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6.2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07.6.29(금)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담당부서 전산정보팀
문의 0234350314
수정일 2007-06-29 08:49





※ 우리공사에서 제공하는 가격동향 및 표준가격은 자유로이 인용 · 전재 할 수 있으나, 출처는 반드시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산물

가격지수 : 107.13 전일대비 0.7
《 강세 요인 》
○ 열매, 잎, 양념, 서양 채소류는 전일 우천으로 출하량 감소, 재고소진으로 오름세
- 취청오이, 늙은호박, 배추, 시금치는 전일 재고소진으로 중도매인 매수세 증가
- 청양고추, 치커리, 청경채는 주말 앞두고 소매상 주문 증가하면서 시세 상승

《 약세 요인 》
○ 뿌리채소류와 서류, 버섯류는 장마영향으로 상품성 떨어져 판매부진하면서 내림세
- 영암, 해남 등 남부지방 무가 상품성 저하되면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고구마, 감자는 전일 재고증가, 양송이, 새송이, 팽이버섯은 납품업체 주문 감소

◈ 고구마 감자류
가격지수 : 108.11 전일대비 -25.8
◇ 고구마 - 내림세
- 금일 20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11% 증가. 고구마는 여주 68%,
- 익산 32% 등 반입. 밤고구마 94%, 호박고구마 6% 차지
- 밤고구마는 여주산 1,000-25,000원, 익산 1,000-11,000원
- 호박고구마는 여주 1,000-26,000원에 거래.
- 산지 날씨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출하작업 활발로 반입량 증가
- 저장 고구마 상품성 저하로 세척고구마 출하 증가. 주말 재고회피로
- 장마철 주말 재고회피로 중도매인 구매력 저하
- 상품 평균 18,505원으로 전일대비 12%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거래
◇ 감자 - 내림세
- 금일 369톤 출하되면서 전일대비 26% 감소.
- 수미종 감자는 당진 24%, 해남 9%, 괴산 6%, 평창 6% 등 반입
- 당진 2,000-32,000원, 해남 2,500-13,000원, 괴산 2,000-25,000원 거래.
- 전일 시세하락 영향으로 반입량 감소. 각급학교 기말고사 관계로 급식수요 감소
- 장마철 습한 날씨로 가정용 소비 줄면서 소매상 주문 감소.
- 금일 중품 평균 10,049원으로 전일대비 11% 시세 하락하면서 내림세

◈ 잎채소류
가격지수 : 119.11 전일대비 3.55
◇ 상추 - 오름세
-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60톤으로 전일보다 15.2% 감소함
- 주 출하지역은 경기 이천, 광주, 용인, 성남 등 경기도 일원이 대부분임
- 품종별로는 적포기 42톤, 청상추 11톤, 적상추 4톤가량임.
- 적포기 평균가는 4,330원, 이천 4,220원, 광주 5,500원, 용인 3,580원,
- 적상추 평균가는 3,850원, 남양주 4,840원, 광주 2,650원, 이천 2,940원,
- 청상추 평균가는 3,930원, 용인 3,050원, 광주 5,290원, 성남 3,920원에 거래

◈ 열매채소류
가격지수 : 92.59 전일대비 9.49
◇ 오이-오름세
- 금일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백다다기 341톤, 취청 51톤이 반입됨.
- 백다다기는 춘천 21%, 천안 12%, 아산 19%, 취청은 춘천 10%, 구례 8%, 순천 5%, 여주 9% 출하
- 가격은 백다다기 100개 상품 22,950원으로 전일대비 9.4% 상승하였음
- 취청은 20kg상자 기준 상품 15,730원, 보통 11,380원으로 전일대비 각각 20.9%, 36.3% 상승함

◈ 뿌리채소류
가격지수 : 155.95 전일대비 -9.18
◇ 무 - 하락세
- 금일 무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 438톤으로 고창 33%, 태안 15%, 당진 11%,제주 10%에서 출하됨
- 가격은 18kg마대 기준 상품 12,990원, 보통 8,560원으로 전일대비 12.5%, 25.4% 하락함
- 지역별로는 태안, 당진 등 충청지역이 상품성이 좋아 높은 가격을 형성함.
- 봄무 전체 평균 가격은 10,120원 이었으며
- 지역별로는 태안 13,610원, 당진 10,320원, 고창 9,710원, 제주 7,050원 가량임

◈ 양념 채소류
가격지수 : 106.73 전일대비 6.05
◇ 양파 - 보합세
- 금일 777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8% 증가.
- 무안 67%, 해남 8%, 신안 4%, 부안 4%, 김천 4% 등 차지함
- 무안산 kg당 115-560원, 해남 180-235원, 신안 170-333원 거래.
- 남부지방 장마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출하작업 활발로 반입량 증가
- 무더위로 상품성 저하되고 주말 재고회피로 중도매인 매수세 약화
- 금일 상품 평균 288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하락하면서 보합세 거래
◇ 대파 - 약보합세
- 금일 191톤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4% 증가.
- 경기 남양주 24%, 고양 10%, 강동 10%, 포천 8%, 구리 8% 등 반입
- 남양주 550-800원, 고양 400-870원, 포천 630-770원, 서산 300-1,050원
- 산지 기상상태가 호전되면서 중부지방 출하량 증가. 충남 서산지역
- 노지파는 상품성 우수로 매수세 증가하면서 특상품 시세주도
- 금일 특품 평균 949원으로 전일대비 2% 시세 상승하면서 약보합세

◈ 서양 채소류
가격지수 : 138.94 전일대비 10.71
◇ 피망 - 오름세, 파프리카 - 내림세
- 금일 피망 반입량은 전자경매 기준으로 전일보다 34.6% 감소한 24톤가량 반입됨
- 품종별로는 청피망 17톤, 홍피망 7톤이며,
- 주 출하지역은 전남 광주(35%), 강원 홍천(17%), 춘천(13%), 평창(7%) 등지임
- 청피망 전체 평균가는 9,190원이며, 춘천 14,220원, 홍천 10,670원,

- 평창 10,340원, 광주 8,580원에 거래됨
- 파프리카는 전일과 비슷한 27톤가량 반입되었으며, 품종별로는 빨강 11톤, 노랑 12톤
-
주황 3톤 가량임.
출하 지역은 마산(17%), 익산(10%), 하동(13%), 진천(6%) 등지임.
- 파프리카 전체 평균가는 10,710원이며, 마산 6,860원, 익산 8,710원, 하동 13,240원,
-
진천 11,830원임.
색깔별 평균 가격은 빨강 10,610원, 노랑 10,860원, 주황 11,650원임
◇ 양상추 - 내림세, 브로코리 - 오름세
- 양상추 금일 반입량 감소에도 소비 부진하여 내림세
- 강원 춘천 40%, 횡성 29%, 평창 25%, 영월 4%의 분포를 보임.
- 양상추 전체 평균은 11,790원, 춘천 11,990원, 횡성 10,930원, 평창 12,670원에 거래됨
- 브로코리 주 출하지(전자경매기준)는 강원 횡성(89%), 충북 제천(6%), 괴산(5%) 등이며
- 전자경매 기준 전체 평균가는 9,440원이며, 횡성 9,500원, 괴산 15,620원에 거래됨

◈ 버섯류
가격지수 : 87.12 전일대비 -3.39
◇ 버섯류 - 약보합세
- 전일대비 11% 감소한 164톤 반입
- 전일 전국적인 우천으로 인해 산지 작업량이 감소
- 우천으로 인한 매기 부진
- 습도가 높아지면서 상품성 하락품 증가
◇ 새송이 - 약보합세
- 전일대비 30% 감소한 43톤 반입
- 산지 우천 및 시세조절로 산지 출하량 감소
- 경북 김천 26.2%, 충남 천안 21.2%, 경기 안성 8.7%, 경북 상주 7.5%, 전남 함평에서 3.7% 반입
- 금주 시장 반입량이 많아 중도매인 재고량 증가
- 잦은 우천으로 인해 나들이 인파 및 외식 수요 감소
- 육류 요식업체 납품 감소
- 상품 2kg 5,540원으로 전일대비 6% 하락

2. 수산물
가격지수 : 97.80 전일대비 -0.19
《 강세 요인 》
○ 우천으로 반입물량 감소한 광어, 병어 강세
《 약세 요인 》
○ 장마로 소비부진하고 저가의 냉동수산물 출하량 증가하여 내림세
- 수입물량 증가한 갈치, 반입량 증가한 굴 약세
- 가격 상승으로 판매량 감소한 고등어, 출하량 증가한 냉동오징어 약세

◈ 생선류
가격지수 : 83.21 전일대비 -0.36
《 강세 요인 》
○ 병어, 냉동삼치, 광어 강세
- 그동안 조업여건 악화로 거래가 부진하였던 병어는 목포, 인천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났음. 출하량 증가하였으나 주말대비 수요 증가와 함께 최근 공급량 부족에 따른 중도매인 구매량 증가로 강세.
- 삼치는 생물 출하량 부진한 가운데 마산 및 부산산 냉동물량 비중이 컸음. 24kg상자는 상품성 부진으로 약세를 보였으나 15kg상자 마산산은 체장이 커 강세
- 광어는 여수 및 서산지역 우천으로 반입량이 크게 줄어들었고 주말대비 요식업체 주문량은 늘어나면서 강세
《 약세 요인 》
○ 갈치, 생태, 부세, 삼치 약세
- 갈치는 장마 영향으로 제주산 출하량이 다소 감소하고 일본산 반입량도 줄어들었음. 습한 날씨로 소비가 부진하여 시장내 재고량이 늘어났고 중국 및 인도산 냉동출하량 증가하여 국내산 갈치 가격 하락폭이 컸음 - 일본산 생태는 반입량이 줄어들었으나 냉동명태 반입증가와 선도 저조로 약세
- 부세는 중국산 반입물량 증가하였으나 판매가 용이한 저가 위주로 반입되어 하락세
◈ 조개류
가격지수 : 99.91 전일대비 -2.41
《 강세 요인 》
○ 수입바지락, 봉지바지락, 굴 상품, 홍합 강세
- 수입바지락은 중국산 출하량 감소하였고 국내산에 비해 상품성도 양호하여 강세
- 봉지바지락은 중국산 반입물량 감소하였고 주말대비 요식업체 주문량은 늘어나 상승세 - 굴은 통영산 출하량이 늘어났으나 상품은 고급 일식점 수요 증가로 오름세를 보였고, 중하품은 반입량 증가 영향으로 하락세
- 겉홍합은 산지 기상여건 악화로 여수 마산산 출하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주말대비 식자재 업체 주문량은 늘어나면서 소폭의 오름세를 나타냄
《 약세 요인 》
○ 새꼬막, 국내산 바지락, 소라 약세
- 새꼬막은 순천산 출하량 감소하였으나 상품성 부진하고 여름철 비수기 시즌에 접어들면서 수요가 급감하여 내림세
- 국내산 바지락은 안면도, 순천산 반입량이 늘어났고 중국산에 비해 가격대비 상품성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아 내림세를 보임
- 겉소라는 산지 소비량 증가로 군산, 장항산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시장내 수입깐소라 재고량 충분으로 내림세 형성

◈ 연체류
가격지수 : 111.8 전일대비 +1.06
《 강세 요인 》
○ 수입낙지, 물오징어, 문어 강세
-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전문점 주문량 증가와 금일 일본산 물량 상품성 우수로 강세에 거래
- 물오징어는 목포, 속초, 죽변산이 주로 거래되었고 대형어 비중이 늘어나고 선도도 양호하여 오름세를 보임
- 문어는 포항산 출하량 감소하였고 식자재 업체 수요는 다소 늘어 강세에 거래
《 약세 요인 》
○ 냉동오징어, 냉동주꾸미, 미더덕 약세
- 냉동오징어는 포클랜드 및 부산산 물량이 2톤 가까이 늘어났고 장마 영향으로 소비량도 주춤하여 내림세 - 냉동주꾸미는 중국 및 베트남산 출하량이 크게 늘어나 약보합세를 보였고 미더덕 역시 마산산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2톤 가량 증가하여 소폭의 하락세를 나타냄