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7.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7.3(화)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7-03 08:33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11.74 전일대비 -3.08
《 강세 요인 》
○ 열매, 양념 채소류는 장마로 반입량 감소와 시장내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쥬키니, 애호박, 단호박, 가지 등 산지 우천으로 출하량 감소
- 꽈리고추, 청양풋고추는 재고소진과 지방소매상 및 납품업체 주문 증가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잎, 뿌리, 서양 채소류와 버섯류는 상품성 저하로 판매부진하여 내림세
- 배추는 영월, 봉화, 청송 등에서 출하되었으나 장마로 상품성 떨어져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무, 청경채, 양상추, 느타리, 생표고 버섯은 납품업체 주문 감소로 재고증가하여 시세 하락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21.09 전일대비 -0.99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3.19 전일대비 -12.33
◇ 배추-내림세
- 반입량 감소에도 재고 누적과 상품성 저하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635톤으로 전일대비 12.6% 감소하였으며 평창 38%, 횡성 19%, 영월 12%,


여주 6%에서 출하됨
- 출하지가 강원지역으로 집중되는 가운데 강원지역도 영월은 끝물로 반입량이 줄어들고 횡성(둔내),



평창(계촌)지역으로 비중이 높아짐
- 가격은 10kg그물망 기준 상품 4,024원, 2,622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9.7%, 35.5% 하락함
- 전일 주초임에도 소비가 적어 재고가 많았고 우중 작업으로 물기가 묻고 짓물러 상품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음
- 청송지역이 여전히 상품성이 좋아 최고가에 거래되었으며 출하량이 가장 많은 평창은 중품 시세에


거래된 물량이 많음

◇ 상추 - 내림세
- 전자경매 기준 65톤 반입되어 전일보다 3.2% 감소함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등 경기 일원이며,
- 품종별로는 적포기 41톤, 청상추 16톤, 적상추 6톤가량임.
- 적포기 전체 평균가는 8,060원이며, 이천 8,040원, 여주 7,570원, 광주 8,040원,
- 적상추 평균가는 6,220원이며, 이천 7,460원, 남양주 5,200원, 구리 4,940원,
- 청상추 평균가는 4,850원이며, 용인 5,010원, 광주 6,300원, 성남 4,970원에 거래됨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133.11 전일대비 21.18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7.38 전일대비 -25.47
◇ 무-내림세
- 전일 우천으로 소비가 크게 둔화되면서 재고 누적으로 내림세
- 금일 반입량은 407톤으로 전일대비 21.8% 감소하였으며 고창 23%, 태안 19%, 당진 16%에서


출하됨
- 충청, 전라 지역에서 주 출하된 가운데 소량이지만 강릉, 영월, 평창 등 강원지역에서 일부 물량이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11,660원, 보통 8,19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19.6%, 21.8% 하락함
- 반입량 감소에도 재고물량이 많았고 우중작업인데다 미리 작업해 둔 물량도 보관기관이 길어


상품성도 전반적으로 떨어짐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11.05 전일대비 -5.13
◇ 생고추 - 오름세
- 반입량이 많지 않은 반면, 소비는 활발하여 오름세
- 생고추 전체 반입량은 전일보다 14.5% 감소한 183톤(전자경매기준)가량 반입.
- 품종별로는 청양 49톤, 일반풋고추 67톤, 꽈리 35톤, 홍고추 20톤 반입.
- 청양은 밀양 29%, 경북 예천 34%, 전남 광주 18%의 분포를 보임
- 청양(10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25,140원이며, 예천 32,110원, 광주 24,270원, 밀양 19,400원임
- 일반풋고추는 강원도 물량 증가 추세이며,공주(34%),홍천(16%),춘천(5%),횡성(3%)등에서 출하되며
- 일반 풋고추(10kg 기준) 전체 평균가는 15,260원이며,
-
공주 14,590원, 춘천 20,250원, 홍천 17,820원, 횡성 15,470원 가량임.
- 꽈리고추는 충남 당진(43%)과 예산(51%)에서 주로 출하되며
- 꽈리(4kg 기준) 전체 평균 가격은 6,460원이며, 예산 6,680원, 당진 6,070원을 형성함.

◇ 양파 - 보합세
- 금일 52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19% 감소.
- 무안 77%, 함평 6%, 해남 5%, 신안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33-385원, 함평 170-292원, 해남 185-253원 거래.
- 금일 전남지역 출하량 조절로 반입량 감소. 무더위로 판매부진 재고증가
- 금일 상품 평균 314원으로 전일대비 1% 시세 상승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17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 증가.
- 경기 구리 25%, 고양 17%, 포천 13%, 남양주 11%, 강동 8% 등 반입
- 구리 750-950원, 고양 700-1,070원, 포천 650-920원, 남양주 700-970원
- 중부지방 장마전선이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경기지역 출하량 증가
- 더위로 상품성 저하, 지방 소매상 주문 감소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921원으로 전일대비 3% 시세 하락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42.27 전일대비 -12.35
◇ 피망 - 내림세, 파프리카 - 오름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78.2% 증가한 39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34톤, 홍피망 4톤이며,
- 주 출하지역은 광주(16%), 나주(17%), 춘천(14%), 평창(10%), 횡성(11%) 등지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14,970원이며,
-
춘천 18,090원, 평창 15,580원, 광주 12,710원, 나주 9,68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보다 94.1% 증가한 19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빨강 10톤, 노랑 7톤 주황 1톤 가량이며
- 출하 지역은 전남 화순(15%), 경기 화성(13%), 경남 김해(11%), 충북 진천(6%) 등지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9,860원이며,화순 6,980원,화성 12,840원,김해 6,150원,진천 10,080원임
-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9,160원, 노랑 9,640원, 주황 16,520원임.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반입량 법인 반입량 기준 전일보다 11.2% 감소한 53톤가량 반입됨.
- 강원 횡성 39%, 춘천 29%, 평창 18%, 영월 2%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9,890원이며, 횡성 9,240원, 춘천 7,510원, 평창 14,32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역(전자경매기준)은 강원 횡성(73%),충북 제천(19%),용인(4%),괴산(2%) 등지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13,400원이며, 횡성 13,700원, 제천 13,100원, 용인 8,25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76.98 전일대비 -2.26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8% 감소한 175톤 반입
- 전일 우천으로 인해 약세장 형성
-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습한 날씨로 버섯 소비성 하락
◇ 새송이 - 약보합세
- 전일대비 9% 감소한 53톤 반입
- 우천으로 인해 반입량 감소
- 충남 천안 25.8%, 경북 김천 21.7%, 상주 8.6%, 경기 안성 5.6%, 경북 구미에서 3.8% 반입
- 경상도 김천 지역 봉지 새송이 출하량 증가, 전라도 화순 및 무안 벌크 새송이 출하량 감소
- 새송이 요식업소 수요 주춤
- 급식용 납품 꾸준

2. 수산물
가격지수 : 97.05 전일대비 -3.51
《 강세 요인 》
○ 반입물량 감소한 일본산 갈치, 문어, 수요증가한 건오징어 강세
《 약세 요인 》
○ 주초 식자재 업체 매수세 마무리와 장마전선 약화로 생물 반입량 증가
- 전일 강세를 보였던 미더덕, 봉지바지락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 물오징어, 굴, 삼치 식자재 업체 매수세 둔화로 내림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1.21 전일대비 -2.31
《 강세 요인 》
○ 냉동고등어, 갈치, 일본산 갈치, 대구 강세
- 고등어는 대형선망 조업 중단으로 국내산 생물 물량은 출하되지 않았고 일본산 물량이 주로 거래. 부산산 냉동고등어는 부산산 생물출하 감소로 수요가 늘어 오름세
- 갈치는 제주 지역 조업여건 악화와 월명기로 인해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일본산 반입량도 줄어들어 오름세에 거래.
- 일본산 망갈치는 국내산 대형어 공급량 부족에 따른 대체 수요 증가로 오름폭이 컸음
- 대구는 동해안산 출하량 증가하여 1kg단위는 약세를 보였으나 8kg상자는 선도가 좋은 보령산 반입으로 강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생태, 부세, 삼치, 아귀하락세
- 생태는 일본산 반입량이 전일대비 1톤 가까이 증가하였고 장마전선이 소강상태를 보이며 기온이 상승할 것으로 보여 내림세
- 강세를 보였던 중국산 부세는 반입량 줄어들었으나 전일 판매부진에 따른 시장내 재고 누적으로 하락세
- 삼치는 여수, 나라도산 생물 출하량이 늘어났고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마무리로 중도매인 구매량이 줄어들면서 하락세에 거래
- 아귀는 부산 및 중국산 출하량 감소하였고 국내산은 삼천포산 위주로 거래되었음. 전문점 수요 감소와 체장이 작아 내림세

◈ 조개류 104.73
전일대비
-9.93
《 약세 요인 》
○ 전국적인 장맛비로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전일 높은 가격형성에 따른 가격부담으로

고정 수요처의 구매량 감소로 전품목 약세에 거래

- 굴은 3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감소. 통영(충무)산이며 계속된 비로 반입량은 감소하였고 상품성도 낮아 거래 부진으로 내림세
- 바지락은 9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겉망바지락은 태안(안면도),서천,서산산으로 소량 반입에도 전일 가격이 높게 형성 됨에 따른 가격 부담으로 내림세였고 수입산의 반입은 없었음. 봉지바지락은 국내산과 수입산이 동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증가에도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새꼬막은 순천산으로 7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반입량은 꾸준하며 일반 가정수요는 거의 없고 요식업소의 밑반찬으로 수요가 꾸준하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
- 홍합은 8톤 반입되어 전일과 같음. 마산, 여수산으로 상품성이 좋은 다듬이 물량은 보합세이나 일반 물량은 내림세였고 매기도 부진하였음
- 동죽은 서산,서천,인천산으로 반입량이 늘었고 다른 조개류 가격의 하락으로 내림세
- 겉소라는 군산, 서천산으로 반입량은. 소량이나 포장단위가 일정치 않고 등급간 가격차이도 컸음.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 모시조개는 인천, 서산산이 소량씩 반입 되었으나 포장규격이 일정치 않아 소포장 위주로 거래되었으나 전문 요식업소 외에는 매기부진으로 약세


◈ 연체류 112.89
전일대비
-12.73
《 강세 요인 》
○ 낙지(수입냉장),문어 강세
- 수입낙지는 4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1톤 증가. 일본산은 소량 반입되었으나 씨알이 굵고 상품성이 낮아 중국산에 비해 낮은 가격에 거래, 중국산은, 선도가 양호하고 고정 수요처의 물량 확보로 오름세
- 문어는 포항, 속초산 중,소문어 위주로 반입되었으나 반입량 감소로 강세
《 약세 요인 》
○ 오징어, 미더덕, 오만둥이, 산낙지, 냉동주꾸미, 우렁쉥이 약세
- 생물오징어는 18톤 반입되어 전일대비 3톤 증가. 산지 기상여건 악화에도 반입량은 증가하였고 동해근해산 보다는 남해산인 목포, 완도산의 반입이 많았음. 체장이 작은 체낙기 물량은 내림세, 그물오징어는 상품성이 낮아 보합세였고, 급식 납품 수요가 많은 냉동 물량은 수요는 증가하나 물량이 많아 보합세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등급간 가격 차이가 작았고 수요처 한정으로 전문 요식업소 외에 일반 가정수요는 한산하여 내림세
- 산낙지는 중국산으로 매기부진으로 약세, 주소비처는 전문 요식업소였음
- 주꾸미는 중국산 냉동 물량이 주거래 되었으나 고정 수요처의 꾸준한 거래로 약보합세
- 우렁쉥이는 통영산으로 씨알이 작고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가격은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