는 반입량 줄고 납품업체 주문 증가하면서 오름세 거래


《 약세 요인 》
○ 열매채소류, 버섯류는 상품성 저하와 지방소매상 주문 감소로 내림세
- 노각오이, 단호박은 장마철 재고기피를 위한 출하량 증가와 소비부진으로 시세하락
- 양송이, 생표고는 전일 우천으로 판매부진하여 재고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3.54 전일대비 1.46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16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0% 감소. 고구마는 여주 97%,
- 원주 2% 등 반입. 밤고구마 93%, 호박고구마 7% 차지
- 밤고구마는 여주산 1,000-23,000원, 원주 3,000-8,0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산 1,000-25,000원에 거래. 전일 장마영향으로
- 산지작업 부진하면서 출하량 감소.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
- 상품 평균 16,395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감자 - 오름세
- 금일 283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51% 감소.
- 수미종 감자는 괴산 20%, 당진 14%, 서산 12%, 보성 9%, 강릉 4% 등 반입
- 괴산 2,500-26,000원, 당진 2,500-34,500원, 서산 2,000-36,500원 거래.
- 전일 우천영향으로 산지 출하량 감소. 주말 앞두고 재고확보용 매수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5,611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62.27 전일대비 16.91
◇ 상추 - 오름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74톤으로 전일보다 4.4%가량 감소하였으며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등지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53톤, 청상추 15톤, 적상추 3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6,300원이며, 이천 5,900원, 용인 6,300원, 광주 5,900원,
- 적상추 평균가는 4,500원이며, 남양주 5,200원, 이천 4,700원, 여주 3,800원,
- 청상추 평균가는 4,800원이며, 이천 4,800원, 광주 6,100원, 성남 6,80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6.61 전일대비 -2.1
◇ 오이-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백다다기 490톤, 취청 75톤으로 전일대비 각각 7.7%, 22.3% 증가함
- 백다다기는 천안 19%, 아산 17%, 춘천 23%에서 취청은 구례 30%, 순천 15%, 춘천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0,537원, 보통 17,445원으로 8.6%, 6.6% 상승하였고
- 취청은 상품 40,342원, 보통 32,310원으로 각각 0.7%하락, 7.3%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227.96 전일대비 15.99
◇ 무-오름세
- 산지 출하대기 물량이 적은데다 장마가 시작되면서 수요량 증가로 오름세 지속됨
- 금일 반입량은 445톤 전일대비 12.3% 감소하였으며 서귀포 26%, 부안 19%, 태안 13%에서 출하됨
- 제주지역의 봄무 출하가 늘면서 서귀포시 출하량 증가가 두드러짐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22,868원, 보통 17,494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5.1%, 11.7% 상승함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22.35 전일대비 1.72
◇ 양파 - 보합세
- 금일 874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증가.
- 무안 54%, 해남 20%, 김천 7%, 부안 5%, 함양 3%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10-392원, 해남 132-342원, 김천 165-286원 거래.
- 장마시작으로 무안지역 저장 늘면서 해남, 김천지역 시세상황 고려한 출하 증대
- 금일 상품 평균 301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오름세
- 금일 162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0% 감소.
- 경기 구리 24%, 남양주 16%, 포천 16%, 고양 22%, 서산 5% 등 반입
- 구리 900-1,150원, 남양주 920-1,220원, 포천 850-1,100원, 고양 880-1,180원
- 전일 우천영향으로 경기지역 출하량 감소. 주말 앞두고 지방소매상 주문 증가
- 금일 상품 평균 1,046원으로 전일대비 10% 시세 상승하면서 오름세
◇ 생고추 - 오름세
- 금일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0.7% 감소한 203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69톤, 일반풋고추 59톤, 꽈리 35톤, 홍고추 28톤 반입.
- 청양은 경남 밀양 53%, 경북 예천 19%, 전남 광주 11%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9,200원이며, 예천 25,500원, 광주 26,100원, 밀양 15,800원임
- 일반 풋고추는 충남 공주(40%), 경남 밀양(12%), 창녕(3%) 등지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20,000원이며,
-
공주 22,200원, 밀양 16,700원, 횡성 25,10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47%)과 예산(43%)에서 주로 출하되며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10,000원이며, 예산 10,300원, 당진 9,900원을 형성함.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64.88 전일대비 18.98

◇ 피망,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42.5% 증가한 57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45톤, 홍피망 11톤이며,
- 주 출하지역은 횡성(38%), 진주(20%), 광주(13%), 나주(13%) 등지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0,200원이며, 횡성 10,900원, 진주 6,000원, 광주 13,000원에 거래됨
- 홍피망 전체 평균가는 16,200원으로 전일보다 13%가량 하락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15.0% 증가한 31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7톤, 노랑 11톤 주황 3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화순(12%), 화성(9%), 함양(8%), 진천(6%) 등지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12,100원이며, 화순 11,700원, 함양 12,100원, 진천 13,30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11,200원, 노랑 12,000원, 주황 17,600원임.
◇ 양상추,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반입량 법인 반입량 기준 전일보다 14% 감소한 51톤가량 반입됨.
- 강원 춘천 32%, 횡성 30%, 여주 16%, 평창 8%, 충북 단양 8%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5,700원이며,
-
춘천 16,300원, 횡성 15,200원, 평창 17,500원, 여주 17,10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73%), 충북 제천(24%)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4,900원이며, 횡성 14,900원, 제천 14,70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93.69 전일대비 -3.49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2% 감소한 166톤 반입
- 우천으로 인한 산지 작업여건 여락과 작황부진 및 재배부진으로 출하량 감소
- 전일 장 형성 시간대 우천으로 인해 장세 약세 형성
- 급식업체 납품 꾸준
- 우천으로 도보상인 구매 감소


◇ 표고 - 약보합세
- 전일대비 31% 감소한 16톤 반입
- 전일 충청도 지역의 강우량이 많아 그 지역 작업량이 줄면서 시장 출하량 감소
- 경기 화성 9.7%, 용인 8.1%, 경북 청도 8.1%, 강원 고성 6.3%, 충남 보령에서 5.2% 반입
- 금일은 경기 화성 조암지역의 표고 대량 출하됨
- 반입량 감소폭에 비해 납품업체 납품 감소폭이 커 가격 약보합세
- 우천으로 인해 습도가 높아지면서 상품성 하락한
물량 증가
- 특상품은 보합세, 상품성이 좋지않은 중하품은 하락세 형성
- 상품 4kg에 37,010원으로 전일대비 1% 상승
- 하품 4kg에 11,881원으로 전일대비 15% 하락


◈ 조개류 104.00 전일대비 +1.65
《 강세 요인 》
○ 전국적인 장마 비로 산지작업이 부진하여 오른 품목이 많음
○ 바지락, 동죽, 겉소라, 모시조개 강세
- 바지락은 6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수입산이 소량 반입되어 선도와 굵기에 따른 등급간 가격차이는 있었고 국내산은 서산과 군산, 순천산이 반입되었으나 선도 양호와 반입량 증가에도 주말 물량 확보로 소폭의 오름세
- 동죽은 서산산이 주반입 되었고 등급간 가격차이는 크나 반입량이 적어 오름세
- 겉소라는 군산, 서천산으로 반입량은. 소량이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소비로 중상품은 강보합세, 하품은 내림세
- 모시조개는 인천, 서산, 중국 수입산이 소량씩 반입 되었으나 포장규격이 일정치 않아 소포장 위주로 거래되었고 강보합세로 거래되었음. 고정수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가정수요는 한산하였고 가격이 높아 거래량은 감소
《 약세 요인 》
○ 굴, 새꼬막 약세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통영(충무)산으로 반입량은 소량씩 꾸준하였으나 기온상승으로 매기가 부진하여 내림세였고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5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반입량은 꾸준하나 일반 가정수요 보다는 요식업소의 소비가 많았고 기온상승으로 소비가 위축되어 소폭의 내림세에 거래
요처인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가정수요는 한산하였고 가격이 높아 거래량은 감소

◈ 연체류 113.06 전일대비 +9.85
《 강세 요인 》
○ 비로 인한 조업부진과 수입 물량 감소로 전체 반입량이 감소하여 대부분 품목이 오름세
○ 수입낙지,산낙지,미더덕,우렁쉥이 강세
- 수입낙지는 3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일본산은 씨알이 큰 낙지로 소량 반입되어 5kg상자당 34,000 - 35,000원선에 중국산은 잔낙지로 4kg당 31,000-20,000원선에 거래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반입이 적어 오름세였고 선도도 좋은 편이었음
- 산낙지는 고흥산의 반입으로 중국산의 반입은 없었고 전일대비 오름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량 감소로 전일대비 오름세였으나 수요처 한정으로 거래량은 많지 않았음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비로 인한 산지 작업부진으로 반입량이 줄어 가격은 강보합세. 일본 수입산은 5kg상자당 14,000원에 거래
- 생물오징어는 10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5톤 감소. 출하지역은 확산되었으나 비로 인한 조업부진으로 반입량은 감소. 체낙기 물량은 반입비중과 선호도가 높아 오름세였고 체장이 작고 트롤어획품은 등급간 가격 차이가 컸고 내림세
《 약세 요인 》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